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美 수출 비중이 80%... 69%는 인도네시아서 생산
증권가 “인니 상호관세율 32% 적용하면 관세 400억원 추가될 것”
경쟁사 생산지인 멕시코도 34% 관세 적용... “영향 한정적” 시각도

현대백화점그룹의 가구 제조 부문 자회사 지누스의 주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 관세 발표 여파에 급락했다. 미국 시장을 주무대로 하는 지누스는 발표 직전만 해도 미국 보호무역 정책의 수혜주로 주목받았다. 그러나 미국이 이 회사의 주요 매트리스 생산처인 인도네시아에 고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상황이 반전됐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누스는 미국의 상호 관세 발표 직후인 지난 3일 주가가 전날 대비 20.09%(4350원) 급락한 1만7300원을 기록한 데 이어, 다음 날 1만6430원으로 마감했다.

그래픽=손민균

지누스는 ‘아마존 매트리스’라는 별칭이 붙을 만큼 총매출액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80%로 절대적이다. 매트리스의 69%가 32%의 관세율을 맞은 인도네시아에서 생산되고 있다. 34%는 중국(상호 관세율 34%)에서 생산된다.

이 회사는 현재 캄보디아 공장 증설도 계획 중인데, 이번에 미국이 캄보디아에 49%의 상호 관세율을 적용하면서 악재로 작용할 거란 전망이 나온다.

지누스는 정지선 현대백화점그룹 회장이 2022년 3월 8790억원을 투입해 사들인 계열사다. 매트리스와 프레임, 토퍼 등을 한 상자에 압축해 담아 배송하는 기술(매트리스 인 어 박스)을 선보여 미국 온라인 매트리스 시장 점유율 30%가량을 확보했다.

하지만 현대백화점 인수 후엔 코로나19 영향으로 미국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과잉 재고가 쌓여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실적이 개선되며 ‘효자 계열사’로 부상했다.

작년 4분기 지누스는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4%, 852% 증가했다. 재고가 축소되면서 매트리스 생산 가동률이 작년 1분기 70%에서 2분기 95%까지 회복한 것이 원인이다. 작년 6월 인도네시아 3공장 증설로 연간 생산 능력이 90만 개에서 151만 개로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연간으로는 매출액이 3.3% 감소한 9204억원, 영업손실은 53억원이 발생했다. 정지영 현대백화점 대표는 지난달 열린 주주총회에서 “지누스가 지난해 4분기 실적 턴어라운드를 실현했고, 올해부터는 본격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했다.

지난해 중국 상해에 문을 연 지누스 플래그십스토어(대표 매장) 전경. /지누스 제공

미국 상호 관세 발표 전만 해도 지누스는 트럼프 보호무역 정책의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 2월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에서 들어오는 불법 이민자와 마약 유입 등을 이유로 모든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다.

2023년 기준 국가별 미국향 매트리스 수출 비중은 인도네시아 24%, 멕시코 23%였다. 이에 따라 지누스는 멕시코에 공장이 있는 매트리스 경쟁사 대비 가격 경쟁력이 부각될 거란 관측이 나왔다.

현재 지누스가 인도네시아 생신 기지에서 생산하는 연 6000억원 규모의 매트리스 제품이 북미에서 판매되고 있다. 다만, 모든 제품에 관세가 적용되는 건 아니다. 아마존이 사입하는 직접수입(DI·Direct Import) 규모는 4500억원, 북미 창고에서 판매되는 대리수입(Do·Domestic Import)은 규모는 1500억원인데 DI에 적용되는 관세는 아마존 측이, DO에 적용되는 관세는 지누스가 부담한다.

이를 기반으로 NH투자증권은 인도네시아 32% 상호 관세 부과 시 지누스의 관세 비용이 연간 350억~400억원 추가될 것으로 예상했다.

일각에서는 지누스 제품 5개가 아마존 내 매트리스 순위 10위 안에 들 만큼 북미 브랜드 인지도가 높고, 경쟁사의 생산지들도 높은 관세율을 적용받았다는 점에서 성장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일례로 미국 매트리스 주요 생산기지 중 하나인 멕시코 역시 45%의 높은 관세율을 부과받았다.

백준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누스가 사용할 수 있는 카드는 제품 판매 가격 인상 및 DO 비중 조정”이라며 “예상되는 판매가 인상 폭은 10~30%로 추정되며, 이를 반영하면 실질 관세 영향은 예상치보다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948 탄핵됐어도 경호시설 예산 140억 집행될까?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5
43947 [속보]트럼프 "美서 만들려면 시간 필요"…車부품 관세 추가 면제 시사 랭크뉴스 2025.04.15
43946 태양광 비리 쫓던 檢, '여론조사 조작' 꼬리를 찾았다...무더기로 발견된 휴대폰 랭크뉴스 2025.04.15
43945 [샷!] "임신·사고쳤다는 오해 받을까봐…" 랭크뉴스 2025.04.15
43944 "반대 없습니까" 불통의 K주총…젠슨황이 설명, 소통의 美주총 [K주총의 그늘] 랭크뉴스 2025.04.15
43943 3년 만에 가입자 2000만 돌파…신용점수도 '이만큼' 올렸다 [S머니-플러스] 랭크뉴스 2025.04.15
43942 선고일 화환까지 26t 치워… “한겨울에 속옷 다 젖었어요” 랭크뉴스 2025.04.15
43941 '노아의 방주' 흔적 나올까…아라라트산 유적 발굴 추진 랭크뉴스 2025.04.15
43940 [이희옥 칼럼] 美, 중국의 수를 잘못 읽었다 랭크뉴스 2025.04.15
43939 이재명 “조국혁신당은 동지…통 큰 단합으로 정권교체 이룰 것” 랭크뉴스 2025.04.15
43938 李, 유시민·도올과 '차기정부 과제' 대담…영상으로 공개 랭크뉴스 2025.04.15
43937 트럼프 "美서 만들려면 시간 필요"…車부품 관세 추가 면제 시사(종합) 랭크뉴스 2025.04.15
43936 트럼프, 자칭 '쿨한 독재자' 엘살바도르 대통령에 "환상적" 랭크뉴스 2025.04.15
43935 트럼프 "우크라戰, 푸틴·바이든·젤렌스키 책임…곧 좋은 제안" 랭크뉴스 2025.04.15
43934 경기도 법카 유용 혐의 김혜경, 2심도 벌금 300만원 구형 랭크뉴스 2025.04.15
43933 "내 반려견 지켰을 뿐인데"…퓨마 죽인 남성, 이웃들이 경찰에 신고한 이유 랭크뉴스 2025.04.15
43932 ‘한국 IT 대부’ 이용태 전 삼보컴퓨터 회장 별세 랭크뉴스 2025.04.15
43931 이재명 “한국형 챗GPT 무료 보급”…AI 기본사회론 꺼냈다 랭크뉴스 2025.04.15
43930 윤 “평화적 대국민 메시지 계엄” 93분 항변 랭크뉴스 2025.04.15
43929 엔비디아 "美서 4년간 700조원 규모 AI 인프라 생산 계획" 랭크뉴스 202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