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尹 구속 등에 사법·정치 신뢰 잃자 협박·폭행·분신 이어져
전문가들 "선동 멈추고 통합 시도해야 광장의 폭력 줄어들 것"


폭력과 난동이 휩쓸고 지나간 서부지법
(서울=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구속되자 일부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서울서부지방법원 내부로 난입해 불법폭력사태를 일으킨 19일 오후 서부지법 내부의 한 사무실과 집기류 등이 파손돼 있다. 2025.1.19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이영섭 기자 = 계엄 선포부터 파면 선고까지 지난 123일간 탄핵 찬반을 둘러싼 극한 대립이 협박과 폭행, 방화와 분신 등으로 번지는 일이 끊이지 않았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탄핵 정국은 일단락됐지만, 이런 극단 행동의 불씨가 쉽사리 꺼질지는 미지수라는 평가가 나온다.

일부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이 극단성을 띠기 시작한 것은 지난 1월 15일 윤 전 대통령이 체포되면서부터다. 그날 저녁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있는 정부과천청사 인근에서 50대 남성이 가연성 물질을 이용해 분신한 것이다.

윤 전 대통령이 구속된 1월 19일에는 영장을 발부한 서울서부지법이 유린당했다. 윤 전 대통령 지지자들은 영장 담당 판사를 찾겠다며 유리창과 건물 외벽을 부수고 청사에 침입해 방화를 시도했다.

윤 전 대통령에게 불리한 결정을 내린 판사나 진보 성향 헌법재판관, 야당 정치인을 향한 살해 협박글은 부지기수다. 경찰은 지난달 말 기준으로 헌법재판관 등 헌재 협박 91건, 서부지법 관련 협박 83건을 수사 중이다.

지난달 14일에는 40대 남성 유튜버가 윤 전 대통령이 직무에 복귀하지 못할 경우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 등을 살해하고 분신하겠다는 글을 올려 경찰에 신고당했다. 이 유튜버는 탄핵심판 선고일 직전까지 헌재 앞에서 버젓이 방송했다.

지난달 20일에는 헌재 앞에서 윤 전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던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에게 누군가 날계란을 투척해 백혜련 의원과 이건태 의원이 피해를 보기도 했다.

서울 도시건축전시관 옥상서 윤 대통령 지지자 분신 시도
(서울=연합뉴스) 7일 낮 서울 중구 도시건축전시관 옥상에서 소방관들이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로 추정되는 한 남성의 분신 시도 현장을 수습하고 있다.
경찰 등에 따르면 이 남성은 전시관 옥상에서 유인물을 뿌린 뒤 몸에 불을 붙였다. 2025.3.7 [독자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email protected]


폭력과 자해를 서슴지 않는 이런 극단 행위의 기저에는 정치적 양극화뿐 아니라, 사법·정치 시스템에 대한 불신이 깔렸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지난 총선에서 부정선거가 자행됐다거나, 윤 전 대통령이 허위 사유로 탄핵 소추됐다는 등 제도의 신뢰를 허무는 주장이 지지자들의 충동성과 만나며 벌어진 결과라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탄핵정국이 키운 극단 행위 가능성이 조기 대선 기간까지 이어지지 않도록 하려면 정치권이 먼저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명예교수는 "극단 행위는 결국 우리 사회의 고질적 문제인 정치적 양극화 때문"이라며 "제도 정치권에서 통합을 시도해야 비로소 광장에서도 폭력과 혐오가 줄어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설동훈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당장은 무엇보다 윤 전 대통령의 태도가 중요하다"며 "탄핵 선고에도 지지자들을 선동하면 극단 행위는 이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268 미 “중국, 러시아 전쟁 지원 우려”···중국인 포로 생포에 입장 내놔 랭크뉴스 2025.04.10
46267 “우리 밭에 집 만드세요”…마늘밭 내어준 ‘통큰 선심’ 랭크뉴스 2025.04.10
46266 “한덕수의 재판관 지명, 위헌 확인해달라” 헌법소원 봇물 랭크뉴스 2025.04.10
46265 청년 실업률 7.5%…코로나 이후 4년만에 최고 랭크뉴스 2025.04.10
46264 EU, 15일부터 일부 미국산 수입품에 최고 25% 추가 관세… "협상 가능" 랭크뉴스 2025.04.10
46263 ‘녹아내린 안전모’ 진화장비에 ‘방염’ 없었다 랭크뉴스 2025.04.10
46262 함상훈 재판관 후보자, '2400원 횡령' 버스기사 해고판결 논란 랭크뉴스 2025.04.10
46261 상호관세 부과한 트럼프 "기업들, 美로 옮길 적기…관세 제로"(종합) 랭크뉴스 2025.04.10
46260 EU도 美에 15일부터 보복관세… 오토바이 등 수입품에 25% 랭크뉴스 2025.04.10
46259 "'2400원 횡령' 버스기사 해고"…함상훈 후보자 판결 재조명 랭크뉴스 2025.04.10
46258 계엄 수사 곳곳 구멍‥특검 막아선 한덕수 랭크뉴스 2025.04.10
46257 [사설] 막 오른 대미 관세 협상… ‘머니 머신’되지 말아야 랭크뉴스 2025.04.10
46256 “김건희 면박에 강아지 안고 웃기만”…윤석열 캠프 대변인 증언 랭크뉴스 2025.04.10
46255 중국, 백서 내고 트럼프 주장 반박 “미 무역 적자는 세계 경제 구조가 낳은 것” 랭크뉴스 2025.04.10
46254 ‘윤 파면 축하’ 치킨집 별점 테러에…“돈쭐 내주자” 응원 랭크뉴스 2025.04.10
46253 국회, 내주 내란·명태균 특검법 재표결 랭크뉴스 2025.04.10
46252 中, 트럼프 '104% 보복'에 맞불… "모든 미국산에 추가관세 34%→84%" 랭크뉴스 2025.04.10
46251 뉴욕 증시, 104% vs 84% 미중 보복관세에 혼조세 출발 랭크뉴스 2025.04.09
46250 이완규 임명 막을 수 있나‥국회의장·민주당 묘책은? 랭크뉴스 2025.04.09
46249 中, 84% 맞불관세…환율·국채까지 '3종 보복' 랭크뉴스 202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