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트럼프, 중국에 104% 고율 관세 조치
기본 20%에 상호관세 84% 더한 값
중국 수출 많은 한국도 영향권 들어
중국→미국 수출 상품엔 영향 제한
배터리 등 일부 산업 반사이익도 기대
게티이미지뱅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104% 초(超)고율 관세를 내게 하면서 미중 패권 전쟁이
강대강으로 격화되는 모양새
다. 조치가 길어지면 중국 경제에도 큰 타격이 예상되는데 한국에도 달갑지만은 않은 소식이다.
한국은 중국에 전체 수출 중 20%를 의존하고
중국을 거쳐 미국으로
수출하는 품목들도 있어서다
. 일부에서는
배터리 등 중국과 경쟁 구도에 있는 기업군에는 반사이익이
될 거란 분석도
나온다.

중국 내수 둔화에 수출 영향 가능성

시진핑 중국 주석이 3월 11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전국인민대표대회 폐막식에 참석했다. 베이징=AP 연합뉴스


9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한국의 대(對)중 수출액은
1,330억 달러로 전체 수출 총액의 19.5%를 차지
했다. 이 중
75%는 중국 안에서 소비되고 25%는
중국을 거쳐 제3국으로 향한다는 게 무역협회의 분석
이다. 특히 중국 내에서 가공돼 미국으로 향하는 비중이 평균 5.7% 수준이었다. 즉
물건 100개가 만들어지면 75개는 중국 내에서 소비되고
6개 가까이는 가공돼 미국으로 향한다는 뜻
이다.

미국의 대중 관세 조치는
한국 수출 기업들에도 악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내수가
꺾이기 때문
이다. 국제금융센터(KCIF)는 최근 보고서에서 "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로 인해 주요
투자은행(IB)들은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7~2.4% 하락하고 대미 수출 규모도
60%가량 줄어들 것으로 분석
했다"고 했는데 이때는 중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이 34%였던 점을 고려하면 관세율이 70%포인트 불어난 이제는 훨씬 더 큰 경제 둔화 우려가 도사리는 것이다. 그러면
이는 자연스레 소비 감소, 수입 감소로 이어지게
된다.

'한국 → 중국 → 미국' 거치는 상품에는 영향 적을 듯

7일 부산항 감만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부산=뉴스1


중국을 거쳐 미국으로 가는 수출 상품에는 비교적 큰 영향이 없을 거라고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
규모가 전체 대중 수출의 5% 정도로 크지 않은 데다가 관세를 피하기 위해 또 다른 국가를
한 번 더 우회하는 방법도 있어서
다. 정지현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팀장은 "중국은 대미 직접 수출에 제약이 걸린 것이기 때문에 (관세 조치가 유예된) 멕시코·캐나다나 협상을 시도하는 베트남 등을 통한 우회 수출이 많아질 것"이라며 "공급망을 타고 또 한번 우회 수출되는 확률을 고려한다면 타격이 크지는 않을 듯하다"고 설명했다.

중국을 통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비중이 비교적 높은 전기·전자 제품 업계도 이 점을 심각하게
보진 않고 있다
. 업계 관계자는 "중국에서 미국으로 가는 제품 중에는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중국 내 합작개발생산(JDM) 제품이 일부 있을 수 있으나 중저가 제품이고 미국은 기본적으로 고가·고성능 제품 시장이라 전체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고 귀띔했다.

힘 빠지는 차이나 가성비... 한국, 반사이익 볼 수도

중국 전자상거래 기업 테무 로고. 로이터 연합뉴스


한국 기업에 기회가 될 거라는 시각도
있다.
파죽지세로 치고 올라오는 기술력에 값싼 가격을
무기 삼은 중국 제품에 힘이 빠져서
다. 중국과 점유율 싸움을 치열하게 벌여온 배터리가 대표적. 특히 국내 배터리사들은 최근 에너지저장장치(ESS)의 미국 현지 생산을 늘리는 추세다. LG에너지솔루션도 중국에 대한 관세 조치로 미국 현지 생산 배터리에 대한 수요가 늘 것을 기대하며 올 하반기 미시간주(州) 홀랜드 공장에 ESS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생산에 나선다.

