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노조·여성·성소수자·이민자 단체 등 주도
60만명이 참여···트럼프 2기 최대 규모 시위
“억만장자 권력 장악 끝내고 민주주의 위한 것”
트럼프는 평소와 다를 바 없이 골프 즐겨
5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핸즈오프’ 시위에 수천명의 시민들이 참여하고 있다. UPI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일방주의적 국정 운영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5일(현지시간) 미국 전역에서 벌어졌다. 글로벌 관세 정책, 연방정부 구조조정, 이민자 추방 등 ‘트럼프표 정책’에 쌓여온 반감이 정부 출범 2개월여 만에 전국적으로 터져 나왔다.

AP통신과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이날 워싱턴DC, 뉴욕, 로스앤젤레스 등 주요 도시를 포함한 미국 50개 주에서 150개 이상 단체가 최소 1200건의 시위를 열었다. 이번 시위는 민권단체와 노동조합, 여성·성소수자·이민자 권익 단체 등이 주도했으며 이들 추산 60만명이 시위에 참석했다. 미 언론들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가장 큰 규모로 전국적인 시위가 벌어졌다고 평가했다.

이날 시위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는 정책에 반대하고, 이를 중단하라는 의미에서 ‘핸즈 오프(Hands Off·손 떼라)’라는 이름이 붙었다. 주최 측은 “(핸즈 오프는) 억만장자의 권력 장악을 끝내고 미국 민주주의를 위한 것”이라며 “주 의사당, 연방 건물, 의회 청사, 공원, 시청 등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든 시위를 연다”고 밝혔다. 이어 “1%가 아닌 모든 국민을 위한 정부를 요구하는 목소리를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5일(현지시간) 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폴 미네소타주 의사당 앞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반대하는 ‘핸즈오프’ 시위가 열리고 있다. AFP연합뉴스<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거리에 나선 시민들은 트럼프 대통령과 정부효율부(DOGE)를 이끄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주도하는 연방 공무원 대규모 해고 조치를 비롯해 사회보장기금 삭감 등 복지 축소, 이민자·트랜스젠더 등 소수자를 향한 공격 조치 등에 분노를 표했다.

워싱턴DC 백악관과 1.6㎞ 거리인 워싱턴기념탑 주변에서 열린 시위에는 수만 명이 모이기도 했다. 뉴욕 허드슨 밸리에서 축산업에 종사하는 잭 버렌즈(28)는 워싱턴의 시위 현장을 찾아왔다며 “억만장자와 부자들이 우리의 정치 시스템을 통제하는 게 정말 싫다. 이 나라는 그런 데 기반을 두지 않았다”고 워싱턴포스트(WP)에 말했다. 코네티컷주에서 시위에 참여하기 위해 워싱턴까지 6시간 운전해 왔다는 카트린 힌리히센은 “(트랜스젠더인 아들이) 갑자기 증오의 대상이 됐다. 정치적으로 편리하기 때문”이라며 “그저 분노할 뿐”이라고 뉴욕타임스(NYT)에 말했다.

시위 참가자들은 “트럼프와 머스크는 나가야 한다” “권력에서 손을 떼야 한다” 등 구호를 외쳤다. 손에는 “나의 권리와 돈, 민주주의에서 손 떼라” “과두정치를 멈춰라” “왕은 없다” 등이 적힌 플래카드를 들기도 했다. 시위는 폭력 사태 없이 평화로운 방식으로 진행됐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5일(현지시간) 미국 델라에워주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반대하는 ‘핸즈 오프’ 시위가 열리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민주당 정치인들도 시위에 동참해 연설했다. 제이미 래스킨 하원의원(메릴랜드)은 워싱턴에 모인 시민들 앞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무솔리니의 정치와 허버트 후버의 경제를 가진 인물”이라고 비판하며 “미국의 건국자들은 ‘독재자’가 아닌 ‘국민’으로 시작하는 헌법을 작성했다”고 강조했다. 허버트 후버 미국 대통령은 1930년 수입품 관세를 대폭 끌어올리는 관세법에 서명해 관세율을 60%까지 끌어올렸다. 일한 오마르(미네소타), 맥스웰 프로스트(플로리다) 하원의원 등도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비판을 이어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리조트 인근에서 골프를 즐겼다. 마러라고에서 약 6㎞ 떨어진 웨스트 팜비치에는 400여명의 시위대가 모였다. 시위 현장을 지나가는 일부 차들은 경적을 울리며 시위대를 지지했다. 일부 시위자들은 “주식시장은 폭락하고, 트럼프는 골프를 친다”는 문구가 적힌 플래카드를 들기도 했다.

