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구글·메타 등 빅테크 통한 수익은 상호관세율 산정 때 고려 안 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미국의 상호관세가 자의적 기준으로 부과됐다는 사실이 계속 드러나고 있다. 그중 하나는 미국이 상호관세의 세율을 산정할 때 자국이 흑자를 보는 ‘서비스 무역’은 쏙 빼버린 점이다. 구글과 메타, 넷플릭스와 같은 주요 빅테크 기업 등을 통해 벌어들인 수익은 상호관세율 산정 때 고려되지 않았다는 뜻이다.

미국은 무역수지를 산출할 때 상품과 서비스 수출입을 함께 고려한다. 하지만 상호관세 세율을 정할 땐 상품 무역만 반영됐다. 미국은 지난해 한국과의 교역에서도 상품 쪽에선 662억달러 적자를 봤지만, 서비스 쪽에선 107억달러 흑자를 냈다. 상호관세 세율을 산정할 때 서비스 무역이 포함됐다면 한국의 관세율은 25%가 아닌 19%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미국 대부분 국가에서 ‘서비스 무역’ 흑자

7일 미국 상무부 자료를 보면, 미국의 지난해 총 무역수지(수출액-수입액)는 9178억달러 적자다. 그러나 상품과 서비스 무역의 양상이 다르다. 미국은 상품 수출입 쪽에선 1조2130억달러 적자를 봤지만, 서비스 수출입 쪽에선 2952억달러 흑자를 냈다. 상품 교역 쪽의 적자 규모가 큰 탓에 전체 무역수지도 적자를 나타냈다.

미국은 서비스 산업 강국이다. 상품과 달리 서비스 무역 쪽에서는 우리나라는 물론 대부분 국가에서 흑자를 내고 있다. 미국은 지난해 중국(-2952억달러), 유럽연합(-2367억달러), 캐나다(-706억달러) 등에서 상품 무역으로는 큰 적자를 봤지만, 서비스 무역에선 이들 나라에서 모두 흑자를 냈다. 중국에서는 318억달러, 유럽연합에서는 756억달러, 캐나다에서는 349억달러 흑자를 각각 거뒀다.

미국 기업인 구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넷플릭스 등이 전세계에서 벌어들이는 구독료, 수수료, 광고 수입금, 저작권 사용료 등은 모두 서비스 무역에 해당된다. 골드만삭스 등 미국 금융회사가 국외 지점에서 거두는 수익 또한 서비스 무역이다. 여기에 미국 관광, 미국 유학 등도 서비스 무역으로 집계된다.

지난 2일(현지시각) 발표된 미국의 상호관세에는 이런 서비스 무역 흑자는 쏙 빠졌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누리집에 공개한 계산식을 보면, 상호관세율은 교역국에 대한 무역수지를 수입액(교역국의 수출액)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뒤 ‘절반’을 한 수치다. 이때 ‘무역수지’와 ‘수입액’에는 상품 수출입만 반영됐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한겨레에 “미국 무역수지는 상품과 서비스를 함께 집계하는데, 상호관세 계산식엔 자국에 유리한 상품 수출입만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미국이 상호관세 세율을 정할 때 서비스까지 포함한 전체 무역수지를 반영했다면 각국 관세율은 지금보다 낮아진다. 한겨레가 분석해본 결과, 한국의 상호관세율도 25%에서 19%로 낮아진다.


■ 각국, 미국 서비스 분야 보복?

