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자동차, 철강 상호관세 25% 적용 안돼
업종별 관세 25%는 예상한 대로 시행
자동차업계 촉각..당장 가격 인상 없어
철강업계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승부"
자동차 부품 매출 12조 원 관세 영향권
중기들 "완성차 따라 미국 갈 수도 없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상호관세 부과 발표 행사 중 무역 장벽 연례 보고서를 들고 발언하고 있다. 워싱턴=AP 뉴시스


자동차·철강업계가 최악은 피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들 업계에는 상호관세 25%(행정명령에는 26%)를 적용하지 않기로 했기 때문이다. 다만 업종별 관세 25%는 떠안게 됐다.
자동차·철강업계는 확정된 관세 25%를 돌파하기 위한 계산법을 짜느라 바쁜 반면 대부분 중견·중소기업인 자동차 부품 기업은 생사의 기로에 섰다
.

자동차업계 "최악의 시나리오는 아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백악관 경내 로즈가든에서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라는 행사를 열고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하고 있다. 워싱턴=AP 뉴시스


3일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 내용에 따르면 자동차는 상호관세 적용 대상에서 빠졌다.
자동차 업계로선 최악의 시나리오는 피한 셈
이다. 하지만
25% 관세 폭탄이 몰고 올 후폭풍은 이제 시작이란 점에서 업계는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 2024년 한국이 미국에 수출한 자동차는 약 143만 대로, 전체 자동차 수출 물량의 절반이 넘는다.

현대차·기아는 이날부터 미국에 수출할 경우 25% 관세를 내야 할 처지다.
연간 100만 대가량을 미국에 수출해 온 만큼 관세는 수익성과 직결
된다. 최근
미국 내 판매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점쳐진 것도 이 때문
이다. 하지만 현대차·기아는 신중하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
은 이날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기자들과 만나 "
현재 미국에서 가격을 올릴 계획은 없다
"면서 "미국이 아주 중요한 시장인 만큼 장·단기적 관점에서 상황을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좋은 디자인과 기술, 서비스, 금융 프로그램 등 경쟁력 있는 제품을 꾸준히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세계 판매 1위 일본 도요타도 당분간 미국 내 가격을 동결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철강업계 "다행이지만..수출 전략 다각화"

3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수출 야적장에 철강 제품이 쌓여 있다. 평택=뉴시스


철강업계도 상호관세에서는 빠지면서 "그나마 다행"이라는 분위기
다. 특히 한국은 주요 철강 수출국인 캐나다, 멕시코, 브라질, 일본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관세를 맞게 됐다. 철강업계는 3월 12일 결정된 '철강 25% 관세'로 트럼프 관세가 일단락될 것이라고 보고 대응 전략 마련에 힘쓸 방침이다.

특히
고부가가치 제품 위주의 수출로 수익성을 극대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 포스코 등 철강업체들은 관세 부과 뒤 미국 상황에 따라 품목별 수출 전략을 짜는 다각화 전략을 세웠다. 원가를 더 절감한다는 방침도 내놓았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결국 고부가가치 제품 위주로 수출 물량을 채워 수익성을 방어하는 것 외에는 대책이 없다"고 말했다.

차 부품 기업들은 걱정..."완성차 대응 방향 중요"

3일 경기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다. 평택=연합뉴스


가장 큰 걱정을 하는 곳은 국내 완성차 업계와 함께 해온 부품 기업들이다.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에 따르면 현대차·기아, 한국GM 등
국내 자동차 기업과 거래하고 있는 1차 협력 업체만 691곳(2023년 기준)에 달한다. 특히 중소·중견기업(659곳) 비중은 95%로 절대적
이다.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의 2023년 매출액은 164조7,803억 원이다. 이 중 자동차 부품 기업들의 북미 수출 금액은 약 82억2,000만 달러(약 11조7,900억 원)다. 12조 원 규모의 자동차 부품 매출이 관세 영향권에 있다는 의미다.

이런 상황에서 현대차와 같은 완성차 기업이 관세를 피해 미국에서 생산을 늘리면 관세 영향은 더 커진다. 완성차 기업을 따라 미국으로 갈 여력이 없는 부품 기업들은 고객을 잃고 매출이 줄어들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 자동차 부품업체 관계자는 "관세는 상수"라며 "완성차 기업의 관세 대응 방향이 국내 부품 업계의 생사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4767 탄핵 반대하던 인요한 맞나? 영어 인터뷰선 “윤석열 대가 치뤄” 랭크뉴스 2025.04.06
44766 美국가경제위원장 "50여개국, 관세 협상 위해 백악관에 연락" 랭크뉴스 2025.04.06
44765 헌재, 이례적인 5쪽 결론 ‘공동체 향한 메시지’ 담았다 랭크뉴스 2025.04.06
44764 美, 한국 최대 염전 소금 수입금지…'염전 노예' 논란 그곳였다 랭크뉴스 2025.04.06
44763 [속보] 美국가경제위원장 "관세 협상하기 위해 백악관에 50여개국 연락" 랭크뉴스 2025.04.06
44762 11일 만에 또 헬기 추락…"강풍에 불씨 번지면 헬기밖에 없다" 랭크뉴스 2025.04.06
44761 이재명, 9일께 대표 사퇴 후 대권가도 직진할 듯…비명계도 채비(종합) 랭크뉴스 2025.04.06
44760 ‘보호벽’ 사라진 윤석열·김건희 명품백·공천개입…검찰, 수사 속도 내나 랭크뉴스 2025.04.06
44759 ‘이재명 저지’ 시급한 국힘…‘친윤 쌍권’ 체제로 대선 치른다 랭크뉴스 2025.04.06
44758 [속보] 美국가경제위원장 "50여개국, 관세 협상하기위해 백악관에 연락" 랭크뉴스 2025.04.06
44757 11일 만에 또 헬기 추락해도… 내일부터 강풍이라 헬기 투입 계속 랭크뉴스 2025.04.06
44756 지역난방 요금 낮아진다…최대 5% 인하 랭크뉴스 2025.04.06
44755 전광훈 집회서 “손현보 때려잡자”“전한길 날강도”···윤 파면 이후 분열하는 극우 랭크뉴스 2025.04.06
44754 "살아있는 대형견 매달려 당황"…당진서 대낮에 난리난 사건 랭크뉴스 2025.04.06
44753 美전역서 수십만 ‘손 떼라’ 시위… “트럼프·머스크 반대” 랭크뉴스 2025.04.06
44752 "소맥 마시는데 만 원이 넘어"…사람들 '술' 안 마시자 결국 눈물 흘리며 '할인' 랭크뉴스 2025.04.06
44751 김문수·홍준표·김두관 첫 테이프…李도 이번주 대표 사퇴할 듯 랭크뉴스 2025.04.06
44750 내란의 비용‥청구서 따져보니 랭크뉴스 2025.04.06
44749 내란죄 사실관계 상당수 인정…남은 재판 영향은? 랭크뉴스 2025.04.06
44748 “다시 윤석열”-“결과 승복” 분열하는 극우…속내는 오직 ‘돈’ 랭크뉴스 2025.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