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욕증시, 하루새 시총 3조1천억 달러 증발…·유럽·아시아 증시도 '패닉 셀'
금리·달러·유가·금값 동반 하락…트럼프는 시장 패닉에 "예상했던 일"


화면을 지켜보는 뉴욕증권거래소의 트레이더
[뉴욕 로이터=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교역국을 상대로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한 다음 날인 3일(현지시간) 글로벌 금융시장이 2020년 팬데믹 확산 초기 이후 5년 만에 최악의 공포에 휩싸였다.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가 글로벌 무역전쟁을 격화시키며 무역 상대국은 물론 미국 경제에도 막대한 타격을 가할 것이란 우려에 투자자들은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을 내던지고 채권과 같은 안전자산에 몰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미국 해방의 날'이라고 자찬했으나 미국 상장기업의 시가총액은 이날 하루 새 3조 달러 넘게 증발, 역설적으로 관세 부과 상대국들보다 더 큰 충격을 감내해야 했다.

뉴욕증시, 시총 하루만에 3조달러 넘게 증발…팬데믹 이후 최대
미 주식시장은 주요 경제권 중 관세 발표 후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곳 중 하나였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679.39포인트(-3.98%) 떨어진 40,545.93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274.45포인트(-4.84%) 급락한 5,396.52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1,050.44포인트(-5.97%) 급락한 16,550.61에 각각 마감했다.

다우 지수와 S&P 500 지수는 각각 2020년 6월 이후, 나스닥 종합지수는 2020년 3월 이후 가장 큰 하루 낙폭을 기록했다.

S&P 500 지수는 이날 하락으로 지난 2월 고점 대비 약 12% 떨어지며 다시 조정 국면에 진입했으며, 지난해 11월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승리 이후 저점 기록을 경신했다.

미 증시에선 이날 하루 약 3조1천억 달러(약 4천500조원) 규모의 시가총액이 증발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다우존스 마켓데이터를 인용해 전했다.

중소형주 중심의 러셀2000 지수는 이날 6.59% 떨어지며 지난해 11월 고점 대비 22% 낙폭을 기록, 기술적 약세장에 진입했다.

뉴욕증권거래소의 트레이더
[뉴욕 로이터=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모든 국가에 10%의 기본관세를 부과하고 미국의 무역 적자 폭이 큰 교역 상대국에 추가 세율을 부과하는 상호관세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예상 수준을 웃돈 고율 관세가 상대국의 보복 관세를 불러오고 결국 미국 경제에 물가 상승과 경기침체를 몰고 올 수 있다는 우려가 뉴욕증시 투매를 불러왔다.

특히 미국 바깥 공급망에 생산 의존도가 큰 주요 기업들이 가장 큰 타격을 받았고, 대형 기술주도 충격을 피해 가지 못했다.

나이키가 14.44% 급락했고, 할인상품 유통체인 파이브빌로는 낙폭이 27.81%에 달했다. 갭(Gap) 등 의류 브랜드도 20.29%의 낙폭을 기록했다.

시총 1위 애플은 9.25% 떨어졌고, 엔비디아는 7.81%의 큰 낙폭을 보였다.

체이스인베스트먼트카운슬의 피터 투즈 최고경영자(CEO)는 "오늘 시장은 폭락했고 이는 투자자들이 미래에 대한 관점을 완전히 재설정했음을 가리킨다"며 "미국, 나아가 전 세계 대부분 기업의 이익에 대한 기대치가 낮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플로리다주로 이동하는 비행기 내에서 언론과 만나 금융시장 상황에 대한 질문에 "그것은 예상됐던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 경제는 많은 문제가 있다. 그것은 수술받았으며 경제는 호황이 될 것"이라고 호언장담했다.

국가별 무역장벽 보고서 손에 든 트럼프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유럽·아시아증시도 급락…'46% 관세' 베트남 증시 20여년만에 최대 낙폭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예고에 미국을 제외한 글로벌 증시도 일제히 급락했다.

유럽 대형주 지수 유로스톡스50은 전장보다 3.57% 떨어진 5,114.65로 거래를 마감했고, 독일 지수 DAX40은 3.08%, 프랑스 CAC40은 3.31% 각각 하락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유럽산 수입품에 20%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영국 FTSE100 지수는 1.55%, 스위스 SMI 지수도 2.34% 하락했다. 영국은 10%, 스위스는 32%의 관세가 부과됐다.

요국 가운데 거의 유일하게 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된 러시아의 RTSI 지수도 덩달아 1.98% 떨어졌다.

유럽 시장에선 관세로 인한 경기 둔화 우려에 따라 이달 17일 유럽중앙은행(ECB) 회의에서 정책금리가 인하될 가능성이 80%에서 90%로 올랐다.

앞서 마감한 아시아 증시도 동반 하락세를 나타냈다.

일본 닛케이225 평균주가(닛케이)는 전장 대비 989.94포인트(-2.77%) 하락한 34,735.93으로 장을 마감, 작년 8월 이후 처음으로 35,000선 아래로 내려갔다.

