메뉴 건너뛰기

트럼프, 중국에 104% 고율 관세 조치
기본 20%에 상호관세 84% 더한 값
중국 수출 많은 한국도 영향권 들어
중국→미국 수출 상품엔 영향 제한
배터리 등 일부 산업 반사이익도 기대
게티이미지뱅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104% 초(超)고율 관세를 내게 하면서 미중 패권 전쟁이
강대강으로 격화되는 모양새
다. 조치가 길어지면 중국 경제에도 큰 타격이 예상되는데 한국에도 달갑지만은 않은 소식이다.
한국은 중국에 전체 수출 중 20%를 의존하고
중국을 거쳐 미국으로
수출하는 품목들도 있어서다
. 일부에서는
배터리 등 중국과 경쟁 구도에 있는 기업군에는 반사이익이
될 거란 분석도
나온다.

중국 내수 둔화에 수출 영향 가능성

시진핑 중국 주석이 3월 11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전국인민대표대회 폐막식에 참석했다. 베이징=AP 연합뉴스


9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한국의 대(對)중 수출액은
1,330억 달러로 전체 수출 총액의 19.5%를 차지
했다. 이 중
75%는 중국 안에서 소비되고 25%는
중국을 거쳐 제3국으로 향한다는 게 무역협회의 분석
이다. 특히 중국 내에서 가공돼 미국으로 향하는 비중이 평균 5.7% 수준이었다. 즉
물건 100개가 만들어지면 75개는 중국 내에서 소비되고
6개 가까이는 가공돼 미국으로 향한다는 뜻
이다.

미국의 대중 관세 조치는
한국 수출 기업들에도 악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내수가
꺾이기 때문
이다. 국제금융센터(KCIF)는 최근 보고서에서 "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로 인해 주요
투자은행(IB)들은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7~2.4% 하락하고 대미 수출 규모도
60%가량 줄어들 것으로 분석
했다"고 했는데 이때는 중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이 34%였던 점을 고려하면 관세율이 70%포인트 불어난 이제는 훨씬 더 큰 경제 둔화 우려가 도사리는 것이다. 그러면
이는 자연스레 소비 감소, 수입 감소로 이어지게
된다.

'한국 → 중국 → 미국' 거치는 상품에는 영향 적을 듯

7일 부산항 감만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부산=뉴스1


중국을 거쳐 미국으로 가는 수출 상품에는 비교적 큰 영향이 없을 거라고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
규모가 전체 대중 수출의 5% 정도로 크지 않은 데다가 관세를 피하기 위해 또 다른 국가를
한 번 더 우회하는 방법도 있어서
다. 정지현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팀장은 "중국은 대미 직접 수출에 제약이 걸린 것이기 때문에 (관세 조치가 유예된) 멕시코·캐나다나 협상을 시도하는 베트남 등을 통한 우회 수출이 많아질 것"이라며 "공급망을 타고 또 한번 우회 수출되는 확률을 고려한다면 타격이 크지는 않을 듯하다"고 설명했다.

중국을 통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비중이 비교적 높은 전기·전자 제품 업계도 이 점을 심각하게
보진 않고 있다
. 업계 관계자는 "중국에서 미국으로 가는 제품 중에는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중국 내 합작개발생산(JDM) 제품이 일부 있을 수 있으나 중저가 제품이고 미국은 기본적으로 고가·고성능 제품 시장이라 전체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고 귀띔했다.

힘 빠지는 차이나 가성비... 한국, 반사이익 볼 수도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 테무 로고. 로이터 연합뉴스


한국 기업에 기회가 될 거라는 시각도
있다.
파죽지세로 치고 올라오는 기술력에 값싼 가격을
무기 삼은 중국 제품에 힘이 빠져서
다. 중국과 점유율 싸움을 치열하게 벌여온 배터리가 대표적. 특히 국내 배터리사들은 최근 에너지저장장치(ESS)의 미국 현지 생산을 늘리는 추세다. LG에너지솔루션도 중국에 대한 관세 조치로 미국 현지 생산 배터리에 대한 수요가 늘 것을 기대하며 올 하반기 미시간주(州) 홀랜드 공장에 ESS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생산에 나선다.

전문가들은 마냥 마음을 놓아서는 안 된다고 경고
했다.
대미 수출길이 막힌 중국 제품이 한국
시장으로 대거 쏟아지면 국내 기업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서
다. 싼 가격을 앞세운 테무나 알리익스프레스 등 이커머스가 한국에 집중하기 시작하면 파장은 불 보듯 뻔하다. 또 미국이 중국에 진출한 한국 공장에 직접적인 압박을 가할 우려도 있다. 김동수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
미국이
중국 내 한국 반도체 제조 시설에 대해 중국 판매를 줄이고 제품 사양을 낮추라는 요구를 할
가능성
이 크다"며 "이때 한국을 (관세 등으로) 압박한다면 뾰족한 대응 방법이 없다"고 설명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881 고3 남학생, 휴대폰 쥔 손으로 여교사 폭행... '수업 중 폰게임 지적' 이유 랭크뉴스 2025.04.11
46880 [속보] “지하 굉음”…광명 신안산선 공사장 붕괴 우려에 인근 도로 통제 랭크뉴스 2025.04.11
46879 트럼프 “시진핑은 내 오랜 친구… 중국과 관세 합의 원해” 랭크뉴스 2025.04.11
46878 [속보] 제주4·3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랭크뉴스 2025.04.11
46877 北서 발생한 산불, 강원 고성 DMZ로 번져…헬기로 진화 중 랭크뉴스 2025.04.11
46876 트럼프 행정부, 증시 급락에도 “별일 아냐… 정상적 조정” 랭크뉴스 2025.04.11
46875 "광명 신안산선 공사 현장 붕괴 우려"…경찰, 주변도로 통제 랭크뉴스 2025.04.11
46874 탁현민 “용산, 내란·쿠데타 모의 상징성···청와대로 다시 옮겨야” 랭크뉴스 2025.04.11
46873 신호 대기 중 나무 ‘쾅’…간발의 차로 피한 운전자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4.11
46872 [강주안의 시시각각] 반면교사 삼을 윤 정부 권력 서열 랭크뉴스 2025.04.11
46871 규제 '무풍지대' 고가 아파트…올들어 50억 이상 거래 2배 증가 랭크뉴스 2025.04.11
46870 제주4·3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랭크뉴스 2025.04.11
46869 버터와 우유 없어도 맛있는 비결...비건 베이킹엔 계란 대신 '이것' [쿠킹] 랭크뉴스 2025.04.11
46868 [금융포커스] 파킹통장보다 낫네… 가상자산거래소에 돈 넣었더니 연 2% 수익 랭크뉴스 2025.04.11
46867 日고령화에… '야쿠자'도 늙고 가난해졌다고? [글로벌 왓] 랭크뉴스 2025.04.11
46866 정식 비자 받아 한국 왔는데…“이런 곳에서 살 줄은 꿈에도” 랭크뉴스 2025.04.11
46865 ‘대통령 궐위’라 적극적 권한 행사? 법조계 “그래서 더 소극적이어야” 랭크뉴스 2025.04.11
46864 전한길 불러 '파이팅'‥노골화되는 '윤심' 정치 랭크뉴스 2025.04.11
46863 ‘9인 완전체’ 헌재, 한덕수의 ‘이완규 재판관 지명’ 제동 걸까? 랭크뉴스 2025.04.11
46862 족적 없이 사라진 ‘크리스 뱅글’ 전철 밟을라… 삼성전자, ‘외국인’ 수혈에도 “조직문화 혁신 없이는 승산 없다” 랭크뉴스 2025.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