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MBC 예능 '나혼자 산다'에 등장하는 음주 미화 한 장면. 방송 캡처

유명 연예인들이 술에 취한 채로 출연하는 ‘술 방송(술방)’ 콘텐트가 많아지면서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가이드라인은 강제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무분별한 음주가 조장·미화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8일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 따르면 전날 가수 보아는 팬 소통 플랫폼인 위버스를 통해 “이틀 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라이브 방송에서 보여드린 경솔한 언행과 발언, 미성숙한 모습으로 불편함을 느끼셨을 모든 분께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그는 “당사자가 없는 자리에서 실례되는 발언을 해 박나래(방송인)님께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렸고, 너그러이 이해해주셔서 감사하다”고 덧붙였다.

문제가 된 방송은 지난 5일 보아가 방송인 전현무와 한밤중에 인스타그램을 통해 진행한 취중 라이브다. 전현무는 “집에 놀러 오신 분이 아끼던 술을 까서 마시고 있다”고 했다. 이어 두 사람은 취기가 도는 얼굴로 대화하거나 몸을 기대는 모습 등을 보였다. 보아는 전현무와 박나래의 열애설이 사실인지를 묻는 댓글에 “오빠(전현무)가 아깝다”고 반응해 논란을 빚었다.

5일 방송인 전현무와 가수 보아의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 영상 캡처

유튜브에서는 술방 콘텐트가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다. 방송인 신동엽의 ‘짠한 형’, 가수 이영지의 ‘차린 건 쥐뿔도 없지만(차쥐뿔)’, 웹툰 작가 겸 방송인 기안84의 ‘술터뷰’ 등이다. 블랙핑크 지수, 아이브 안유진, BTS 등 인기 아이돌이 출연한 유튜브 술방은 조회 수가 수백만을 웃돈다.



음주 미화 장면 2년 새 3배 늘어
음주를 미화하고 권유하는 장면도 자주 연출된다. 가장 해로운 음주 습관으로 꼽히는 원샷, 건배, 술 섞어 마시기를 한다. 지난달 10일 방송된 ‘짠한 형’에 출연한 배우들은 “이게(술이) 보약이다” “혈액 순환에 (좋다)”는 등 대화를 나눈 뒤 원샷을 권했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이 ‘술방’, ‘음주 방송’ 등 단어로 검색되는 조회 수 상위 100개 영상을 모니터링한 결과, 음주를 미화하는 장면은 2021년(27.8%)에 비해 2023년(78%) 3배 가까이 늘었다.

미디어 환경이 변화하면서 술방 콘텐트를 소비하는 경로도 다양해졌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 따르면 최근 3년(2021~2023년)간 TV 시청률 상위 10개 드라마·예능 프로그램 한 편당 음주 장면 송출 횟수는 평균 1.1회로 나타났다. OTT(온라인동영상 서비스) 인기 드라마·예능의 음주 장면은 한 편당 3.7회로 집계됐다. 중·고교생의 약 10%는 드라마·예능에서 음주 장면을 시청한 후 ‘술을 마시고 싶다고 생각했다’는 조사도 있다.

지난달 10일 방송한 '짠한형'에서 술방을 하는 모습. "드라마 홍보하면서 술도 마시고 세상이 좋아졌다"는 발언이 나왔다. 유튜브 캡처



"연예인 음주 모습, 주류 광고보다 영향 커"
유튜브는 미성년자(만 18세 미만)에게 유해한 음주·폭력 등 콘텐트를 자체 가이드라인에 따라 삭제할 수 있다는 규정을 뒀지만, 인기 술방 대부분은 연령 제한 없이 시청할 수 있다. 틱톡도 성인이 과도한 음주를 보여주는 경우 연령 제한을 두도록 했다. 정부도 나섰다. 지난 2023년 보건복지부·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미디어 음주 장면 가이드라인'을 6년 만에 개정했다. 과도한 음주를 부각·미화하는 콘텐트에 ▶어린이와 청소년의 접근성을 최소화하고 ▶경고 문구 등으로 음주의 유해성을 알려야 한다는 2개 조항을 신설했다.

