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노조·여성·성소수자·이민자 단체 등 주도
60만명이 참여···트럼프 2기 최대 규모 시위
“억만장자 권력 장악 끝내고 민주주의 위한 것”
트럼프는 평소와 다를 바 없이 골프 즐겨
5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핸즈오프’ 시위에 수천명의 시민들이 참여하고 있다. UPI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일방주의적 국정 운영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5일(현지시간) 미국 전역에서 벌어졌다. 글로벌 관세 정책, 연방정부 구조조정, 이민자 추방 등 ‘트럼프표 정책’에 쌓여온 반감이 정부 출범 2개월여 만에 전국적으로 터져 나왔다.

AP통신과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이날 워싱턴DC, 뉴욕, 로스앤젤레스 등 주요 도시를 포함한 미국 50개 주에서 150개 이상 단체가 최소 1200건의 시위를 열었다. 이번 시위는 민권단체와 노동조합, 여성·성소수자·이민자 권익 단체 등이 주도했으며 이들 추산 60만명이 시위에 참석했다. 미 언론들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가장 큰 규모로 전국적인 시위가 벌어졌다고 평가했다.

이날 시위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는 정책에 반대하고, 이를 중단하라는 의미에서 ‘핸즈 오프(Hands Off·손 떼라)’라는 이름이 붙었다. 주최 측은 “(핸즈 오프는) 억만장자의 권력 장악을 끝내고 미국 민주주의를 위한 것”이라며 “주 의사당, 연방 건물, 의회 청사, 공원, 시청 등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든 시위를 연다”고 밝혔다. 이어 “1%가 아닌 모든 국민을 위한 정부를 요구하는 목소리를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5일(현지시간)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폴 미네소타주 의사당 앞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반대하는 ‘핸즈오프’ 시위가 열리고 있다. AFP연합뉴스<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거리에 나선 시민들은 트럼프 대통령과 정부효율부(DOGE)를 이끄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주도하는 연방 공무원 대규모 해고 조치를 비롯해 사회보장기금 삭감 등 복지 축소, 이민자·트랜스젠더 등 소수자를 향한 공격 조치 등에 분노를 표했다.

워싱턴DC 백악관과 1.6㎞ 거리인 워싱턴기념탑 주변에서 열린 시위에는 수만 명이 모이기도 했다. 뉴욕 허드슨 밸리에서 축산업에 종사하는 잭 버렌즈(28)는 워싱턴의 시위 현장을 찾아왔다며 “억만장자와 부자들이 우리의 정치 시스템을 통제하는 게 정말 싫다. 이 나라는 그런 데 기반을 두지 않았다”고 워싱턴포스트(WP)에 말했다. 코네티컷주에서 시위에 참여하기 위해 워싱턴까지 6시간 운전해 왔다는 카트린 힌리히센은 “(트랜스젠더인 아들이) 갑자기 증오의 대상이 됐다. 정치적으로 편리하기 때문”이라며 “그저 분노할 뿐”이라고 뉴욕타임스(NYT)에 말했다.

시위 참가자들은 “트럼프와 머스크는 나가야 한다” “권력에서 손을 떼야 한다” 등 구호를 외쳤다. 손에는 “나의 권리와 돈, 민주주의에서 손 떼라” “과두정치를 멈춰라” “왕은 없다” 등이 적힌 플래카드를 들기도 했다. 시위는 폭력 사태 없이 평화로운 방식으로 진행됐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5일(현지시간) 미국 델라에워주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반대하는 ‘핸즈 오프’ 시위가 열리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민주당 정치인들도 시위에 동참해 연설했다. 제이미 래스킨 하원의원(메릴랜드)은 워싱턴에 모인 시민들 앞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무솔리니의 정치와 허버트 후버의 경제를 가진 인물”이라고 비판하며 “미국의 건국자들은 ‘독재자’가 아닌 ‘국민’으로 시작하는 헌법을 작성했다”고 강조했다. 허버트 후버 미국 대통령은 1930년 수입품 관세를 대폭 끌어올리는 관세법에 서명해 관세율을 60%까지 끌어올렸다. 일한 오마르(미네소타), 맥스웰 프로스트(플로리다) 하원의원 등도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비판을 이어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리조트 인근에서 골프를 즐겼다. 마러라고에서 약 6㎞ 떨어진 웨스트 팜비치에는 400여명의 시위대가 모였다. 시위 현장을 지나가는 일부 차들은 경적을 울리며 시위대를 지지했다. 일부 시위자들은 “주식시장은 폭락하고, 트럼프는 골프를 친다”는 문구가 적힌 플래카드를 들기도 했다.

