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탄핵·황금연휴·조기 대선
3대 리스크에 분양 '실종'
4~5월 서울 580가구 불과
고척·동작 등서 줄줄이 연기
6월 '잠실르엘'도 미뤄질듯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서울경제]

대통령 탄핵과 5월 황금연휴, 6월 조기 대선 이슈까지 휘몰아치면서 서울 아파트 분양 가뭄 현상은 더욱 심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대출과 다주택자 규제 등 부동산 정책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지역들의 일정은 올 하반기 이후로 대거 지연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6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1~6월 수도권 아파트 분양 물량은 5만여 가구로 추정된다. 이는 전년(5만 5000가구) 대비 약 10% 감소한 규모다. 그러나 분양 업계는 실제 분양 실적이 이보다 더 저조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연초부터 주요 단지의 분양 일정이 줄줄이 밀리고 있기 때문이다. 경기 의정부 ‘힐스테이트 회룡역 파크뷰(1816가구)’는 애초 올해 2월 분양 예정이었지만, 이달에도 구체적인 일정을 잡지 못하고 있다. 시공사 관계자는 “분양 시장 추이를 보고 조합 측에서 계획을 연기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인천 ‘시티오씨엘 7단지(1453가구)’도 분양 시기를 2월에서 이달로 미뤘지만, 입주자모집공고가 아직 나오지 않았다.

올해 들어 서울의 분양 물량은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 중이다. 1~3월 분양에 나선 곳은 올해 2월 공급한 서초구 ‘래미안 원페를라(1097가구)’가 유일하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공급 실적(6700여 가구)의 20%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규모다. 4월과 5월에도 각각 중구 ‘청계 노르웨이숲’과 은평구 ‘힐스테이트 메디알레’ 2곳만 현재 분양이 가시화된 상태다. 힐스테이트 메디알레는 대조동 88번지 일대 대조1구역을 재개발한 단지로 지하 3층~지상 25층, 2451가구 규모로 조성될 예정이다. 이마저도 일반분양 물량은 483가구뿐이다. 구로구 ‘고척푸르지오힐스테이트(983가구)’, 동작구 ‘힐스테이트이수역센트럴(801가구)’, 성북구 ‘서울동선2구역(334가구)’도 다음 달 분양을 계획 중이지만 미뤄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분양 업계의 한 관계자는 “입주자모집공고가 나와야지만 정확한 공급 일정을 알 수 있다”면서도 “이 추세대로라면 4월에 이어 5월에도 서울 일반 분양 물량은 500가구를 밑돌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탄핵 등 정국 혼란에 수요자들의 관심이 분산되자 저조한 분양 실적을 우려한 조합 등 시행사가 일정을 미룬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다음 달의 경우 1일 근로자의 날부터 최장 6일간 이어지는 황금연휴도 분양 일정 조율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연초만 해도 서울은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에 신축이 공급되는 6월에는 분양 시장에 숨통이 트일 것이라는 기대가 컸다. 그러나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에 따라 조기 대선이 치러지게 되면서 다시 안갯속에 빠졌다. 실제 2022년 제20대 대선이 열린 3월 서울의 분양 단지는 단 2곳으로, 일반 분양 물량은 300여 가구에 불과했다. 송파구 미성크로바아파트를 재건축하는 ‘잠실르엘(1865가구)’은 올 상반기 분양이 점쳐졌지만, 미뤄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서초구 신동아아파트를 재건축 한 ‘아크로드서초(1161가구)’도 시기를 저울질 중이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 수석은 “정책 불확실성과 여름철 비수기, 금리 인하 시점 지연 가능성에 9월 이후 공급이 집중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미분양 낙인이 찍히면 이를 해소하는 데 큰 걸림돌이 돼 불확실성 해소가 가장 큰 유인책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미분양이 쌓여 대출 등 부동산 정책 영향이 큰 경기 일부 지역에서도 분양이 급감할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2월 경기 지역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총 2212가구로 전월 대비 약 6% 증가했다. 지역 경기가 침체한 평택·이천 등에서 불 꺼진 아파트가 늘어난 탓이다.

분양 가뭄 등으로 억눌렸던 수요가 올 하반기 한 번에 쏠리면 집값 불안이 커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내년 서울의 입주 물량은 9640가구에 그칠 전망이다. 이는 올해 예정 물량(3만 7681가구)의 약 25% 수준에 불과하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어떤 대선 후보든 선거 과정에서 표심을 얻기 위해 실수요자 중심의 부동산 경기 부양책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하반기 집값 상승을 부추기는 촉매제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851 “이진숙 종군기자 경력은 허위” 주장한 유튜버들 2심도 벌금형 랭크뉴스 2025.04.15
48850 버스 승객 47명 다쳤는데…드러누워 ‘인증샷’ 찍은 중국인 여성들 [잇슈#태그] 랭크뉴스 2025.04.15
48849 LIG넥스원 10% 주주로…국민연금, 원전·방산·조선株 늘렸다 랭크뉴스 2025.04.15
48848 국민의힘 경선에 11명 후보 등록‥'대망론' 한덕수는 불참 랭크뉴스 2025.04.15
48847 "누가 X 싸고 내렸다"…지하철 9호선 인분 소동,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4.15
48846 [단독] 'IFC' 떼내는 현대제철 …동국제강이 전격 인수[시그널] 랭크뉴스 2025.04.15
48845 "미묘한 시기에 호남갔다"…불출마 침묵한 韓 대행 광폭행보 랭크뉴스 2025.04.15
48844 김부겸 측 "제3지대 '빅텐트' 금시초문‥김부겸은 민주당원" 랭크뉴스 2025.04.15
48843 안철수·나경원의 동시다발 ‘한동훈 때리기’는 4강 전략? 랭크뉴스 2025.04.15
48842 이재명 “공수처 대폭 강화···한·중 관계는 중국도 상당한 책임” 랭크뉴스 2025.04.15
48841 “민주당 편만 드나? 의장 사퇴하라” 국민의힘, 본회의장 퇴장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5
48840 정부 추경 ‘10조→12조’ 증액…민주 “15조로” 요구 낮춰 절충 주목 랭크뉴스 2025.04.15
48839 '술 면접' 논란까지 터지자 또 "전면 쇄신" 다짐하며‥ 랭크뉴스 2025.04.15
48838 윤석열 “이래서 재판 되겠냐”…자꾸 봐주니 판사한테도 훈계 랭크뉴스 2025.04.15
48837 실력으로 金 휩쓴 K양궁처럼… 품질로 美 매료시킨 ‘K뷰티’ 랭크뉴스 2025.04.15
48836 "검찰 장악해 칼춤 한번?"‥이재명 '껄껄' 웃더니 랭크뉴스 2025.04.15
48835 고개 숙인 더본코리아 “다 바꾸겠다…필사의 각오로 혁신” 랭크뉴스 2025.04.15
48834 [단독] 배민 B마트, 전주서도 달린다…퀵커머스 전쟁 가열 랭크뉴스 2025.04.15
48833 유시민 "대통령 되면 피바람?"…이재명 "인생서 보복한 적 없다" 랭크뉴스 2025.04.15
48832 대선 경선 스타트... 민주당 27일, 국민의힘 늦어도 내달 3일 후보 확정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