전문가들은 이들 규제가 권고 사항에 가까워 음주 미화를 막기에 역부족하다고 지적한다. 중독 연구 권위자인 이해국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교수는 “인기 많은 연예인이 친숙하게 술을 마시는 모습은 주류 광고보다 파급력이 크다”며 “유튜브 등 플랫폼의 자율 규제를 강화하고, 정부의 예방 사업 등이 병행돼야 한다”고 했다. 유현재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공중파부터 OTT, 개인방송까지 스마트폰으로 모두 시청하다 보니 (콘텐트에 대한) 도덕적인 잣대가 전반적으로 하향 평준화하고 있다. 어린이·청소년이 음주 장면을 무분별하게 소비하지 않도록 미디어 문해력 교육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147 '내란 특검법·명태균 특검법' 국회 재표결서 부결‥법안 폐기 new 랭크뉴스 2025.04.17
45146 의대 모집인원 '3058명'에 복지부 "안타깝다"… 환자·시민단체 "대국민 사기극" new 랭크뉴스 2025.04.17
45145 ‘81세’ 장영자, 또 사기로 징역 1년형···5번째 실형, 총 34년 복역 운명 new 랭크뉴스 2025.04.17
45144 나경원·한동훈·홍준표 ‘죽음의 조’…국민의힘 1차 경선 토론 조편성 new 랭크뉴스 2025.04.17
45143 [속보] 용인 일가족 5명 살해 혐의 50대 구속영장 발부 new 랭크뉴스 2025.04.17
45142 ‘윤석열 파면’ 문형배 “관용과 자제가 윤 탄핵소추문의 핵심” 대학서 특강 new 랭크뉴스 2025.04.17
45141 [속보] 일가족 5명 살해 혐의 50대 구속영장 발부 new 랭크뉴스 2025.04.17
45140 지귀연도 '두 번 특혜' 거절‥"尹 2차 공판 촬영 허가" new 랭크뉴스 2025.04.17
45139 ‘계엄’ 연루 졸업생만 4명인데…파면 윤석열에 “충암의 아들, 수고했다”는 충암고 총동문회 new 랭크뉴스 2025.04.17
45138 [속보] ‘내란 특검법’·‘명태균 특검법’ 본회의 재투표 부결…자동폐기 new 랭크뉴스 2025.04.17
45137 [속보] 지귀연 재판부 촬영 허가…‘피고인 윤석열’ 법정 모습 다음주 공개 new 랭크뉴스 2025.04.17
45136 "머스크가 거길 왜" 격노한 트럼프…'中전쟁계획' 브리핑 막았다 new 랭크뉴스 2025.04.17
45135 "이러다 순직" 17년차 베테랑도 사투…"가엾다" 찍은 사진 한장 [신안산선 붕괴] new 랭크뉴스 2025.04.17
45134 [단독]경찰 대통령실 압수수색 막은 장본인은 수사대상인 ‘정진석·김성훈’이었다 new 랭크뉴스 2025.04.17
45133 “100만 원 주가 목전” 삼양 ‘라면왕’ 등극하나 new 랭크뉴스 2025.04.17
45132 [속보]두번째 내란 특검법·명태균 특검법, 국회 재표결서 부결 new 랭크뉴스 2025.04.17
45131 [속보] 법원, 윤석열 21일 공판 법정 촬영 허가 new 랭크뉴스 2025.04.17
45130 ①'버티면 얻는다' 학습효과 ②트리플링 우려 현실화 ③수험생 고통···교육부의 고집, 다 잃었다 new 랭크뉴스 2025.04.17
45129 [단독] 서부지법 직원 56명 트라우마에 심리치료... 비용 2000만원 가담자에 청구 검토 new 랭크뉴스 2025.04.17
45128 ‘피고인 윤석열’ 법정 모습 공개된다… 재판부, 21일 촬영 허가 new 랭크뉴스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