뉴욕증시 9600조 증발에도···트럼프, 골프 치며 “버텨라”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혼란으로 몰아넣은 상호관세 정책을 “경제 혁명”에 비유하며 강행 의지를 재확인했다. 관세 폭탄을 맞은 글로벌 금융시장이 팬데믹 이후 최악의 하락장을 맞이한 상황에서 어김없이 주말 골프를 즐기는 행보를 이어가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이것(상호관세)은 경제 혁명이...https://www.khan.co.kr/article/202504061342001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161 함상훈 헌법재판관 후보자, ‘2400원 횡령 버스기사’ 해고 판결 new 랭크뉴스 2025.04.09
46160 이완규, 윤석열 파면 전 ‘낙점’ 의혹…인사검증 하루도 안 걸려 new 랭크뉴스 2025.04.09
46159 “재판을 언제까지 끕니까!” 법원에 분노한 해병대 전우회 [이런뉴스] new 랭크뉴스 2025.04.09
46158 “줄 선 나라 많아서 힘들어” 트럼프만 신났나…숨 막히는 관세 눈치 싸움 [이런뉴스] new 랭크뉴스 2025.04.09
46157 “3년 소설 같았다” 대표직 사퇴 이재명…10일 대선 출마선언 new 랭크뉴스 2025.04.09
46156 민주, ‘이완규 저지’ 총력···‘권한대행 재판관 지명 금지법’ 법사위 통과 new 랭크뉴스 2025.04.09
46155 빅4·고려대 의대 학생대표 "투쟁 지속"…서울대는 수업 참여 랭크뉴스 2025.04.09
46154 이완규 “헌법재판관 돼 헌법 질서 구현에 일조하고 싶다” 랭크뉴스 2025.04.09
46153 ‘180cm 거대견’ 해피·조이, 윤 대통령 파면 이후 거취는?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9
46152 美 “우리가 갈취할 차례”… 상호관세 발효 랭크뉴스 2025.04.09
46151 ‘한덕수 지명’ 함상훈 판사, ‘요금 2400원’ 횡령 버스기사 해고 판결 전력 랭크뉴스 2025.04.09
46150 치솟는 환율 “1500원도 가시권”…금융위기 뒤 16년 만에 최고 랭크뉴스 2025.04.09
46149 "밤에 밥 먹지 마세요"…야간 근무자도 낮에만 먹었더니 '이것' 확 낮아졌다 랭크뉴스 2025.04.09
46148 "손실 나도 원금 지급"…예금보다 수익률 높은 이 상품 나온다 랭크뉴스 2025.04.09
46147 美 국채 발작에 자금시장 대혼란…"환율 1500원도 각오해야" 랭크뉴스 2025.04.09
46146 헌법재판소 "'이완규·함상훈 지명' 헌법소원·효력정지 가처분 접수" 랭크뉴스 2025.04.09
46145 "진짜 눈물나고 속상해"…착불로 70만 원 내고 받은 구호품, 알고 보니 '쓰레기' 랭크뉴스 2025.04.09
46144 휴가 내고 대선 출마하는 오세훈 “시장직 유지가 시민에 대한 도리” 랭크뉴스 2025.04.09
46143 "구속해야" 언성 높인 민주…이완규는 몸 낮추며 "잘 할 수 있다" 랭크뉴스 2025.04.09
46142 ‘대통령 기록물’ 이관 시작…“내란 관련 문서 봉인돼선 안 된다” 랭크뉴스 202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