뉴욕증시 9600조 증발에도···트럼프, 골프 치며 “버텨라”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혼란으로 몰아넣은 상호관세 정책을 “경제 혁명”에 비유하며 강행 의지를 재확인했다. 관세 폭탄을 맞은 글로벌 금융시장이 팬데믹 이후 최악의 하락장을 맞이한 상황에서 어김없이 주말 골프를 즐기는 행보를 이어가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이것(상호관세)은 경제 혁명이...https://www.khan.co.kr/article/202504061342001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821 대낮에 만취상태인 50대…음주운전 혐의 '무죄'받은 이유는? 랭크뉴스 2025.04.07
» »»»»» “트럼프, 손 떼라”···미국 전역서 1200건 반대 시위 확산 랭크뉴스 2025.04.07
44819 '아이 낳으면 1억' 인천시, 인구 증가율 1위 찍었다 랭크뉴스 2025.04.07
44818 “트럼프 찾아간 남극 펭귄”…‘무인도 관세’에 조롱 밈 랭크뉴스 2025.04.07
44817 이란 "오만 통해 핵협상하자…미국 동의하면 곧 시작" 랭크뉴스 2025.04.07
44816 다시 떠오른 ‘오픈프라이머리’ 요구···이재명, 수용할까 랭크뉴스 2025.04.07
44815 윤석열 파면에 의료계 전열 정비··· 의정 갈등 장기화 가능성도 랭크뉴스 2025.04.07
44814 “트럼프 손 떼라” 미국 1400건 동시 시위 랭크뉴스 2025.04.07
44813 트럼프 놀리는 ‘펭귄 밈’ 확산…“정장은 입었잖소” 랭크뉴스 2025.04.07
44812 美재무 "'관세=경기침체' 고려할 이유 없어…불안정 견딜 것" 랭크뉴스 2025.04.07
44811 尹 파면에 270만호 공급 계획 등 부동산 정책 개편 불가피 랭크뉴스 2025.04.07
44810 프란치스코 교황, 퇴원 2주 만에 성베드로 광장에 깜짝 등장 랭크뉴스 2025.04.07
44809 尹 파면에 곤봉으로 유리창 ‘쾅’…경찰버스 부순 20대 남성 결국 랭크뉴스 2025.04.07
44808 한덕수, 내란문건 봉인하나…‘대통령기록물’ 되면 최대 30년 비공개 랭크뉴스 2025.04.07
44807 대선·개헌 동시투표…우원식 쏘아올렸다 랭크뉴스 2025.04.07
44806 김재섭, 친윤 중진 향해 "제거해야 할 고름" 직격 랭크뉴스 2025.04.07
44805 [사설] 승복 거부 지지자 선동 尹의 미망, 국민의힘이 차단해야 랭크뉴스 2025.04.07
44804 美상무 "상호관세, 부과될 것…트럼프 발표 농담 아니다" 랭크뉴스 2025.04.07
44803 반트럼프 1300곳 시위…관세 전쟁에 “대참사” 공화당도 비판 랭크뉴스 2025.04.07
44802 젤렌스키 "러, '휴전 대상' 흑해서 미사일…美 대응해달라" 랭크뉴스 2025.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