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용어사전 > 세계한잔 ※[세계한잔]은 우리 삶과 맞닿은 세계 곳곳의 뉴스를 에스프레소 한잔처럼, 진하게 우려내 한잔에 담는 중앙일보 국제팀의 온라인 연재물입니다.
지난해 9월 5일 상하이의 고층빌딩 모습. EPA=연합뉴스
"아파트를 현금으로 구매하시면 약 1000달러(약 147만원) 상당의 금괴를 드립니다!" "옌타이에 있는 휴가용 별장도 얹어드려요!"


이는 부동산 불경기가 4년 이상 이어진 중국에서 부동산 업체들이 내놓은 갖가지 미끼 상품이다. 지난해 중국 저장성의 한 중개업체와 베이징에 본사가 있는 또 다른 부동산 업체는 아파트를 구입하는 고객에게 각각 금괴와 별장을 주겠다고 발표했다. 휴대전화나 제트기 회사 지분을 주는 곳도 있다. 허난성에서는 마늘·밀 등 농작물을 부동산 계약금으로 내도 받아준다. 실제 중국 부동산개발업체 '센트럴 차이나 그룹'은 아파트 30채 매각 계약금으로 마늘 430t을 받았다.

광둥성 후이저우에선 여성 중개업자 15명이 소개팅 앱을 통해 남성 31명에게 접근한 뒤 결혼을 조건으로 아파트 구매를 유도해 사회 문제가 됐다. 중국판 틱톡 더우인에서는 중개업자들이 팔리지 않는 집에서 라이브 방송으로 춤·노래·개그를 선보이며 아파트 판매에 열을 올리고 있다. 그런데 이런 사례들은 중국 부동산 시장의 침체를 보여주는 빙산의 일각이라고 이코노미스트 최신호가 보도했다.

지난 2021년 11월 5일 중국 베이징 아파트 단지 건설 현장 근처를 사람들이 걷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중국 업체들이 각종 유인책으로 부동산 판매에 열을 올리는 이유는 중국 부동산 시장이 코로나 19 때부터 시작된 장기 침체에서 헤어나지 못해서다. 중국 대도시의 부동산 중개업소 중 10%는 폐업했다. 중국의 한 부동산 중개인은 이코노미스트에 "3년 만에 수입이 반 토막 났다"고 하소연했다.

"상량식에 요란한 축하 왜?"…"대출 나온다"
이런 가운데 중국에선 최근 요란한 상량식이 열리고 있다고 외교잡지 더디플로맷이 보도했다. 중국 란저우의 한 아파트 단지는 '봉정대길(封頂大吉)'라고 쓴 거대한 붉은 현수막을 내걸었다.

중국의 상량식. 상량식은 요즘 건물의 뼈대가 갖춰진 것을 축하하는 행사로, '봉정대길'(封顶大吉)이라고 적힌 빨간 현수막을 건물에 내거는 것이 관례다. 사진 더우인 캡처

왜 이런 일을 할까. 보통 중국 금융기관들이 상량식을 부동산 대출을 검토할 때 지표로 삼기 때문이다. 문제는 일부 개발업체들이 아직 다 짓지도 않은 아파트를 파는 경우가 있단 것이다. 즉, 상량식을 했더라도 부실 아파트가 있을 수 있는데, 이때 구매자가 법적 대응을 하기란 쉽지 않다고 한다. 루팅 노무라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더 디플로맷에 "사전 판매된 미완성 아파트가 중국에서 2000만채에 달한다"고 전했다.

외국계 큰 손들은 발을 빼고 있다. 시장 분석업체 MSCI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에서 외국 자본의 신규 부동산 매입 규모는 59억 달러(약 8조 6000억원)였던 반면, 매각 금액은 69억 달러(약 10조원)였다. 지난달 29일 세계 최대 자산 운용사 블랙록은 상하이 내 27층 오피스 건물인 트리니티 플레이스를 매입가의 34%에 불과한 약 9억 위안(약 1820억원)을 받고 울며 겨자 먹기로 매각했다.

