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3월 자제했으나 전면전 선회…트럼프 '34+50%' 때리자 비례 대응 반격
中 앞선 표적보복 관세 포함하면 양국 간 최대 관세율 104%로 비슷 평가
美방산 등 18개 기업 제재·WTO 제소도…"평등한 대화로 이견 해결 촉구" 주장도


항구
[로이터 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베이징·서울=연합뉴스) 정성조 특파원 이봉석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추가 104%의 '관세 폭탄'을 위협하자 중국도 9일 즉각 '전방위 비례 대응 보복'에 나섰다.

지난 2∼3월 미국이 두 차례에 걸쳐 총 20%의 보편관세를 부과했을 때만 해도 미국 특정 상품·기업 '표적보복 맞불 관세'에 집중하며 전면전 확전을 자제했던 중국은 이달 2일 트럼프 행정부가 34% 상호관세를 꺼내던 때부터 동일한 수준의 보복으로 대응 수위를 높였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율을 50% 더 높이자 똑같이 50%를 인상, 트럼프 2기 출범 후 누적 추가분만 놓고 비교하면 미국과 중국 간 최대 관세율은 104%의 대체로 비슷한 수준으로 증가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이날 오후 7시(현지시간) 홈페이지를 통해 오는 10일 낮 12시 1분부터 미국산 수입 상품에 대한 추가 관세율을 34%에서 84%로 상향한다고 밝혔다.



국무원은 "8일 미국 정부는 중국의 미국 수출품에 상호관세 세율을 34%에서 84%로 높였다"며 "미국의 관세 인상 처사는 잘못에 잘못을 더하는 것으로 중국의 정당한 권익을 심각하게 침해하고 규칙을 기초로 하는 다자무역체제를 심각하게 훼손한 전형적인 일방주의·보호주의·경제적 괴롭힘"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미국이 즉시 잘못된 처사를 바로잡고 모든 일방적 대중국 관세 조치를 철폐하며 중국과 상호존중의 기초 위에서 평등한 대화로 이견을 적절히 해결하기를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중국 정부는 이날 관세 인상과 함께 미국 기업들에 대한 무더기 제재도 단행했다.

상무부는 쉴드 AI와 시에라 네바다 등 미국 군수기업 6곳을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명단에 추가하고 중국과 연관된 수출입·투자를 막기로 했다.

또 아메리칸포토닉스(렌즈 제조)·노보텍(바이오)·에코다인(드론)을 비롯해 미국 방산업체까지 총 12개 기업에 대해서는 이중용도 물자(군용으로도 민수용으로도 쓸 수 있는 물자) 수출을 금지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이 34% 상호관세에 이어 대중국 관세를 50% 더 높인 것을 세계무역기구(WTO)에 추가 제소했다.

미중 양국은 트럼프 1기 시절인 2018∼2019년 무역전쟁 당시에는 품목을 한정했고 추가 관세율도 25%를 넘지 않는 수준으로 공방을 주고받았으나, 올해 트럼프 2기 들어서는 전선 규모를 '모든' 상품으로 넓히고 관세율도 크게 높이는 등 분쟁 규모를 확대했다.

올해 1월 20일 취임한 트럼프 대통령은 2월과 3월 각각 10%씩의 보편관세를 중국에 추가 부과하며 포문을 열었다.

중국은 2월에는 미국산 석탄·액화천연가스(LNG)에 15% 관세, 원유·농기계·대형차·픽업트럭에 10% 추가 관세, 3월에는 미국산 일부 농축산품에 10∼15%의 추가 관세를 보복 카드로 내밀었다.

3월까지만 해도 모든 중국산 상품을 겨냥한 미국과 달리 중국은 표적 보복만 하면서 수위를 조절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이달 전 세계를 상대로 상호관세를 부과하며 특히 중국에는 34%의 고율 관세를 추가로 물리자 중국은 34% 관세에 첨단 산업에 필수적인 희토류 수출 통제로 맞받아치며 비례 대응에 나섰다.

중국에 보복하지 말 것을 경고한 트럼프 대통령이 7일 관세율을 50% 더 높이겠다고 언급하자 중국은 똑같이 50%를 더 인상했다.

결국 트럼프 2기 미국 행정부가 출범하고 석 달도 되지 않아 미국은 중국에 104%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고, 중국도 이에 비슷한 수준으로 맞받아치며 양국 무역전쟁은 트럼프 1기를 뛰어넘는 규모로 확대됐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590 “박정훈 대령 영장에 허위사실 쓴 군검사, 국방부가 ‘불기소’ 송치” 군인권센터 밝혀 랭크뉴스 2025.04.16
44589 ‘내란’ 칠해진 尹 친필 휘호석, 창원시 존치 여부 고심 랭크뉴스 2025.04.16
44588 국민의힘, 대선 1차 경선 진출자 8명 발표…“경쟁력·부적합 여부 등 심사” 랭크뉴스 2025.04.16
44587 경찰, 대통령실·한남동 공관촌 압수수색…체포영장 저지 혐의 랭크뉴스 2025.04.16
44586 "이제는 정말 끊어야 하나"…라면·맥주 이어 담배도 가격 인상 랭크뉴스 2025.04.16
44585 “들어가보니 박나래 자택이었다? 거짓말일 것”... 프로파일러의 경고 랭크뉴스 2025.04.16
44584 국힘 ‘1차 경선행’ 김문수·나경원·안철수·양향자·유정복·이철우·한동훈·홍준표 랭크뉴스 2025.04.16
44583 국민의힘 의원 4명, 김문수 지지 선언‥박수영 "정권재창출 적임자" 랭크뉴스 2025.04.16
44582 용인서 일가족 5명 살해한 50대 “사기 분양으로 큰 채무 졌다" 랭크뉴스 2025.04.16
44581 상처만 남은 의대 증원...결국 백지화? 랭크뉴스 2025.04.16
44580 백종원 더본코리아 “다 바꾸겠다”…잇단 논란에 전면 쇄신 선언 랭크뉴스 2025.04.16
44579 무역전쟁 속 中 1분기 성장률 5.4%…시장 전망치 웃돌아 랭크뉴스 2025.04.16
44578 최상목 청문회…"마은혁 미임명 헌법 형해화"·"스토킹 탄핵" 랭크뉴스 2025.04.16
44577 ‘초고속 산불’ 피해 재발 막는다···화선도달 5시간 이내 위험구역 즉시 대피 랭크뉴스 2025.04.16
44576 경찰, 대통령실·공관촌 압수수색 시도…'체포저지' 尹 정조준(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16
44575 티아라 전 멤버 이아름씨, 사기 혐의로 징역형 집행유예 랭크뉴스 2025.04.16
44574 “별다른 대응 전략 無” 트럼프 관세 대책에 제조업체 42%의 답, 이유는? 랭크뉴스 2025.04.16
44573 “지하철 가방 조심!”…사라진 줄 알았던 지하철 소매치기, 2년간 587건 발생 랭크뉴스 2025.04.16
44572 “불덩이 내려놓자” 국힘서 커지는 ‘尹 결별’ 목소리 랭크뉴스 2025.04.16
44571 [속보] 서경호 침몰 67일 만에 여섯 번째 실종자 발견 랭크뉴스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