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尹 대선 캠프 대변인, CBS 라디오 인터뷰
윤석열 전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 대통령실 제공
조선일보 논설위원 출신으로 윤석열 대선캠프 대변인을 맡았던 이동훈 개혁신당 수석대변인이 윤 전 대통령 부부를 처음 대면했을 당시 ‘김건희 리스크’가 터질 수 있겠다는 불길한 예감이 들었다고 회고했다.

이 수석대변인은 9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윤 전 대통령에 대해 “전망은 낙관적으로 하지만 평가는 부정적으로 하는 분이다. (부산) 엑스포, 대왕고래 (프로젝트), 의대 정원 등의 문제들을 보면 낙관적으로 전망하고 (실행)했지만 평가 부분에서는 주변 사람들에게 책임을 돌리지 않나. 지도자로서 조금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 선포 이유 중 하나로 ‘부정선거론’을 꺼낸 것과 관련해선 “(윤 전 대통령) 본인께서도 부정선거라고 생각하지는 않을 거라고 믿는다”고 언급했다. 이 수석대변인은 “부정선거라는 건 어디까지나 보수 우파 세력들을 이용하기 위한 선동의 도구였을 거라고 본다. 계엄의 명분으로 삼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동훈 개혁신당 수석대변인.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방송화면 캡처
그는 윤 전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한 주요 이유 중 하나로 ‘김건희 여사’를 꼽았다. 그러면서 첫 만남 당시를 돌이켰다. 이 수석대변인은 “제가 (윤석열 캠프) 대변인을 할 때만 하더라도 ‘김건희 X파일’이라는 것들이 벌써 나오고 있었다. 첫 만남에서 좀 주의 깊게 볼 수밖에 없었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는 “처음에 (서초동) 아크로비스타 아파트에 가서 당시 검찰총장이었던 윤 전 대통령을 만나 부인을 소개받았는데, 깜짝 놀랐다”면서 “처음 보는 사람을 앞에 두고 남편에게 공개적으로 면박을 주더라. (김 여사가) ‘아휴 이래서 안 돼, 이래서 안 돼’ 하는데 윤 전 대통령은 그냥 강아지 안고 웃기만 했다”고 전했다.

이어 “(당시) 나는 속으로 ‘이거 참 큰일 났다’ 생각했다”며 “내 입장에서는 ‘잘 다니던 직장 때려치우고 선거 돕겠다고 왔는데 이러다가 이것이 큰 리스크가 될 수도 있겠다. 이 선거 위험한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순간적으로 들더라”고 덧붙였다.

윤석열 전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 뉴시스
이 수석대변인은 “윤석열 정권은 한마디로 ‘여사와 검사의 연합체’”라고 표현했다. 비상계엄 선포의 실질적 배경에 대해선 ‘김건희 특검법’ 통과 직전이었던 당시 상황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수석대변인은 “저는 윤 전 대통령의 김 여사에 대한 감정은 사랑 이상 아닐까 생각을 한다”며 “(비상계엄 선포 당시 윤 전 대통령은) 반국가세력, 부정선거를 말씀하셨는데 그건 하나의 명분일 뿐, 자신과 김 여사의 안위가 우선 고려 대상이 아니었나 생각한다”고 짚었다.

윤석열 전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 뉴시스
‘사랑 이상은 뭔가’라는 진행자 질문에 그는 “윤 전 대통령이 박근혜 정권 시기에 댓글 수사 때문에 좌천 당했고 문재인 정권 들어서 서울중앙지검장, 검찰총장을 하며 욱일승천한 뒤 바로 대선 후보에서 대통령이 됐다”면서 “그렇게 파동이 심한 과정과 결혼 시기가 딱 겹친다. 그걸 거치면서 윤 전 대통령과 김 여사가 동지적 결합 이상의 의존을 서로 해 왔을 거다. 그래서 저는 윤 전 대통령이 김 여사를 절대로 못 내칠 거라고 봤다. 지금 결과적으로 그렇게 된 형국”이라고 답했다.

윤 전 대통령의 신당 창당설, 김 여사의 총선 출마설 등 정치권 루머에 대해서는 “윤 전 대통령 본인 스스로도 하고 싶어 하실 거고 주위에서도 그걸 이용을 하려는 극단적인 세력들이 있을 것”이라면서도 “윤 전 대통령은 정치인으로서 자질도 떨어지고 보수 내에서 어떤 상징적인 자산도 없다. 창당하고 싶고 대선에 개입하고 싶겠지만 해서는 안 된다. 기본적으로 할 수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106 민주 "이완규 지명 헌법 농단"…국민의힘 "대행 권한 제한 없어" 랭크뉴스 2025.04.09
46105 '한덕수 폭탄'에 "심각하네"‥'개헌' 거둬들인 우 의장 랭크뉴스 2025.04.09
46104 ‘청와대 습격사건’ 북한 무장공비 출신 김신조 목사 별세 랭크뉴스 2025.04.09
46103 코스피, 2300선 내줬다 랭크뉴스 2025.04.09
46102 20조 꿈꿨던 카카오엔터 매물로... “5조 미만이면 살 곳 있을 듯” 랭크뉴스 2025.04.09
46101 ‘억대 금품수수’ 전준경 전 민주연 부원장 징역 2년 6개월 랭크뉴스 2025.04.09
46100 ‘공항→숙소 6만원’…외국인 관광객 불법 운송한 일당 송치 랭크뉴스 2025.04.09
46099 “지브리 프사 만들어드려요” 신종 거래까지 등장 랭크뉴스 2025.04.09
46098 [속보] 시진핑 “주변국들과 상호신뢰 강화…공급망 협력도 확대” 랭크뉴스 2025.04.09
46097 "이제 미국이 갈취할 때다"...트럼프 상호관세 결국 발효됐다 랭크뉴스 2025.04.09
46096 李 대표직 사퇴에 김동연 방미·김두관 文예방 '잰걸음'(종합) 랭크뉴스 2025.04.09
46095 “박정희 모가지 따러…” 귀순 공작원 김신조 목사 별세 랭크뉴스 2025.04.09
46094 보수도 진보도 질색하는 “기회주의자 끝판왕” 한덕수 랭크뉴스 2025.04.09
46093 [샷!] "이건 스포츠 만화책 주인공 서사다" 랭크뉴스 2025.04.09
46092 무역전쟁 중 ‘이 나라들’ 조용히 웃는다 랭크뉴스 2025.04.09
46091 "내 딸 납치?" 이 말 들은 지하철역 직원, 보이스피싱 막았다 랭크뉴스 2025.04.09
46090 [속보] 경찰, ‘중국 간첩 99명 체포’ 보도 스카이데일리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4.09
46089 등교하는 남녀 초등생 2명 차량으로 유인…20대 외국인 체포 랭크뉴스 2025.04.09
46088 尹, 주말까진 관저 퇴거…전담 경호팀 구성마쳐 랭크뉴스 2025.04.09
46087 직원 자르고 출고 중단… 美 관세에 車 업계 비상대응 랭크뉴스 202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