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욕타임스 “펭귄 밈 인기”
남극 근처 무인도에 관세를 부과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행동에 대한 풍자가 사회관계망서비스 등에 확산되며 ‘밈(meme)’으로 자리잡았다. 사회관계망서비스 갈무리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전세계에 광범위한 관세를 부과하고 상대 국가들이 맞불 관세로 보복하면서, 세계 증시는 큰 폭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하지만 예상 못한 ‘상승세’도 있었다. 바로 ‘펭귄 밈(meme·인터넷에서 유행하는 문화를 말함)’ 열풍이다.

뉴욕타임스는 5일 “인터넷에서 펭귄 밈이 급속히 확산하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펭귄만 살고 있는 남극 근처 무인도인 오스트레일리아령 허드섬과 맥도널드제도에도 10%의 관세를 부과한 것이 화제가 된 이후부터다. (▶관련 기사 보기 : 펭귄도 ‘깜짝’ 놀란 트럼프 관세…사람 없는 남극 섬에도 부과)

뉴욕타임스가 소개한 한 밈을 보면, 밴스와 트럼프가 펭귄 옆에 앉아 격렬한 토론을 벌이고 있는 듯한 사진 위에 “혹시 고맙다는 말을 안 했나?”라는 글귀를 써붙였다. 지난 2월 백악관 회의 당시 트럼프 대통령과 부통령 제이디(J.D.) 밴스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충돌했던 장면을 풍자한 것이다. 당시 밴스 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미국의 군사 지원에 충분히 감사하지 않는다며 비난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회담 장면을 풍자한 ‘펭귄 밈’. 사회관계망서비스 엑스(X) 갈무리

“이런 모양의 차가 보이면, 알겠지?” 남극 근처 무인도에 관세를 부과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행동을 풍자하는 문화가 인터넷 ‘밈’이 되고 있다. 사회관계망서비스 갈무리

또 다른 밈에서는 펭귄이 갈매기들에게 테슬라 차량을 조준해 배설하는 법을 가르치는 모습이 담겼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으로 정부효율부를 이끌고 있는 테슬라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를 겨냥한 것이다.

한편 사회관계망 서비스 엑스(X)에 올라온 “허드섬과 맥도널드제도에서 전례 없는 항의 시위 발생. 주민들이 관세에 반대해 봉기했다”는 제목의 글을 보면, 관련 사진엔 정작 수백마리의 펭귄이 모여 있어 웃음을 자아낸다.

실제로 뉴욕타임스가 소개한 사례 외에도 온라인 커뮤니티·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서 ‘펭귄 밈’이 넘쳐나고 있다.

커뮤니티 ‘레딧’에 3일 올라온 트럼프의 무인도 관세 기사에는 이런 댓글들이 달렸다. “펭귄들이 고맙다는 말을 한번이라도 했나?” “아니, 하지만 턱시도는 입었잖아!”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백악관 회담 당시 정장을 입지 않은 것에 백악관이 불쾌감을 드러냈다는 보도가 있었다. 턱시도를 입은 듯한 펭귄의 모습을 빗댄 것이다.) “곧장 엘살바도르로 보냅시다!” (트럼프가 베네수엘라 국적 이민자들을 엘살바도르의 교도소로 추방한 사건을 비꼬았다) “저 펭귄들은 오랫동안 미국을 공격해 왔습니다. 그들은 북극곰에게 펜타닐을 밀수하고 있으며 미국의 보조금을 충분히 오랫동안 받고 있습니다.” “폭스(FOX. 미국의 보수 성향 뉴스 채널) 뉴스 알림 : 깨어 있는 펭귄들 폭로: 극지의 새들이 극좌 아젠다를 전파하다”

허드 섬 외에도, 또다른 오스트레일리아령 노퍽 섬은 겨우 인구 2188명이 사는 조그마한 섬이지만 무려 29%의 관세가 부과됐다. 영국의 가디언은 이런 무인도나 작은 섬들이 미국 관세 국가 목록에 기재된 데 대해 미국 정부가 잘못된 무역 데이터에 기반해 계산한 때문으로 보인다고 4일 보도했다. 가디언은 “회사 주소, 배송 출발지가 해당 지역이 아닌데도 노퍽 섬이나 허드 섬 등에서 온 것으로 잘못 표시된 화물이 여러 건 있었다”며 예를 들어 “출발지 혹은 목적지가 영국의 노퍽, 미국 버지니아주 노퍽, 혹은 미국 뉴햄프셔(NH)에 등록된 회사 주소인데 노퍽섬(NI)로 잘못 기재돼 혼란을 초래했을 수 있다”고 짚었다.

남극 근처 무인도에 관세를 부과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행동에 대한 풍자가 사회관계망서비스 등에 확산되며 ‘밈(meme)’으로 자리잡았다. 사회관계망서비스 갈무리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656 김문수 캠프에 소설가 이문열·고대영 전 KBS 사장 합류 랭크뉴스 2025.04.14
43655 한덕수 불출마?…“대미 관세협상이 제 마지막 소명” 랭크뉴스 2025.04.14
43654 이맘때부터 381명 목숨 앗았다…또다시 돌아온 '공포의 살인마' 랭크뉴스 2025.04.14
43653 [속보] 홍준표 대선 출마 공식 선언… “이재명이냐 홍준표냐 양자택일 선거” 랭크뉴스 2025.04.14
43652 첫재판 尹-검찰 '내란' 공방…"국헌문란 폭동" vs "몇시간 사건"(종합) 랭크뉴스 2025.04.14
43651 "저 살 수 있는 거죠?" 지하 30m 추락한 굴착기 기사 첫마디 랭크뉴스 2025.04.14
43650 윤 전 대통령 직접 발언 "메시지 계엄"‥검찰 "국헌문란 폭동" 랭크뉴스 2025.04.14
43649 윤 전 대통령 첫 형사재판 열려…이 시각 서울중앙지법 랭크뉴스 2025.04.14
43648 트럼프 "반도체 새 관세 다음주 발표, 머지않은 미래 시행"(종합) 랭크뉴스 2025.04.14
43647 홍준표, 대선 출마 선언… “이재명 사법심판대 세워야” 랭크뉴스 2025.04.14
43646 윤석열 “평화적인 대국민 메시지 계엄”... PPT 띄워 혐의 조목조목 반박 랭크뉴스 2025.04.14
43645 경찰, '대마 양성반응' 국민의힘 이철규 아들 투약 혐의도 수사 랭크뉴스 2025.04.14
43644 “독재자 몰아내자” 83세 샌더스 ‘반트럼프 투어’ 3만 명 집결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14
43643 윤석열 “계엄은 평화적 대국민 메시지”…모든 혐의 부인하며 궤변 랭크뉴스 2025.04.14
43642 尹 “6시간 만에 해제한 비폭력 사건... 내란 아냐” 랭크뉴스 2025.04.14
43641 [속보]윤석열 “몇 시간 사건이 내란? 법리에 안 맞아”···논리 되풀이 랭크뉴스 2025.04.14
43640 [속보]윤석열 “계엄과 쿠데타는 달라…감사원장 탄핵 그냥 넘어갈 수 없었다” 주장 랭크뉴스 2025.04.14
43639 재판장 “직업은 전직 대통령이고요”… 尹 고개 ‘끄덕’ 랭크뉴스 2025.04.14
43638 국힘, 주 4.5일 근무제 도입·주52시간제 폐지 공약 추진 랭크뉴스 2025.04.14
43637 경찰 "윤석열 전 대통령 '체포 저지' 혐의 피의자 조사 필요" 랭크뉴스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