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앵커]

윤 대통령 탄핵 선고가 열리는 헌법재판소를 연결해 보겠습니다.

이호준 김태훈 기자, 선고를 앞둔 헌재 분위기 전해주시죠.

[앵커]

네 여기는 헌법재판소입니다.

조금 뒤인 오전 11시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 선고가 예정돼 있습니다.

지금 10시를 막 지나고 있는데요.

이제 한 시간도 남지 않았습니다.

선고가 시작되면 심판정 내부를 실시간으로 생중계 해드릴 예정입니다.

그 전까지는 이번 탄핵심판의 핵심 쟁점과 전망을 법조팀 김태훈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전국민이 긴장하면서 결과를 지켜볼텐데요.

결정을 내리는 헌법재판관들도 예외는 아닐 거 같습니다.

지금 헌법재판관들은 다 출근 했나요?

[기자]

네,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대행을 비롯해 8명의 헌법재판관들은 오전 8시 반 전에 이곳 헌법재판소에 출석했습니다.

가장 빨리 출근한 것은 정형식 재판관으로 7시가 되기 전에 출근했고요.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은 8시 20분쯤 마지막으로 출근했습니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당시에는 이정미 당시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헤어롤을 미쳐 정리하지 못한 채 출근하는 모습이 화제가 되기도 했었는데요.

그만큼 헌법재판관들에게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은 긴장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겠죠.

오늘 출근한 문형배 대행과 재판관들의 모습도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굳은 표정으로 일체의 질문에 답하지 않은 채 출근했습니다.

당초 헌법재판관들은 이날 출근길 취재 자체를 아예 불허했었는데요.

기자단 차원의 간곡한 요청이 여러차례 이어지자 제한적으로 취재가 허용됐습니다.

그만큼 헌법재판관들이 신경이 곤두서 있다는 뜻으로도 해석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앵커]

앞서 노무현 전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통령은 선고 당일 직접 출석하지는 않았었죠?

(네. 그렇습니다.)

변론에 참석했던 윤석열 대통령은 어떤가요?

오늘 헌법재판소에 출석합니까?

[기자]

윤 대통령은 오늘 헌법재판소에 출석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윤 대통령 측 대리인단은 어제 "혼잡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질서 유지와 대통령 경호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불출석을 결정했다"고 공지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그동안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변론절차에서 대부분 직접 출석하면서 여러차례 의견을 냈고, 최후진술도 직접 진행했었는데요.

선고절차는 말 그대로 재판관의 최종 판단만 내려지는 절차인 만큼 출석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윤 대통령은 일단 한남동 관저에서 선고를 지켜볼 것 같습니다.

[앵커]

8년 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선고 후 사망자가 있어서 지금 경찰도 비상일 거 같습니다.

헌법재판소와 가장 가까운 안국역은 오늘 열차가 서질 않습니다.

저도 오늘 인근 역에서 헌법재판소까지 15분 넘게 걸어서 출근하고 신분 확인도 5번 받았는데요.

분위기가 그야말로 일촉즉발의 상황이죠?

[기자]

네, 경찰은 이날 경찰력의 100%를 동원하는 갑호비상을 내린 상탭니다.

헌법재판소 반경 150m는 차벽 등으로 겹겹이 둘러쌓여 진공상태로 만들어진 상태입니다.

이 안에 위치한 상점가 대부분은 오늘 문을 열지 않았고요.

학교들도 대거 휴교령을 내렸습니다.

이 안에 있는 건 경찰 등 공무원과 소수의 기자들, 그리고 헌법재판소 관계자 뿐인 건데요.

적막함과 동시에 긴장감이 흐르고 있습니다.

[앵커]

무엇보다 이번 선고, 생각보다 오래 걸렸습니다.

과거 두 건의 대통령 탄핵심판의 과거 사례를 놓고 언론에서는 '3월 둘째주일 것이다', 혹은 '셋째주일 것이다' 예상을 많이 했었잖아요.

그런데 달을 넘겨 4월 선고가 이뤄지게 됐어요.

그 배경은 뭘까요?

[기자]

네, 말씀해주신 것처럼 윤 대통령 탄핵심판은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 중 역대 최장 기간 심리를 한 사건이 됐습니다.

탄핵소추안 가결을 기준으로 센다면 111일만이고요.

변론종결 기준으로 보면 38일만입니다.

아직 선고 전이라 그 이유에 대해서는 예단하기 어려운데요.

한덕수 국무총리 등 별건의 탄핵사건이 여러 건 동시에 진행돼 업무량이 증가했고, 재판관 의견 조율 과정에 상당한 시간이 걸린 것 아니겠냐는 등의 해석이 나왔습니다.

또 이른바 '5:3' 으로 의견이 나뉘어 '선고불능'에 빠진 것 아니냐는 분석이 일각에서 나오기도 했는데, 아직 명확하게 드러난 것은 없는 상태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639 '선고 임박' 헌재 인근…방독면·헬멧·저주인형까지 등장 랭크뉴스 2025.04.04
43638 "지금부터 선고를 시작하겠다"…곧 尹 정치적 운명 갈린다 랭크뉴스 2025.04.04
43637 “1971년 닉슨쇼크와 유사…저가매수는 떨어지는 칼 잡는 것” 랭크뉴스 2025.04.04
43636 [속보]정청래 “윤석열 만장일치 파면돼야” 랭크뉴스 2025.04.04
43635 美증시 폭락의 날…저커버그 26조·머스크 16조 잃었다 [마켓시그널] 랭크뉴스 2025.04.04
43634 [단독] 군사법원,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 보석 허가‥오늘 석방 랭크뉴스 2025.04.04
43633 '5대 3' '4대 4'? 與 막판까지 '기각' 기대감... "尹 돌아오면 개헌해야" 랭크뉴스 2025.04.04
43632 조기대선…정권교체 52%·정권유지 37%[한국갤럽] 랭크뉴스 2025.04.04
» »»»»» 오전 11시 탄핵심판 선고…이 시각 헌법재판소 랭크뉴스 2025.04.04
43630 [속보] 정청래 법사위원장 헌재 도착…"尹, 만장일치로 파면돼야" 랭크뉴스 2025.04.04
43629 탄핵선고 앞두고 밤샌 찬반 지지자들…은박 담요에 텐트까지 ‘중무장’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4.04
43628 [속보]출근하는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묵묵’ 랭크뉴스 2025.04.04
43627 윤 대통령 운명 결정할 재판관 8인…차례로 출근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4.04
43626 트럼프 관세폭탄에 나스닥 폭락, 환율 급락 랭크뉴스 2025.04.04
43625 '尹 운명' 결심한 재판관들, 출근길 표정 봤더니‥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4.04
43624 '선고 임박' 헌재 인근엔…방독면 시위대에 저주인형까지 랭크뉴스 2025.04.04
43623 파면 시 모든 특권 박탈‥기각 시 '2차 계엄' 우려 랭크뉴스 2025.04.04
43622 [속보] 尹 탄핵선고 앞두고 환율 1,430원대로 추가 하락 랭크뉴스 2025.04.04
43621 [단독] 김용현 "왜 늦어지지" "헬기는…" 양손 비화폰 들고 지휘했다 [계엄, 그날의 재구성①] 랭크뉴스 2025.04.04
43620 '탄핵 인용'에 베팅한 투자자들…이재명 테마주 상한가 직행 [이런국장 저런주식]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