서비스 무역은 실물이 없는 수출입인 까닭에 관세를 부과하기 어렵다. 미국이 상호관세 계산 때 이를 고려했을 가능성은 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율을 정할 때 각국의 플랫폼 규제 등 비관세 장벽을 고려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서비스 무역과 관련된 발언을 해놓고 상품 교역만 계산식에 반영한 건 앞뒤가 맞지 않는 조처다. 한 예로 미 정부는 넷플릭스 등 미국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업체의 망사용료 문제를 비관세 장벽 중 하나로 지목했는데, 한국 정부가 이를 수용하더라도 상호관세율은 낮아지지 않는다. 망사용료는 서비스 무역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미국의 자의적 상호관세율은 되레 부메랑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있다. 미국 주장대로면 서비스 무역 적자를 겪고 있는 전세계가 미국을 향해 똑같이 상호관세를 매길 수 있기 때문이다. 영국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5일 “미국 서비스 무역 흑자에 동일한 방법론(미국 상호관세 계산식)을 적용하면, (미국을 향해) 각국은 평균 19%의 상호관세를 매길 수 있다”고 꼬집었다. 이코노미스트의 접근법으로 한겨레가 계산한 결과, 우리나라도 미국 서비스 무역 흑자와 관련해 20%의 상호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

물론 서비스 무역은 관세 부과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현실에서는 미국 기업을 향한 규제 강화 등의 보복 조처를 각국이 할 수 있다. 미 매체 폴리티코는 “유럽연합이 구글, 제이피모건 등 미국 서비스 부문을 표적으로 하는 보복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기업을 향한 디지털세 부과, 사업 제한 등의 조처가 거론된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076 5년치 일감 쌓은 K방산…상위 투자자 순매수 1위 [주식 초고수는 지금] 랭크뉴스 2025.04.15
44075 이재명, 후원금 모집 시작 "국민 덕분에 검은돈 유혹 없이 정치" 랭크뉴스 2025.04.15
44074 현 고1부터 ‘9모’ 아닌 ‘8모’… 수시원서 9월 중순으로 랭크뉴스 2025.04.15
44073 민주, 한덕수 출마론에 "자신 있으면 나오라…양파 벗기듯 검증" 랭크뉴스 2025.04.15
44072 생후 5개월 아기 뇌출혈에 몸 곳곳 멍자국… '학대 의심' 부부 수사 랭크뉴스 2025.04.15
44071 국회 운영위, 이완규·함상훈 지명철회 촉구 결의안 가결…국민의힘 불참 랭크뉴스 2025.04.15
44070 참치캔 1위 회사에 무슨일이?...동원F&B 상폐 결정 랭크뉴스 2025.04.15
44069 윤석열만 뒷쪽 피고인석에…전직 대통령들 다 첫째 줄인데 랭크뉴스 2025.04.15
44068 "폐소공포증 답답해" 제주공항 활주로서 항공기 비상문 연 승객(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15
44067 "폐소공포증에 답답" 비상구 연 승객…202명 탄 에어서울 '아찔' 랭크뉴스 2025.04.15
44066 용인 아파트서 '일가족 추정 5명 살해' 혐의 50대 남성 검거 랭크뉴스 2025.04.15
44065 김문수, 한덕수 출마론 커지자 "경선하는 사람 입장에서 조금 맥이 빠진다" 랭크뉴스 2025.04.15
44064 중국 경찰 “미 NSA 요원 3명 수배…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 기간 사이버 공격” 랭크뉴스 2025.04.15
44063 안철수 "한동훈, 이재명에게 가장 쉬운 상대‥스스로 물러나야" 랭크뉴스 2025.04.15
44062 홍준표, 빅텐트 재차 언급 “反이재명 연대 만들어야" 랭크뉴스 2025.04.15
44061 붕괴된 신안산선 공사현장, 작년말 하루 1천600t 지하수 빼며 작업 랭크뉴스 2025.04.15
44060 "케이티 페리부터 베이조스 약혼녀까지"…여성만 탑승한 우주선 '무사 귀환' 랭크뉴스 2025.04.15
44059 권성동 “한덕수, 국힘 경선 불출마”…대선 출마 여부는 언급 안 해 랭크뉴스 2025.04.15
44058 불황 이긴 '가격 인상'…눈치도 안 보는 명품 브랜드의 탐욕[최수진의 패션채널] 랭크뉴스 2025.04.15
44057 박찬대 “한덕수, '난가병' 걸려 국회 무시…尹 빼닮아"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