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롯데자이언츠, 지난해 관중 38% 증가... 매출 30%↑·영업익 21배↑
SSG랜더스, 관중 7% 증가... 매출 4%↑·영업익 55%↓

‘유통 맞수’인 롯데와 신세계 야구단이 지난해 엇갈린 경영 성적표를 받았다. 경기 순위는 신세계가 앞섰지만, 실적 개선세는 롯데가 두드러졌다.

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롯데자이언츠는 지난해 매출이 722억원으로 전년 대비 27%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5억6000만원에서 118억원으로 뛰었다. 1975년 창단한 롯데자이언츠는 롯데지주가 지분 98%를, 롯데알미늄이 2%를 갖고 있다. 지난해 순위는 7위다.

그래픽=정서희

SSG랜더스를 운영하는 신세계 야구단의 지난해 매출은 610억원으로 전년 대비 4%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55% 줄어든 20억원을 기록했다. SSG랜더스는 지분 100%를 이마트가 갖고 있다. 2021년 1월 SK텔레콤이 보유 중이던 SK와이번스의 지분 100%를 이마트가 1353억원에 인수하면서 간판이 바뀌었다. 지난해 순위는 6위다.

두 구단의 실적을 가른 건 관중 수 증가에 있다. 한국야구위원회(KBO)에 따르면 지난해 프로야구 10개 구단 관중은 약 1089만명으로 전년 대비 34% 증가하며 사상 첫 1000만명을 돌파했다. 같은 기간 롯데자이언츠 관중 수는 약 123만명으로 38% 늘었고, SSG랜더스 관중 수는 약 114만명으로 7% 증가했다.

관중 수 증가에 비례해 실적도 뛰었다. 롯데자이언츠는 지난해 입장 매출이 32%, 광고 매출이 20%, 상품 매출이 80% 늘었다. 선수단 운영비는 예년과 큰 차이가 없었기에 이는 고스란히 이익으로 전환됐다. 롯데자이언츠 관계자는 “관중수가 늘면서 입장, 상품, 식음료(F&B) 매장 매출이 모두 증가해 전체 매출을 견인했다”라고 말했다.

반면, 2023년 이미 100만 관중을 동원한 SSG랜더스의 관중 수 증가율은 상대적으로 미미했고, 매출도 소폭 증가하는 데 그쳤다.

3월 23일 서울 송파구 잠실야구장에서 열린 '2025 신한 SOL 뱅크 KBO리그' 롯데 자이언츠와 LG 트윈스의 경기. 이날 입장권 2만3천750장은 전날 개막전에 이어 두 경기 연속 매진됐다. /뉴스1

흔히 프로야구단은 ‘돈 안 되는 사업’으로 치부된다. 구단별로 연간 600억~800억원대 매출을 거두지만, 대부분이 모기업의 지원금으로 운영되고 적자를 보는 경우도 허다하다. 지난해 기아타이거즈, KT위즈, 한화이글스 등이 적자를 냈다.

그러나 프로야구가 흥행하면서 모기업 의존도가 낮아지고 있다. 롯데자이언츠는 지난해 롯데지주(43억원), 롯데칠성음료(32억원), 롯데쇼핑(32억원) 등 계열사로부터 약 291억원의 매출을 거뒀다. 전체 매출의 40% 수준이다. 롯데자이언츠의 계열사 매출 비중은 2021년 58%에서 2022년 53%, 2023년 46%로 줄어드는 추세다.

SSG랜더스가 지난해 신세계 계열사로부터 벌어들인 매출은 216억원으로 전체의 35%를 차지했다. 2021년 이후 계열사 매출 비중이 42%였던 걸 고려하면 역시 계열사 의존도가 축소됐다.

업계에선 야구 인기가 커지면서 모기업 의존도가 줄었다는 분석과 함께, 유통 계열사의 매출 부진으로 인해 기여도가 낮아졌다는 해석이 나온다. 실제 SSG랜더스의 경우 지난해 계열사에서 발생한 매출액이 전년(261억원)보다 30억원가량 줄었다.

