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 발표 이후 미 주식시장에 이어 채권시장에서도 대규모 투매가 이어지면서 월가에서는 이 같은 국채 혼란의 배후에 중국이 있는지를 두고 논란이 커지고 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 /AFP=연합뉴스

12일(현지 시각)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미 국채 수익률은 10년 이상 만기 장기물을 중심으로 지난 4일부터 급격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이는 국채 가격이 빠르게 하락했다는 뜻이다.

11일 뉴욕시장 마감 무렵에도 10년물 수익률은 4.5%에 근접해 마감하며 주식시장이 다소 안정을 되찾은 것과는 달리 채권시장에는 여전히 불안감이 짙게 남아 있는 모습이다.

일반적으로 주식이 급락할 때는 안전자산 선호 현상에 따라 미 국채 가격이 오르는 게 통상적이지만, 이번엔 반대로 국채마저 팔려 나가는 이상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상황의 기본 배경으로 관세 정책에 따른 인플레이션 반등 우려와 미국의 구조적인 재정적자 문제를 꼽고 있다. 여기에 더해 파생상품 시장에 참여한 헤지펀드들이 최근 금융시장 변동성에 따라 투자 포지션을 청산했고, 일부 은행들도 유동성 확보를 위해 국채 매입을 줄이거나 오히려 매도에 나선 점도 수급 측면에서 하락 압력을 높였다는 분석이다.

특히 국채가 안전자산이라는 인식이 흔들리면서, 미국 밖으로 자금이 빠져나가는 흐름이 시작된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점차 힘을 얻고 있다.

여기에 더해 월가 일각에서는 이번 혼란의 배후에 중국이 있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SMBC닛코증권의 오쿠무라 아타루 수석 금리 전략가는 투자자 메모에서 “중국이 미국에 대한 보복 차원에서 국채를 매도하고 있을 수 있다”며 “글로벌 금융시장에 충격을 줌으로써 협상력을 강화하려는 의도가 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에드 야데니 에데니리서치 창립자 역시 “중국을 포함한 해외 보유자들이 자산 매각을 시작할 수 있다는 점이 채권 투자자들의 우려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중국의 직접적인 매도 여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TD증권의 프라샨트 네워나 전략가는 “이번 투매는 주로 장기물에서 나타난 현상”이라며 “중국이 매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의 미국채 보유 만기가 짧아지고 있어 매도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 중국이 현재 미국채를 대규모로 매도하고 있는지 여부는 공식 통계가 발표되기 전까지는 확인이 어렵다. 중국이 제3국 금융기관 명의로 미국채를 보유하고 있다는 점도 실질적인 매도 주체를 파악하는 데 걸림돌로 작용한다.

그러나 중국이 실제 매도에 나서지 않았더라도 미국채를 ‘무기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만으로도 글로벌 투자자들에겐 미 채권 이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블룸버그는 중국의 4월 외환보유고 내 미국채 변동 사항은 5월 말에나 확인 가능하며 보다 구체적인 수치는 6월 중순 미 재무부 자료에서야 파악할 수 있다고 전했다.

미 재무부가 공개한 올해 1월 기준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미국채 보유액은 7608억 달러로 일본(1조793억 달러)에 이어 두 번째다. 중국은 최근 수년간 보유 규모를 점진적으로 줄여오고 있지만, 아직도 상당한 물량을 보유 중이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382 하버드 때리기 나선 트럼프… "면세 지위 박탈할 수도" 랭크뉴스 2025.04.16
44381 3개월 갓난아이 분유 먹인 뒤 잠든 친부…숨진 아이 놓고 '무죄' 주장 랭크뉴스 2025.04.16
44380 ‘출마설’ 한덕수, 광주 찾아 “관세 부담 최소화 위해 최선” 랭크뉴스 2025.04.16
44379 '재판관'이 소환한 '어른'‥어둠 밝혀줄 '희망' 랭크뉴스 2025.04.16
44378 [단독] '청부 민원' 류희림, 계엄 뒤 휴대폰 두 번 바꿔‥권익위에 재조사 요청 랭크뉴스 2025.04.16
44377 "몸에 안 좋은 줄 알았는데"…억울하게 누명 쓴 '사카린' 반전 연구 결과 나왔다 랭크뉴스 2025.04.16
44376 멕시코 '물 빚' 청산 나섰나…댐 방류량 6.7배 늘려 랭크뉴스 2025.04.16
44375 "우리 애 간식 편의점에서 사줬는데 어쩌나"…당·나트륨 함량 "이럴 수가" 랭크뉴스 2025.04.16
44374 항공기 이륙 직전 승객이 비상문 개방…“공포 휩싸인 기내” 랭크뉴스 2025.04.16
44373 ‘방첩사 작성 계엄 문건’ e메일, 북한 해커들 미끼였다 랭크뉴스 2025.04.16
44372 이국종 "탈조선해라" 발언에…이준석 "국가 상황 냉정히 돌아봐야 하는 시점" 랭크뉴스 2025.04.16
44371 중국 “미국 보잉기 인수 말라”…희토류 이어 비관세 보복 랭크뉴스 2025.04.16
44370 재빨리 뛰어와 새끼 둘러쌌다…지진 나자 코끼리들 보인 행동 랭크뉴스 2025.04.16
44369 “한국산 선크림 쟁여놔라”… 관세 덕에 얼굴 핀 K뷰티 랭크뉴스 2025.04.16
44368 노숙자에 '샌드위치' 나눠줬다가…30년 근무한 공항 직원 하루아침에 '해고', 왜? 랭크뉴스 2025.04.16
44367 [대선언팩] “심증뿐인 입증 안된 검은손”… 양당 주장은 과대포장 랭크뉴스 2025.04.16
44366 S&P, 한국 신용 등급 ‘AA’ 유지…“정치 분열로 경제 회복은 우려” 랭크뉴스 2025.04.16
44365 삼성전기, 中 BYD에 전장 부품 공급 랭크뉴스 2025.04.16
44364 계엄 뒤 칩거했던 尹 "실패하면 탄핵, 알고 있었다" [尹의 1060일 ⑧] 랭크뉴스 2025.04.16
44363 [사설] 美 “韓과 우선 협상”…초당적 대처하되 타결은 차기 정부에 맡겨야 랭크뉴스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