中4대 국유은행에 공적자금 105조원 수혈 수년째 이어지는 부동산 시장 침체가 자칫 중국판 '리먼 브러더스' 사태로 이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중국 정부는 4대 국유은행에 5200억 위안(약 105조4000억원)의 공적자금을 투입해 자본확충에 나섰다고 지난달 31일 중국중앙TV(CCTV)가 보도했다.

당국이 부동산 구조조정을 계속해 나가면서 위기가 금융 시스템으로 옮겨붙지 않게 '방화벽'을 설치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약발이 먹힐지는 미지수다. 중국 부동산 개발사의 부채 규모가 130조 위안(약 2경 6300조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새 발의 피'라는 지적도 있다. 전문가들은 이코노미스트에 "내년까지 중국 부동산 시장이 회복되기 어렵다고 본다"고 전망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288 [속보]하동 옥종면 산불 진화율 87%…“야간 진화 돌입” 랭크뉴스 2025.04.08
45287 이재명, 일단 ‘스몰딜 개헌’ 랭크뉴스 2025.04.08
45286 트럼프 “中, ‘맞불 관세’ 철회 안 하면 50% 추가 관세… 다른 나라와는 즉시 협상” 랭크뉴스 2025.04.08
45285 "백종원 만나게 해줄게"…더본코리아 임원, 여성 지원자에 술자리 면접 논란 랭크뉴스 2025.04.08
45284 [속보] 트럼프 “중국, 34% 보복 관세 철회 안 하면 50% 추가 관세” 랭크뉴스 2025.04.08
45283 "관세 90일 유예설"에 백악관 "가짜뉴스"…반짝상승 美증시 재하락 랭크뉴스 2025.04.08
45282 트럼프, 중단된 ‘일본제철-US스틸’ 거래 추가검토 지시…인수 재물꼬 트이나 랭크뉴스 2025.04.08
45281 팍팍한 살림에 보험 깬다…작년 해약 환급금 60조 육박 랭크뉴스 2025.04.08
45280 ‘산불 2단계’ 경남 하동군 산불 진화율 99%…야간 산불 진화 중 랭크뉴스 2025.04.08
45279 [속보] 트럼프 "中 이외의 다른 나라들과 관세협상 즉시 개시" 랭크뉴스 2025.04.08
45278 "2008년 금융위기급 충격"…트럼프 '관세폭탄'에 공포심리 최고조[글로벌 모닝 브리핑] 랭크뉴스 2025.04.08
45277 살아있는 악어 100t 경매 내놓은 中법원…"500마리 직접 운반" 랭크뉴스 2025.04.08
45276 [사설] 이재명, 개헌이 아니라면 극단적 대결 정치 끝낼 대안 뭔가 랭크뉴스 2025.04.08
45275 "트럼프, 상호관세 90일 유예" 가짜 뉴스에 요동친 뉴욕 증시 랭크뉴스 2025.04.08
45274 뉴욕증시, '끝 모를 추락' 공포 vs 반등 기대…급등락 출발 랭크뉴스 2025.04.08
45273 "내가 있어, 지금의 尹있다…김 여사 매번 그렇게 말해" [尹의 1060일 ②] 랭크뉴스 2025.04.08
45272 ‘관세 90일 유예설’에 백악관 “가짜뉴스”…반짝 상승 뉴욕증시 다시 하락세 랭크뉴스 2025.04.08
45271 백악관, '트럼프 90일간 관세 일시중단 검토' 보도에 "가짜뉴스" 랭크뉴스 2025.04.08
45270 아시아 이어 유럽·미국 대폭락…트럼프 관세전쟁에 세계증시 타격 랭크뉴스 2025.04.08
45269 백악관 “트럼프, 90일 관세 일시중단 검토 보도는 ‘가짜뉴스’” 랭크뉴스 2025.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