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MBC 예능 '나혼자 산다'에 등장하는 음주 미화 한 장면. 방송 캡처

유명 연예인들이 술에 취한 채로 출연하는 ‘술 방송(술방)’ 콘텐트가 많아지면서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가이드라인은 강제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무분별한 음주가 조장·미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8일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 따르면 전날 가수 보아는 팬 소통 플랫폼인 위버스를 통해 “이틀 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라이브 방송에서 보여드린 경솔한 언행과 발언, 미성숙한 모습으로 불편함을 느끼셨을 모든 분께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그는 “당사자가 없는 자리에서 실례되는 발언을 해 박나래(방송인)님께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렸고, 너그러이 이해해주셔서 감사하다”고 덧붙였다.

문제가 된 방송은 지난 5일 보아가 방송인 전현무와 한밤중에 인스타그램을 통해 진행한 취중 라이브다. 전현무는 “집에 놀러 오신 분이 아끼던 술을 까서 마시고 있다”고 했다. 이어 두 사람은 취기가 도는 얼굴로 대화하거나 몸을 기대는 모습 등을 보였다. 보아는 전현무와 박나래의 열애설이 사실인지를 묻는 댓글에 “오빠(전현무)가 아깝다”고 반응해 논란을 빚었다.

5일 방송인 전현무와 가수 보아의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 영상 캡처

유튜브에서는 술방 콘텐트가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다. 방송인 신동엽의 ‘짠한 형’, 가수 이영지의 ‘차린 건 쥐뿔도 없지만(차쥐뿔)’, 웹툰 작가 겸 방송인 기안84의 ‘술터뷰’ 등이다. 블랙핑크 지수, 아이브 안유진, BTS 등 인기 아이돌이 출연한 유튜브 술방은 조회 수가 수백만을 웃돈다.



음주 미화 장면 2년 새 3배 늘어
음주를 미화하고 권유하는 장면도 자주 연출된다. 가장 해로운 음주 습관으로 꼽히는 원샷, 건배, 술 섞어 마시기를 한다. 지난달 10일 방송된 ‘짠한 형’에 출연한 배우들은 “이게(술이) 보약이다” “혈액 순환에 (좋다)”는 등 대화를 나눈 뒤 원샷을 권했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이 ‘술방’, ‘음주 방송’ 등 단어로 검색되는 조회 수 상위 100개 영상을 모니터링한 결과, 음주를 미화하는 장면은 2021년(27.8%)에 비해 2023년(78%) 3배 가까이 늘었다.

미디어 환경이 변화하면서 술방 콘텐트를 소비하는 경로도 다양해졌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 따르면 최근 3년(2021~2023년)간 TV 시청률 상위 10개 드라마·예능 프로그램 한 편당 음주 장면 송출 횟수는 평균 1.1회로 나타났다. OTT(온라인동영상 서비스) 인기 드라마·예능의 음주 장면은 한 편당 3.7회로 집계됐다. 중·고교생의 약 10%는 드라마·예능에서 음주 장면을 시청한 후 ‘술을 마시고 싶다고 생각했다’는 조사도 있다.

지난달 10일 방송한 '짠한형'에서 술방을 하는 모습. "드라마 홍보하면서 술도 마시고 세상이 좋아졌다"는 발언이 나왔다. 유튜브 캡처



"연예인 음주 모습, 주류 광고보다 영향 커"
유튜브는 미성년자(만 18세 미만)에게 유해한 음주·폭력 등 콘텐트를 자체 가이드라인에 따라 삭제할 수 있다는 규정을 뒀지만, 인기 술방 대부분은 연령 제한 없이 시청할 수 있다. 틱톡도 성인이 과도한 음주를 보여주는 경우 연령 제한을 두도록 했다. 정부도 나섰다. 지난 2023년 보건복지부·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미디어 음주 장면 가이드라인'을 6년 만에 개정했다. 과도한 음주를 부각·미화하는 콘텐트에 ▶어린이와 청소년의 접근성을 최소화하고 ▶경고 문구 등으로 음주의 유해성을 알려야 한다는 2개 조항을 신설했다.

전문가들은 이들 규제가 권고 사항에 가까워 음주 미화를 막기에 역부족하다고 지적한다. 중독 연구 권위자인 이해국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교수는 “인기 많은 연예인이 친숙하게 술을 마시는 모습은 주류 광고보다 파급력이 크다”며 “유튜브 등 플랫폼의 자율 규제를 강화하고, 정부의 예방 사업 등이 병행돼야 한다”고 했다. 유현재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공중파부터 OTT, 개인방송까지 스마트폰으로 모두 시청하다 보니 (콘텐트에 대한) 도덕적인 잣대가 전반적으로 하향 평준화하고 있다. 어린이·청소년이 음주 장면을 무분별하게 소비하지 않도록 미디어 문해력 교육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739 [속보] 신안선선 광명 지하터널 붕괴사고 실종자 숨진 채 발견 랭크뉴스 2025.04.16
44738 ‘어제는 광주, 오늘은 울산’… 한덕수, 대권 행보 본격화 랭크뉴스 2025.04.16
44737 “계엄 공세 방어 못하면 필패… 떳떳하게 싸울 후보는 나뿐” 랭크뉴스 2025.04.16
44736 ‘한덕수 재판관 지명’ 정지시킨 헌재···“헌법재판 신뢰 크게 훼손할 가능성” 랭크뉴스 2025.04.16
44735 사시 수석이 학원가 '1타 강사'…수천만원 수강료에 '둠강'도 유행 랭크뉴스 2025.04.16
44734 [속보] 소방당국 "광명 붕괴현장서 실종자 1명 발견" 랭크뉴스 2025.04.16
44733 방첩사 과장 "계엄 해제 임박하자 이재명·한동훈 우선 체포 지시" 랭크뉴스 2025.04.16
44732 헌재 '한덕수 재판관 지명' 효력정지…"임명권 없다면 혼란"(종합) 랭크뉴스 2025.04.16
44731 [속보] 소방청 "광명 붕괴 사고 현장에서 실종자 발견"‥사망 추정 랭크뉴스 2025.04.16
44730 '월권' 제동 걸린 한덕수, 민주 "즉각 지명 철회하고, 사퇴하라" 랭크뉴스 2025.04.16
44729 헌재 “한덕수 총리의 헌법재판관 2명 지명, 효력 정지” 랭크뉴스 2025.04.16
44728 "발표는 했지만 지명은 아냐" 한 대행의 '놀라운 꼼수' 랭크뉴스 2025.04.16
44727 [속보] 소방청 “신안산선 붕괴사고 현장서 실종자 발견” 랭크뉴스 2025.04.16
44726 헌재, '한덕수 재판관 지명' 효력정지… "대행이 임명권 있다고 단정 못해" 랭크뉴스 2025.04.16
44725 강남 한복판 테슬라 사이버트럭에 발길질…경찰, 용의자 추적 랭크뉴스 2025.04.16
44724 헌재 “권한대행 헌법재판관 임명, 국민 기본권 침해 여지” 랭크뉴스 2025.04.16
44723 국힘 ‘빅텐트론’ 펴보기도 전에 삐걱 랭크뉴스 2025.04.16
44722 [단독]윤석열 파면 7일간 관저서 쓴 수돗물만 228톤···2인 가구 한달 사용량 ‘16배’ 랭크뉴스 2025.04.16
44721 마약 집행유예 기간에 약물 운전... 검찰, 벽산그룹 3세 불구속 기소 랭크뉴스 2025.04.16
44720 나경원도 “윤석열 언급 그만”…‘내란 피고인’과 거리 두는 국힘 주자들 랭크뉴스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