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美 상호관세 대상서 뺐지만 ‘별도 관세’ 예고
물가상승, 고금리로 자금시장 악화될 수도
업계 “바이오 육성 정책, 외교 리더십 절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월 2일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차트를 들고 상호 관세 부과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 로이터연합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등 국내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 주가가 7일 일제히 급락했다. 의약품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빠졌음에도 전 세계 증시 하락 추세를 피하지 못했다. 트럼프 정부가 언제든지 추가 관세 공격을 할 수 있고, 인허가 지연과 자금 조달 악화 등 불확실성이 늘었기 때문이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일(현지 시각) 모든 수입품에 기본 10% 관세를 부과하고, 60여개 교역국에는 징벌적 관세를 추가로 얹는 상호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상호관세 부과 대상 품목에서 의약품은 제외됐지만 전문가들은 의약품에도 언제든 추가 관세 부과가 가능하다고 본다.

의약품, 별도 관세 가능…자금 압박도 우려
백악관공동취재단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일 플로리다주 마이애미로 가는 대통령 전용기에서 취재진에 “지금 의약품 분야를 살펴보고 있는데, 이것은 (기존 관세와) 별도의 카테고리”라며 “가까운 미래에 발표할 예정이며, 현재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의약품은 미국 입장에서도 관세를 높이기가 쉽지 않다. 생명과 직결되는 의약품에 관세를 부과하면 자국민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수입 의약품에 관세를 부과하면 제조 비용이 급증해 의약품 가격이 오르고 환자에 피해가 갈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의약품은 오랫동안 무역전쟁에서 제외됐다.

그럼에도 트럼프 행정부가 의약품을 세분화해 관세를 매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 경우 대상 의약품 범위와 관세율에 따라 국내 바이오 기업이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의약품에 매기는 관세율에 변화가 없더라도 미국의 전방위적 관세 정책이 한국 바이오 기업의 자금 조달을 어렵게 하는 ‘나비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허혜민 키움증권 연구원은 “전반적인 관세 정책 영향으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이어지면 고금리 기조를 지속할 수 있다”며 “이로 인해 결국 바이오텍의 어려운 자금 조달 상황이 지속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연방정부 구조조정 정책도 미국 시장에 진출했거나 추진 중인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보건복지부 직원 약 1만명을 해고하기로 했다. 구조조정 대상엔 질병통제예방센터(CDC)와 식품의약국(FDA), 국립보건원(NIH)이 포함됐다. 허 연구원은 “트럼프 행정부의 구조조정 영향으로 FDA의 신약 허가 관문이 좁아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신약 공동 연구개발(R&D)도 위축될 수 있다.

한미일 3국 외교수장이 4월 3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 나토 본부에서 약 두 달 만에 진행된 회동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조태열 외교부 장관,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 /연합뉴스

외교·통상 지원 절실…리더십 부재가 악재
사정이 이렇지만 정부와 국회가 트럼프 정부에 제대로 대처하기 힘들어졌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 결정 이후 정치권이 ‘조기 대선’ 모드로 전환하고 있어 국회는 법안 심사와 정책 논의를 사실상 중단할 것으로 보인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관계자는 “조기 대선이 확정되면서 복지위 소관 법안 심사도 늦춰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원래 국회는 4월 중 법안 심사소위원회와 전체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었으나 이를 열지 않고 후속 일정과 절차들이 줄줄이 밀릴 수 있다는 의미다.

산업계는 제약·바이오 산업 지원·육성 정책과 함께 외교·통상 분야의 리더십을 촉구하고 있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현재 바이오업계가 의약품에 대한 상호 관세는 면제됐지만, 아직 별도 관세 조치가 남아 있다”며 “다른 국가처럼 난맥상으로 남아 있는 관세 문제를 세부 산업별로, 범정부적으로 풀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 부회장은 바이오산업 육성 정책도 빨리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이 부회장은 “미국이 의료비 감축을 위해 약가 인하 정책을 쓸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바이오시밀러(바이오 의약품 복제약)와 제네릭(합성의약품 복제약) 사업 기회는 더 커질 수 있다”며 “한국 기업들이 경쟁력을 갖고 있는 만큼, 이런 기회를 잘 잡으려면 정부 차원의 외교·통상 힘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361 [사설] “주 4.5일제” “정년 연장”…선거용 노동 포퓰리즘 경쟁 자제해야 랭크뉴스 2025.04.16
44360 윤석열의 93분 궤변 쇼…파면되고도 헌재 결정문 ‘입맛대로’ 랭크뉴스 2025.04.16
44359 경찰, 포스코홀딩스 ‘호화 해외 이사회’ 의혹 무혐의 처분 랭크뉴스 2025.04.16
44358 [사설] 정치권 ‘정부 12조 추경’에 “돈 더 풀라” 압박 말고 AI 지원 늘려라 랭크뉴스 2025.04.16
44357 사업 실패가 비극으로…일가족 5명 살해 혐의 50대 가장 체포 랭크뉴스 2025.04.16
44356 [사설] 한 대행만 바라보는 국민의힘 대선 레이스, 정상인가 랭크뉴스 2025.04.16
44355 김성훈 "이달 말 나가겠다" 사의 표명‥"지금 당장 나가야" 랭크뉴스 2025.04.16
44354 이번엔 전국민 무료 AI?… 선거철마다 떠는 통신사 랭크뉴스 2025.04.16
44353 삼성전기, BYD 등 中업체에 차량용 부품 대량 공급…최근 이재용 중국 방문 맞물려 주목 랭크뉴스 2025.04.16
44352 한덕수, 출마설 입 닫은 채 광주 방문…민주 “대선 놀음” 비판 랭크뉴스 2025.04.16
44351 ‘반도체 관세’ 앞두고…엔비디아도 AMD도 “TSMC 미국공장서 생산” 랭크뉴스 2025.04.16
44350 “미국의 일방적 괴롭힘에 함께 반대해야”…시진핑, 베트남 방문해 ‘공동 대응’ 호소 랭크뉴스 2025.04.16
44349 "싱싱한 20대에 애 낳아라"…수업 중 성희롱 발언한 교사 결국 랭크뉴스 2025.04.16
44348 "초코파이 부족해요" 이 나라선 난리…오리온 결국 파이 키운다 랭크뉴스 2025.04.16
44347 ‘수억원대 금품 수수 혐의’ 이베스트투자증권 전 본부장 구속 랭크뉴스 2025.04.15
44346 이재명 “공수처 대폭 강화” 검찰 견제 구상…정치 보복엔 선 긋고 ‘내란 세력 단죄’ 의지 랭크뉴스 2025.04.15
44345 토허구역 해제에…3월 서울 집값 6개월來 최대 상승[집슐랭] 랭크뉴스 2025.04.15
44344 ‘트럼프 통제’ 맞선 하버드 “독립성 포기 않을 것” 랭크뉴스 2025.04.15
44343 수업 중 "몸 싱싱한 20대에 애 낳아야…하체 튼튼하고 성숙할 때" 교사 결국 랭크뉴스 2025.04.15
44342 ‘찔끔’ 늘린 정부 추경안…민주당 “국회서 최소 15조까지 증액”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