호찌민 증시 대표 주가지수인 VN지수는 6.68% 급락 마감, 2001년 9월 이후 일간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베트남을 겨냥해 46%의 초고율 상호관세를 책정하면서 큰 타격을 받았다.

중국 본토의 상하이종합지수는 0.24% 하락했고, 홍콩 항셍지수는 1.52% 하락 마감했다. 대만 증시는 3일 청명절로 휴장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 로고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국제 금값 안전자산 수요에도 반락…유가, 수요둔화·증산 전망에 급락
글로벌 금융시장이 공포감에 휩싸이면서 채권 금리는 하락하고 원유 등 원자재 가격도 급락세를 보였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 웹에 따르면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4.05%로 전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대비 13bp(1bp=0.01%포인트) 급락했다.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안전자산인 미 국채로 매수세가 몰린 영향을 받았다.

일명 '공포지수'로 불리는 미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의 변동성지수(VIX)는 이날 30.2로 지난해 8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미국 달러화 가치도 급락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의 가치를 반영한 달러화 인덱스는 미 증시 마감 무렵 102.2로 전장 대비 1.5% 하락했다.

달러화 약세가 이어지면서 유로화와 엔 가치는 6개월 만에 최고 수준으로 뛰어올랐다.

도이체방크의 글로벌 외환 책임자인 조지 사라벨로스는 "(달러의) 극적인 움직임을 고려할 때 달러가 더 광범위한 신뢰 위기에 처해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국제유가도 급락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5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종가는 66.95달러로 전장보다 4.76달러(6.64%) 떨어졌다.

경기침체로 원유 수요가 하락할 것이란 전망 속에 주요 산유국 간 협의체인 '석유수출국기구(OPEC) 플러스'의 일부 국가가 증산 결정을 한 게 유가를 끌어내렸다.

국제 금값은 안전자산 선호 심리에도 불구하고 이날 하락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이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금 현물 가격은 온스당 3천108.3달러로 하루 전 같은 시간 대비 0.5% 하락했다.

안전자산 선호 심리로 최근 금값이 랠리를 이어간 가운데 유동성 부족에 직면한 투자자들이 차익실현에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뉴욕의 독립 귀금속 거래업자 타이 웡은 "관세 파문이 달러에 부담을 안겼고, 원래 약달러는 금에 유리한 조건"이라며 "그러나 다양한 금융시장이 잠재적인 마진콜에 직면하면서 레버리지 투자자들이 가진 것을 모두 팔아치우는 현상이 나타났다"고 평가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888 국민의힘 '침통' 이 와중에 서로 '네 탓'‥혼란 수습 가능할까? new 랭크뉴스 2025.04.05
48887 [속보] 연준 파월 "관세, 향후 몇분기 동안 인플레 상승시킬 가능성" new 랭크뉴스 2025.04.05
48886 '대통령' 윤석열 앞에서 멈춘 수사들‥언제 부르나? new 랭크뉴스 2025.04.05
48885 ‘지브리 밈’으로 챗GPT 가입자 5억명 넘긴 오픈AI… 사이버보안 업체 첫 투자 new 랭크뉴스 2025.04.05
48884 한덕수, 대통령실 고위 참모진 전원 사의 반려 new 랭크뉴스 2025.04.05
48883 尹 “국민 기대 부응 못해 죄송”… 불명예로 끝난 ‘1060일 천하’ new 랭크뉴스 2025.04.05
48882 시진핑, 트럼프를 때리다…미·유럽 증시 패닉 new 랭크뉴스 2025.04.05
48881 '자연인' 윤석열 전 대통령, 아크로비스타로 언제 돌아가나…"며칠 걸릴 듯" new 랭크뉴스 2025.04.05
48880 용산 미군기지서 화재… 30여분 만에 큰 불길 진화 new 랭크뉴스 2025.04.05
48879 파란만장한 정치 역정…‘강골 검사’에서 ‘헌정질서 침해’ 파면까지 new 랭크뉴스 2025.04.05
48878 "성폭행 피해자에게 지급하라"…안희정에 확정된 배상액 new 랭크뉴스 2025.04.05
48877 윤석열, 대통령 예우 대부분 박탈당한다 new 랭크뉴스 2025.04.05
48876 尹 파면에 국제사회 "헌재 결정 존중"… 韓 민주주의 신뢰 강조도 new 랭크뉴스 2025.04.05
48875 [사설] 헌재 결정 승복으로… ‘통합의 길’ 나아갈 때 new 랭크뉴스 2025.04.05
48874 환호와 탄식, 선고 순간 희비 엇갈린 찬반 집회 new 랭크뉴스 2025.04.05
48873 연금·국립묘지 안장 자격 등 박탈…예우, 어떻게 달라지나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72 조두순, 하교 시간대 '또' 거주지 무단이탈…보호관찰관 제지로 수 분 만에 귀가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71 툭하면 '반국가 세력'‥불공정·비상식·무능 정권의 몰락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70 보복 나선 中 "10일부터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34% 관세 부과"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69 이재명, ‘대장동 본류’ 재판 증인 불출석 과태료에 이의신청 new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