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덕수에 ‘대통령 선거일’ 지정 압박
이르면 이번주 선거관리위원회 출범
경선 규칙 고민…‘국민경선’ 우세
4개 권역별 경선 유력, 기간은 2주
김윤덕 더불어민주당 사무총장이 6일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박민규 선임기자


더불어민주당이 6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에 대통령 선거일 지정을 촉구하며 본격적인 대선 후보 경선 준비에 돌입했다. 민주당은 경선을 최대한 압축해 진행하고, 최소 대선 30일 전엔 최종 후보를 선출할 계획이다. 유력 주자인 이재명 대표는 이르면 이번주 대표직에서 사퇴할 예정이다.

김윤덕 민주당 사무총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한 권한대행은 조속히 대통령 선거일을 공고하고 정치적 중립을 선언해야 한다”며 “정치적 고려 없이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조기 대선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공직선거법상 대통령 궐위로 인한 선거는 선거 시행 사유가 확정된 때부터 60일 이내에 진행돼야 하고, 한 권한대행은 늦어도 선거일 50일 전까진 일정을 확정해 공고해야 한다.

김 사무총장은 최근 대선 사유가 확정된 뒤 4일 이내에 대통령 권한대행이 선거일을 공고하지 않을 시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이 그로부터 3일 이내에 선거일을 발표하도록 하는 선거법 개정안도 발의했다. 김 사무총장은 “정부가 대통령 파면 뒤 10일 이내에 선거일을 공고하게 돼 있지만 제대로 지켜질지 의문”이라며 한 권한대행을 압박했다.

민주당은 한 권한대행에게 오는 8일 국무회의에서 선거일을 지정하라고 요구하는 동시에 이르면 이번주 안으로 대선 후보 경선을 위한 각종 기구를 출범할 예정이다. 경선 규칙을 논의할 특별당규준비위원회와 경선 전반을 책임지는 선거관리위원회가 대표적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번주 내로 당무위원회와 중앙위원회를 거쳐 기구가 만들어져야 이후 경선 규칙 확정과 후보 등록 등 정상적인 선거 관리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르면 이번주 대표직에서 물러날 예정이다. 당내에선 한 권한대행이 8일 선거일을 확정하면 당일 또는 9일 최고위원회의가 끝난 뒤 대표직 사퇴 의사를 밝혀야 한다는 주장과 선제적으로 7일 사퇴해야 한다는 의견이 갈리고 있다. 상황에 따라 사퇴 시점이 늦어질 수도 있다. 다만 공정성 시비를 줄이기 위해 경선 기구 출범 전 대표직에서 물러날 가능성이 크다. 이 대표가 사퇴하면 민주당은 박찬대 원내대표가 대표 직무대행체제로 전환된다.

민주당은 경선 규칙을 놓고 고민을 이어가고 있다. 권리당원 50% 이하, 권리당원이 아닌 유권자 50% 이상을 경선에 참여시키는 ‘국민참여경선’과 대의원·권리당원은 선거인단에 자동으로 포함하고, 일반 국민은 참여 의사를 밝힌 접수자들에게 투표권을 부여하는 ‘국민경선’ 등 두 가지 안이 거론되고 있다. 2017년과 2021년엔 국민경선으로 대선 후보를 선출했다. 당내에선 전례에 따라 국민경선을 치러야 한다는 주장이 우세한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 대표를 포함한 다른 경선 후보들의 의견을 모두 들어야 한다”며 “구체적인 논의는 특별당규준비위원회에서 진행하고 최종 정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구 야권 인사가 모두 참여해 단일 대선 후보를 선출하자는 조국혁신당의 완전국민경선(오픈프라이머리) 제안은 변수로 꼽힌다.

경선 방식과 기간도 화두다. 민주당은 먼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으로 치러진 2017년 대선 경선처럼 수도권·호남권·충청권·영남권 등 4개 권역으로 묶어 경선을 진행하는 방식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2017년 당시 3주가 걸렸던 경선 기간을 줄여 2주 안에 마무리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당 핵심 관계자는 “탄핵이 자명했던 박 전 대통령 때와는 달리 이번엔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웠던 터라 실무 작업이 더디게 진행됐다”며 “경선 기간을 줄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김동연 경기지사, 김영록 전남지사 등 현역 지방자치단체장이 경선에 참여하는 경우도 고려해야 한다. 공직선거법상 지자체장이 대선 후보로 나설 시 선거일 30일 전에 직에서 물러나야 한다. 김 사무총장은 “지자체장이 민주당 대선 후보가 된다면 경선을 (선거일) 30일 전에 끝내야 한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941 ‘이제부터 진짜 대한민국’...이재명, 대선 슬로건 발표 랭크뉴스 2025.04.11
46940 [속보] 이재명 “절체절명 향후 5년, 진취적 실용주의로” 집권비전 발표 랭크뉴스 2025.04.11
46939 "용산 오피스텔 보증금 100만원, 월세 47만원"…11만명 몰렸다[집슐랭] 랭크뉴스 2025.04.11
46938 권성동, 이재명 대선출마 선언에 “K-민주주의 실소…진짜 하나도 없어” 랭크뉴스 2025.04.11
46937 [속보] 경찰, ‘NC파크 사고’ 관련 창원시·NC 등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4.11
46936 김문수 "윤심으로 출마 안 해… 계엄 알았다면 드러누워 반대" 랭크뉴스 2025.04.11
46935 “전부 복구하고 나가세요” 정부, 임대인 과다한 원상 복구비 청구 막는다 랭크뉴스 2025.04.11
46934 대권 선호도 이재명 37%·김문수 9%…한덕수 2% '첫 등장' 랭크뉴스 2025.04.11
46933 이재명 37%·김문수 9%…첫 등장 한덕수 2%[한국갤럽](종합) 랭크뉴스 2025.04.11
46932 발란, 판매대금 정산에 이어 환불도 지연···소비자원 “반품신청시 주의” 랭크뉴스 2025.04.11
46931 엔비디아, 삼성전자 제치고 글로벌 반도체 1위…SK하이닉스 4위 랭크뉴스 2025.04.11
46930 “에어프레미아 때문에 여행 망쳐”… 무리한 확장에 쏟아지는 불만 랭크뉴스 2025.04.11
46929 달러화, 2022년 이후 최대폭 하락...美 경제 신뢰 흔들리나 랭크뉴스 2025.04.11
46928 “엔비디아 일냈네” 삼성·인텔 제치고 반도체 매출 1위 랭크뉴스 2025.04.11
46927 “이제부터 진짜 대한민국”…대선 출마 이재명, 집권 비전 발표 랭크뉴스 2025.04.11
46926 이재명 37%·김문수 9%…'차출론' 한덕수 2% 첫 등장 [한국갤럽] 랭크뉴스 2025.04.11
46925 비명계, 민주당 경선 규칙 논의 비판···“후보자 간 합의 반드시 있어야” 랭크뉴스 2025.04.11
46924 [단독] "운동기구 사려고"‥4억 5천만 원 수표 입금하려던 보이스피싱 수거책 검거 랭크뉴스 2025.04.11
46923 [속보] 이재명 대선 슬로건 “이제부터 진짜 대한민국…지금은 이재명” 랭크뉴스 2025.04.11
46922 '한덕수 출마론'에 박지원 "출마 확실", 유인태 "안 나올 것" 랭크뉴스 2025.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