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다./연합뉴스
정부가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로 직격탄을 맞은 자동차 산업에 3조원 규모의 긴급 정책금융을 지원한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정부는 국내 수출 자동차에 대한 미국의 25% 관세 부과에 따라 국내 자동차 산업의 어려움이 예상돼 정책금융 지원을 준비하고 있다. 금융 당국 고위관계자는 6일 “관세 충격을 받은 자동차산업에 정책금융을 지원하는 방안과 관련해 관계부처와 협의 중”이라며 “국내총생산(GDP)에 미치는 영향도 그렇고, 굉장히 엄중하게 보고 있어 지원 여력을 총동원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산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의 기존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하는 방식이 될 전망이다. 올해 산은을 포함해 기업은행·신용보증기금·기술신용보증기금 등 정책금융기관은 올해 대외 여건 악화에 따른 기업경영 애로 해소, 기존 산업의 사업 재편에 248조원을 공급하기로 했다. 이달까지 예년 대비 10조원을 확대 집행하는 등 상반기 최대 60%를 집행하기로 했다.
정부는 또 지난달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등에 따른 대외 불확실성 확대에 대응해 미래차 등을 지원하기 위해 산은에 5년간 최대 50조원의 첨단전략산업기금 신설하기로 확정했다. 국회에서 관련 산업은행법 개정안과 정부 보증 동의안이 통과되면 연내 지원을 개시할 방침이다. 현재 여야가 공동 발의를 추진 중이다.
금융 당국은 오는 7일 5대 금융지주를 소집해 관세충격이 큰 기업들에 원활한 자금 공급을 강조할 계획이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함께 5대 금융지주 회장, 은행연합회, 금융투자협회, 산업은행,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예금보험공사, 한국거래소, 증권금융 등 관계기관을 소집해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한다. 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관세 충격이 큰 기업들의 장단기 자금조달 상황 등을 점검하고 자금 공급을 강조할 계획이다. 자동차 산업의 금융권 대출이나 시장성 차입(익스포져) 규모는 50조원 가량으로 금융 당국은 파악하고 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6일 “우리가 할 일은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은 모든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라면서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자동차는 한국의 대미 수출 1위 품목이다. 지난해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347억4400만달러로 전체 자동차 수출액(707억8900만달러)의 49.1%를 차지했다.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는 최근 보고서에서 미국이 자동차 산업에 25% 관세를 매길 경우 올해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이 작년 대비 18.59% 감소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