전문가들은 마냥 마음을 놓아서는 안 된다고 경고
했다.
대미 수출길이 막힌 중국 제품이 한국
시장으로 대거 쏟아지면 국내 기업 피해로 이어질 수 있어서
다. 싼 가격을 앞세운 테무나 알리익스프레스 등 이커머스가 한국에 집중하기 시작하면 파장은 불 보듯 뻔하다. 또 미국이 중국에 진출한 한국 공장에 직접적인 압박을 가할 우려도 있다. 김동수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
미국이
중국 내 한국 반도체 제조 시설에 대해 중국 판매를 줄이고 제품 사양을 낮추라는 요구를 할
가능성
이 크다"며 "이때 한국을 (관세 등으로) 압박한다면 뾰족한 대응 방법이 없다"고 설명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365 트럼프 “주한미군 감축, 방위비·무역협상 패키지로 논의할 수도” 랭크뉴스 2025.04.10
46364 '알짜 반도체' 실트론 매각설…SK, 현금확보 나서는 이유 랭크뉴스 2025.04.10
46363 볼보·벤츠 등 수입차 49개 차종 11만7925대 자발적 시정조치 랭크뉴스 2025.04.10
46362 트럼프 관세 낮추자…나스닥, 24년래 최대 상승[데일리국제금융시장] 랭크뉴스 2025.04.10
46361 ‘전통 마가’ vs ‘다크 마가’…관세로 드러난 트럼프 동맹 ‘불안한 동거’ 랭크뉴스 2025.04.10
46360 주한미군사령관 "한미, 새 작전계획 서명…北핵무기 대응 강화" 랭크뉴스 2025.04.10
46359 [속보] 전주역에서 화물열차 궤도 이탈...열차 운행 중단 랭크뉴스 2025.04.10
46358 트럼프, 상호관세 90일 유예…중국은 125%로 인상 랭크뉴스 2025.04.10
46357 뉴욕증시, 관세 유예에 폭등...나스닥 12%↑ "2001년 이후 최대" 랭크뉴스 2025.04.10
46356 트럼프, 韓방위비 분담금 거론하며 "무역협상과 패키지로 논의" 랭크뉴스 2025.04.10
46355 코레일 "전주역에서 화물열차 1량 궤도 이탈" 랭크뉴스 2025.04.10
46354 ‘이완규 재판관’ 막겠다는 민주당···권한쟁의·헌법소원·가처분 실효성 따져보니 랭크뉴스 2025.04.10
46353 트럼프, 중국 제외 상호관세 90일간 유예…한국 기본관세 10%만 적용, 중국엔 125% 랭크뉴스 2025.04.10
46352 “상호 관세 90일 유예” 발표에 뉴욕 주가 폭등…불안감 ‘여전’ 랭크뉴스 2025.04.10
46351 트럼프, 상호관세 90일 유예 이유는…"사람들이 겁먹고 불안해해서" 랭크뉴스 2025.04.10
46350 [속보]트럼프, 한국 방위비 분담 언급 "무역 협상서 패키지로" 랭크뉴스 2025.04.10
46349 美 상호관세 유예에 나스닥 12% 폭등…애플 15%·테슬라 22%↑ 랭크뉴스 2025.04.10
46348 [단독] 5411억→1300억, 폭싹 주저앉은 기초학력 예산 “교육격차 어쩌려고…” 랭크뉴스 2025.04.10
46347 "중국에 125% 관세‥나머지 국가 90일 유예" 랭크뉴스 2025.04.10
46346 [단독] 트럼프 "대선 나갈건가"…한덕수에 직접 물었다 랭크뉴스 202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