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尹 부부 돌아갈 아크로비스타 가보니
김건희 운영하던 '코바나콘텐츠' 흔적도
경비 직원들 분주..."주민들 불편" 취재 제한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에서 파면을 결정한 4일 윤 전 대통령의 사저가 있는 서울 서초구 아크로비스타 앞으로 시민들이 지나고 있다. 윤 전 대통령 부부는 용산구 한남동 관저를 떠나 이곳 아크로비스타로 돌아갈 것으로 예상된다. 하상윤 기자


“대통령님 계속 힘내시라고 왔어요”-윤석열 전 대통령 지지자

4일 오후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서울 한남동 사저로 옮기기 전까지 살았던 서초구 아크로비스타 주변엔 그의 지지자와 유튜버들이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아크로비스타 내 상가(아케이드)에는 김건희 여사가 운영한 ‘코바나콘텐츠’ 안내 표지판 등 윤 전 대통령 부부 흔적을 사진으로 남기려는 이들도 보였다. 윤 전 대통령이 한남동 관저를 떠나 조만간 이곳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높아지자 주변 상인들은 윤 전 대통령의 복귀에 대한 언급은 대부분 피하면서 “(집회 등으로) 시끄러워질까 걱정된다”며 불편한 마음을 내비쳤다.

이날 윤 전 대통령이 한남동 관저를 떠나 돌아오게 될 아크로비스타 주변 이웃들은 파면된 대통령의 복귀가 썩 달갑지만은 않은 모습이었다.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이 몰려올 경우 각종 잡음이 불가피할 뿐만 아니라 경호·경비 등으로 불편을 겪게 될 것을 우려하고 있었다.

아크로비스타 주변에서 학원을 운영하는 최모씨는 "한남동 관저로 들어가기 전까지 경호를 위한 교통 통제 때문에 주민들 모두가 괴로워했다"며 "여기로 돌아오지 말고 다른 곳에 사저를 마련해 경호에 따른 주민 피해가 되풀이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했다. 공인중개사 사무소를 운영하는 한 상인은 "아직 별다른 소란은 없지만 소음 피해가 커질 것 같아 걱정"이라고 했다.

尹 지지자 “대통령님 계속 힘내시라고 왔다”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에서 파면을 결정한 4일 윤 전 대통령의 사저가 있는 서울 서초구 아크로비스타 상가에 김건희 여사가 운영하던 기업 코바나콘텐츠의 간판이 붙어 있다. 이곳 상가 지하1층에 사무실을 뒀던 코바나콘텐츠 자리는 현재 다른 업체가 사용하고 있지만, 간판 등 표식은 여전히 남아있었다. 하상윤 기자


실제 이날 아크로비스타와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인 교대역 6번 출구에서 아크로비스타로 향하는 오르막길엔 윤 전 대통령 지지자로 보이는 이들이 목에 태극기를 두르고 붉은 모자를 착용한 채 서성이거나, 유튜버로 보이는 시민이 휴대폰이 장착된 삼각대를 손에 쥔 채 방송하는 듯한 모습도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 정오를 넘어서자 '반국가세력 척결'이 적힌 피켓과 태극기를 들고 아파트 앞에 등장하는 이들도 속속 나타났다. 이들은 “대통령님 계속 힘내시라고 왔다”고 말했다.

이에 이곳 경비원들도 건물 입구를 맴도는 취재진과 지지자들을 분산하느라 분주히 움직였다. 한 언론사 기자는 경비원들의 자제 요청에도 주민 인터뷰를 계속 시도하다 경찰에 신고돼 경찰이 출동하기도 했다. 오후 4시쯤엔 윤 전 대통령 경호 관련 차량으로 보이는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가 아파트 입구로 들어섰다. 실제 경호차량인지 확인되지 않았으나, 주민들 시선은 집중됐다. 한 주민은 "차에서 양복 입은 사람들이 여럿 내렸다"고 말했다.

