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해 퇴사자 28명 중 25명 40대 이하
비우주개발 분야 이직 사례도 눈에 띄어
동종업계 대비 낮은 임금에 구성원 상실감
젊은 인재 유치도 우려···"제도 개선 필요"
2023년 5월 25일 전남 고흥군 영남면 우주발사전망대에서 시민들이 실용위성을 싣고 우주로 향하는 누리호(KSLV-Ⅱ)를 지켜보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나로호와 누리호를 개발하며 한국을 세계적인 우주개발 국가 반열에 올리는 데 기여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최근 젊은 연구원들의 이탈이 이어지고 있다. 퇴사한 이들 중에는 다른 기관의 연구직으로 자리를 옮기는 경우도 있지만 가전 사업이나 자동차 등 우주개발과 동떨어진 직군으로 이직하는 사례도 있어 우주개발 분야 인재 유출 우려가 커지고 있다.

9일 서울경제신문이 입수한 ‘항우연 이직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정년퇴직자·직권면직자를 제외한 항우연 퇴사자는 총 28명이다. 특히 젊은 인력의 퇴사 비중이 높다. 지난해 퇴사자 중 20~40대는 25명으로 2023년 총퇴사자 수(17명)보다 많았다. 퇴사한 20~40대 직원 중 7명은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개발을 이끈 발사체연구소에서 근무했다. 다누리 개발과 운영을 맡고 있는 우주탐사센터가 속해 있는 위성연구소에서도 11명이 회사를 떠났다. 퇴직 후 이직처는 다양하지만 삼성전자·현대자동차 등 민간기업으로 자리를 옮기는 경우가 많았다.



퇴사 이유를 한 가지로 설명할 수는 없다. 다만 동일 또는 유사 업무를 수행하는 다른 기관에 비해 눈에 띄게 낮은 연봉은 항우연 연구원들의 사기를 떨어뜨리는 고질적인 문제다. 항우연 노조가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만 30세 기준 항우연 박사 신입 초봉은 6226만 원 수준이다. 우주항공청·현대차·한국항공우주산업·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에 비해 현저히 낮고 한국원자력연구원, 국방과학연구소(ADD),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등과도 큰 차이가 났다. 만 50세 안팎의 책임연구원이 돼도 1000만~2000만 원대의 임금 차이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우연과 정부출연연구기관은 그간 기획재정부가 정한 상한선 내에서 인건비를 운용하는 인건비 수권 예산 제도에 따라 임금을 책정해왔다. 수권 예산은 연구 과제 수주액과 정부 출연금, 인건비 등을 포함한 출연연 예산으로 출연연은 큰 프로젝트를 수주해 예산을 충분히 확보해도 수권 예산 상한선을 넘어서는 임금은 지급할 수 없다. 항우연의 경우 2022년 누리호 발사 성공 등 국가적 사업이 성과를 낸 데다 소속이 우주항공청으로 이관되는 변화가 생기면서 내부적으로 임금 상승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하지만 구조적 변화 없이 일부 저연차를 중심으로 소폭 임금 상승만 진행되고 포상금을 지급하는 수준에 그치면서 젊은 구성원들 사이에 불만이 누적된 것으로 보인다. 내부적으로는 제도가 개선되지 않을 경우 인재 유치에 어려움이 생길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실제로 최근 항우연 지원자 중에는 서울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출신이 과거에 비해 감소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005 '핑크 택스' 더 붙나…"트럼프 관세, 여성에 더 부담될 수도" 랭크뉴스 2025.04.17
45004 ‘황제주’ 코앞 삼양식품…상장 후 첫 시총 7조 넘어 [이런국장 저런주식] 랭크뉴스 2025.04.17
45003 "월 4% 수익 보장, 원금도 돌려준다" 5억 건넨 상품권 투자 결말 랭크뉴스 2025.04.17
45002 이재명 "임기내 세종 의사당·대통령집무실 건립…충청, 행정·과학 수도로" 랭크뉴스 2025.04.17
45001 금통위 "韓 올 성장률 1.5% 하회할 것" 랭크뉴스 2025.04.17
45000 유영재 "한순간 잘못된 판단"…선우은숙 친언니 강제추행 인정 랭크뉴스 2025.04.17
44999 [샷!] "지브리 프사, 예술에 대한 모욕처럼 느껴져" 랭크뉴스 2025.04.17
44998 "당직 중 술 마신 적 없는데"…경찰서장을 명예훼손 고소한 경감 랭크뉴스 2025.04.17
44997 광주의 우려 "이재명 밀어야제…근디 무조건 파랑은 아니랑께" [진보심장 르포] 랭크뉴스 2025.04.17
44996 미국 자동차 가격 5월이 마지노선?…"포드, 올여름 인상" 랭크뉴스 2025.04.17
44995 한은 총재도 최상목 미 국채 2억 두고 “부적절…의심 살 만하다” 랭크뉴스 2025.04.17
44994 日 "미일, 관세 조기합의에 의견일치…美, 90일내 마무리 원해"(종합) 랭크뉴스 2025.04.17
44993 [금융뒷담] ‘키움 먹통’ 늦어지는 보상에 뿔난 개미들 랭크뉴스 2025.04.17
44992 경북산불 산림피해 9만ha, 산림청 발표 '2배'…"기본부터 엉터리"(종합) 랭크뉴스 2025.04.17
44991 “경제 성장 둔화·인플레 우려” 파월 의장 경고 랭크뉴스 2025.04.17
44990 [속보] 한은, 기준금리 2.75% 동결… 대내외 불확실성에 ‘속도조절’ 랭크뉴스 2025.04.17
44989 출근길 노들로서 전복된 SUV… 30대 운전자 음주 입건 랭크뉴스 2025.04.17
44988 이재명 "충청을 행정·과학수도로…임기내 세종 대통령집무실 건립" 랭크뉴스 2025.04.17
44987 경북 산불 산림피해 9만여ha…산림청 발표의 '2배' 랭크뉴스 2025.04.17
44986 “너무 가려워요” 대학 기숙사에서 ‘옴’ 발생해 학생 귀가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