신세계그룹은 매년 프로야구 개막 시즌인 4월 '랜더스 데이'라는 명칭으로 상반기 최대 규모 할인행사를 펼친다. 이마트, 신세계백화점, 스타필드 등 전 유통 계열사가 참여한다. 사진은 '2023 랜드스 데이' 기간 이마트 전경. /신세계그룹 제공

한 야구단 관계자는 “프로야구단 대부분이 모기업의 지원금 수익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이익이 개선됐다고 해도 계열사 지원금을 빼면 적자”라고 했다. 이어 “점진적으로 의존도를 낮추고 있기는 하지만, 신규 투자 등이 계속 진행되고 있어 완전히 자생력을 갖추기는 어려운 구조”라고 덧붙였다.

SSG랜더스의 외부감사를 맡은 삼일회계법인은 지난해까지 2년 연속 계속기업 관련 불확실성을 지적했다. 삼일회계법인은 작년 SSG랜더스 감사보고서에서 “유동부채가 유동자산을 151억원 초과해 계속기업으로서 그 존속 능력에 의문을 제기한다”라고 기술했다. 재무 상황이 불안정한 건 이곳만이 아니다. 기아타이거즈, 삼성라이온즈, 한화이글스는 자본 총계가 마이너스(-)인 완전 자본 잠식 상태다.

그럼에도 기업들은 향후 관련 투자를 계속한다는 방침이다. 야구단만 보면 실적이 미미하지만, 최근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흥행이 이어지는 만큼 그룹의 사업과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거란 판단에서다. 롯데그룹은 2344억원을 투입해 부산 사직 구장을 재건축해 2029년 재개장할 예정이다. 신세계 그룹은 약 2조원을 들여 인천 청라에 돔구장과 쇼핑몰, 숙박시설 등을 결합한 스타필드 청라를 2027년 말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903 尹 "여러분 곁 지키겠다"…조경태 "당 나가서 메시지 내라" 직격 new 랭크뉴스 2025.04.07
44902 [속보] 권영세 "개헌안 마련, 대선 때 국민투표 방안 추진" new 랭크뉴스 2025.04.07
44901 "서로 결혼·연애도 싫어" 진보·보수로 두 쪽··· 그래도 '국가 자부심' 느끼는 건 한마음 new 랭크뉴스 2025.04.07
44900 美주식 어디까지 빠질까… “컨퍼런스보드 경기선행지수가 가늠자” new 랭크뉴스 2025.04.07
44899 [속보] '2400 붕괴' 코스피 4%대 하락 2350대 출발 new 랭크뉴스 2025.04.07
44898 홍준표 "개헌 시 헌법재판소 폐지하고 대법원에 헌법재판부 신설" new 랭크뉴스 2025.04.07
44897 [부동산폴] 전문가 100% “서울 집값, 당분간 오른다… 강남·용산 ‘강세’ 전망” new 랭크뉴스 2025.04.07
44896 [인터뷰] 美 보그워너 “현대차가 인정한 기술력… 미래형 전기차 공략” new 랭크뉴스 2025.04.07
44895 민주 44.8%·국민의힘 35.7%… 정권 교체 56.9%·연장 37.0% [리얼미터] new 랭크뉴스 2025.04.07
44894 “갇혀서 밥도 못 먹을까봐”…키오스크 앞에 선 노년 new 랭크뉴스 2025.04.07
44893 '마구잡이 관세' 요지부동‥"이러다 선거 발목" new 랭크뉴스 2025.04.07
44892 “손 떼” 미 전역 반트럼프 시위…“관세로 역성장” 전망도 new 랭크뉴스 2025.04.07
44891 차 트렁크에 밧줄로 묶인 대형견이 매달린 채... 경찰 수사 착수 new 랭크뉴스 2025.04.07
44890 [속보] 트럼프 “대중국 무역적자 해결 안되면 中과 협상 안해” new 랭크뉴스 2025.04.07
44889 ‘관세 패닉’ 프리마켓서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대형주 줄하락 new 랭크뉴스 2025.04.07
44888 나스닥 빠질 때 22% 올랐다…10년 담아둘 중국 'IT공룡' 등장 new 랭크뉴스 2025.04.07
44887 극우를 가두는 원을 그려야 하나 [강준만 칼럼] new 랭크뉴스 2025.04.07
44886 지드래곤·콜드플레이…연예인 러브콜 잇따르는 ‘이곳’ new 랭크뉴스 2025.04.07
44885 "트럼프, 손 떼!" 폭발‥미 전역 수십만 시위 new 랭크뉴스 2025.04.07
44884 美재무 “관세 때문에 경기침체? 그럴 이유 없어… 불안정 견딜 것” new 랭크뉴스 2025.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