돌아오는 윤 전 대통령, 우호적인 주민들도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해 헌법재판소가 파면을 선고한 4일 서울 서초구 아크로비스타 입구에서 경비원들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곽주은 인턴기자


윤 전 대통령 부부의 복귀를 담담히 받아들이는 주민도 여럿 있었다. 주민 김모씨는 “대통령 후보가 되기 전까지만 해도, 주민들 사이에선 그저 반려견 산책을 자주 시키던 유명인사 정도였다”고 했다. 여전히 윤 전 대통령 부부에 우호적인 주민들도 많을 것이라는 게 김씨 설명이다.

윤 전 대통령은 취임 후에도 반년 가까이 이곳에 머물며 용산 대통령실로 출퇴근했다. 2022년 12월 윤 전 대통령 내외가 한남동 관저로 들어갈 때 주민들은 윤 대통령 부부와 반려견 사진을 대형 액자로 만들어 선물하기도 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011 의대 증원에 "외람되지만 아니다"…尹, 40년지기도 끊었다 [尹의 1060일 ⑥] 랭크뉴스 2025.04.14
48010 "명문대 출신 20대 여성에 글로벌 은행도 '2600억' 당했다"…'희대의 사기극' 전말 랭크뉴스 2025.04.14
48009 역대 최악 정치 양극화… 고소·고발 난무 가능성 랭크뉴스 2025.04.14
48008 트럼프 ‘관세 유턴’ 불러온 ‘美 국채 투매’ 배후엔 중국? 랭크뉴스 2025.04.14
48007 [사설] 국민의힘 경선, 보수 쇄신과 재건 경쟁돼야 랭크뉴스 2025.04.14
48006 올해 1~2월 개업 공인중개사 1000명대 그쳐… 25년 만에 최저 랭크뉴스 2025.04.14
48005 “그날 ‘괜찮냐’는 전화만 수십 통”…신안산선 터널 붕괴, 불안한 인근 주민들 랭크뉴스 2025.04.14
48004 美, 스마트폰·노트북도 관세 예외 없다... "한 달 후 반도체 관세에 포함" 랭크뉴스 2025.04.14
48003 美무역대표, 트럼프-시진핑 대화 여부에 "당장 계획없다" 랭크뉴스 2025.04.14
48002 “실질 주거·생계 함께해야 ‘1세대’”… 대법원, 아파트 분양 기준 첫 판단 랭크뉴스 2025.04.14
48001 국힘 내부서도 “중도층 안 잡나”…유승민 경선·오세훈 대선 불출마 랭크뉴스 2025.04.14
48000 8년 전처럼 인수위 없는 차기 정부…현실적 공약에 답 있다 랭크뉴스 2025.04.14
47999 한동훈 “내 정치, 대통령 지원도 못 받아… 국민 잘되시라고 하는 것“ 랭크뉴스 2025.04.14
47998 “재개발 분양권 받는 동일 세대 여부, 주민등록 아닌 실제 거주 기준으로 결정해야” 대법원 첫 판단 랭크뉴스 2025.04.14
47997 美 국채 투매 배후에 중국?…월가 “보복 매도 가능성” 놓고 논란 랭크뉴스 2025.04.14
47996 미 상무부 “상호 관세서 빠진 전자제품, 품목 관세 물릴 것” 랭크뉴스 2025.04.14
47995 [사설]윤석열 인권 챙기는 법원, 피해자 국민 알권리는 안중에 없나 랭크뉴스 2025.04.14
47994 반성 없는 윤석열, 오늘 첫 ‘내란 형사재판’…국헌 문란 쟁점 랭크뉴스 2025.04.14
47993 유승민 경선·오세훈 대선 불출마…국힘 내부서도 “중도층 안 잡나” 랭크뉴스 2025.04.14
47992 [이슈 In] 건강보험 25년 재정 적신호…"정부 무임승차 그만, 책임 다해야" 랭크뉴스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