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폭력만은 절대 일어나서는 안 됩니다 " 2017년 3월 10일 헌법재판소 인근에서 A씨는 아버지를 잃었다. 이날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소식에 시위대는 차벽을 허물고 헌재 근처로 몰렸다. 일부는 쇠파이프 등을 휘둘렀고 경찰 버스를 탈취했다. 이 과정에서 경찰 소음관리차 위 음향장치가 사람을 덮쳤고, 압사 사고도 벌어졌다. 이날 박 전 대통령 지지자였던 A씨 아버지를 비롯해 총 4명이 숨졌다. A씨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전날인 3일 중앙일보에 “8년 전 일을 반면교사 삼아 유혈사태만큼은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2017년 3월 10일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이 결정되자 헌법재판소 인근에서 폭력사태가 발생했다. 이날 폭력사태로 총 4명이 숨졌다. 사진은 박 전 대통령 탄핵 이후 헌재 모습. 장진영 기자
실제로 윤 대통령 선고를 앞두고 헌재 등에서 폭력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곳곳에서 나온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생업 놓고 무기 챙기자”는 글도 올라왔다. 이에 대해 A씨는 “폭력 사태를 추호도 생각해선 안 된다. 설사 발생하더라도 흥분하지 말고 가담하지 말아야 한다”며 “각 진영에서 열사나 투사라고 칭하지만, 가족들에겐 허무한 죽음일 뿐이다. 가족들을 생각해달라”라고 말했다. 앞서 법원은 박 전 대통령 파면 당일 숨진 4명 중 음향장치에 깔려 사망한 1명에 대해서만 “국가의 배상 책임이 있다”고 판결했다.

A씨는 “경찰이 폭력을 선동하는 사람을 즉시 현행범으로 체포해 조짐이 보일 때부터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집회 참여자들이 폭력 선동에 휘말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취지다. 8년 전 박 전 대통령 파면 당시 일부 지지자와 극우 유튜버는 “헌재 쪽으로 돌진하자”고 선동했지만, 현행범 체포되지 않았다. 사태가 끝나고 나서야 검거돼 집행유예형을 선고받았다. 경찰도 “폭력 등 불법 행위에 대해 무관용 원칙으로 현장에서 신속 검거하는 등 엄정 대응하겠다”고 예고했다.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3일 대한민국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날 오후 대전의 한 교차로에 ‘윤석열 파면’, 이재명 체포’가 담긴 현수막이 위 아래로 걸려있다.김성태 객원기자
3주가량 인터뷰를 거절했던 A씨는 “언론 보도를 보면서 갈수록 탄핵 찬성·반대 세력 간 갈등이 심해진다고 느껴 목소리를 내기로 결심했다”고 했다. A씨는 “8년 전 갈등이 쌓여서 폭력이 돼 아버지를 비롯한 사상자를 낳은 것”이라며 “이제는 국가 기관이든 전문가든 자기편이 아니면 아무것도 듣지 않는 세상이 되었다”고 말했다. 이어 “유족으로서 내는 목소리가 조금이라도 가서 닿길 바란다. 또다시 유혈 사태가 발생해서는 안 된다”고 재차 강조했다.

A씨는 또 “헌재 판결에 불만이 있어도 존중해달라”며 “만일 불복한다면 국민들은 이제껏 외친 여러분들의 주장들을 들어주지도, 관심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집회에서 자기 목소리를 내는 것은 당연한 권리지만, 폭력은 권리가 아니다. 상대 진영을 비방하지 말아달라”고 했다.

A씨는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대표가 모두 국민 통합 메시지를 내야한다"고 주장했다. 사진은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월 탄핵심판 4차 변론기일에 출석한 모습. 뉴스1
A씨는 탄핵 정국 동안 정치인 태도에 실망했다고 한다. 국민 통합보다는 갈등과 분열을 유도했다는 것이다. A씨는 “너무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윤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모두 헌재 결정 승복과 함께 국민 통합의 메시지를 내야 한다”며 “체제 전쟁을 부추기는 정치인이 있는데 이제는 국민 통합으로 혼란을 극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A씨는 이어 “당시 헌재 일대에 응급차가 부족했고 시위대에 가로막혀 이송이 늦기도 했다”며 “또다시 이런 과오가 반복되면 안 된다. 시위대 모두가 무사 귀가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안전과 관련해 적극적인 조치를 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83 [마켓뷰] 폭주 멈춘 트럼프에 韓 증시 폭주… 코스피·코스닥 6%대 반등 랭크뉴스 2025.04.10
46582 "이재명 피습 가해자 당적 비공개 의문" 발언에 MBC 징계… 법원 "취소해야" 랭크뉴스 2025.04.10
46581 [속보]헌재, ‘대통령 권한대행 탄핵 의결정족수’ 권한쟁의 각하 랭크뉴스 2025.04.10
46580 '한덕수 헌법재판관 지명 사건' 마은혁이 주심 맡는다 랭크뉴스 2025.04.10
46579 [단독] 삼성, 신형 폴더블폰 내달 생산…엑시노스 탑재 ‘사활’ 랭크뉴스 2025.04.10
46578 “계엄 관여 증거 없어” 헌재, 박성재 법무장관 탄핵 기각 랭크뉴스 2025.04.10
46577 마은혁, ‘한덕수 헌법재판관 지명 헌법소원’ 주심 맡는다···가처분 인용 여부 촉각 랭크뉴스 2025.04.10
46576 이재명 ‘대선출마 영상’ 2분 요약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10
46575 ‘피의자’ 이완규 헌법재판관 자격 논란, 과거 수사받은 재판관은? 랭크뉴스 2025.04.10
46574 정부, '北철광석 불법선적' 홍콩 선사·선박 등 독자 제재(종합) 랭크뉴스 2025.04.10
46573 윤석열씨 오늘도 관저 ‘무단점거’…“세금 썼으면 비용 청구해야” 랭크뉴스 2025.04.10
46572 마은혁, 한덕수 ‘대통령몫 재판관 지명’ 헌법소원 주심 맡아 랭크뉴스 2025.04.10
46571 [단독] 美 관세 충격에…현대차, 울산 공장 '1조 설비' 도입 연기 랭크뉴스 2025.04.10
46570 전한길 만난 尹 "감옥 가고 죽어도 상관없지만, 국민들 어떡하나" 랭크뉴스 2025.04.10
46569 '탄핵 기각' 돌아온 법무장관‥'尹 파면' '안가 회동' 묻자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4.10
46568 "여러 번 요청했지만…" '한국인의 밥상' PD가 밝힌 최불암 하차 이유 랭크뉴스 2025.04.10
46567 [속보] 법원, 방통위 징계 의결 또 제동... "제재 처분 취소" 랭크뉴스 2025.04.10
46566 한동훈, 대선 출마선언 “이재명도 사실상 탄핵…서태지처럼 내가 시대교체” 랭크뉴스 2025.04.10
46565 국회 입법조사처 “한덕수 대행의 헌법재판관 지명은 위헌” 랭크뉴스 2025.04.10
46564 “전액 납부” 유연석, 세금 추징금 70억→30억으로 줄었다 랭크뉴스 202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