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헌재, '최장 심리·평의' 기록…'마은혁 불임명'으로 결국 '8인체제'로 선고
尹수사·형사재판도 별개 진행…변곡점 지나며 여론은 인용 우세→찬반 분열


최종 의견 진술 마치고 인사하는 윤 대통령
(서울=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본인의 탄핵심판 11차 변론에서 최종 의견 진술을 마치고 인사하고 있다. 2025.2.25 [헌법재판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이도흔 기자 = 지난 4개월간 고심을 거듭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이 4일 헌법재판소의 최종 결론을 앞두고 있다.

윤 대통령 탄핵심판은 지난해 12월 14일 사건 접수이후 111일만인 이날 종국 결정이 내려지며 역대 대통령 탄핵심판 가운데 최장 심리 기록을 세웠다.

탄핵심판이 진행되는 동안 사상 초유 현직 대통령 체포·기소 등 형사재판도 별개로 이뤄지며 변곡점마다 논란이 이어지기도 했다.

여론도 초기 탄핵 인용을 점치던 목소리가 컸으나 시간이 지나며 기각·각하 주장도 강하게 제기되며 대립 구도를 형성했다.

'진공상태'
(서울=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 거리에 경찰이 차벽을 세워 접근을 차단하고 있다. 2025.4.3 [email protected]


국회는 지난해 12·3 비상계엄 선포 후 두 차례에 걸친 탄핵안 투표 끝에 12월 14일 윤 대통령을 탄핵소추하고 사건을 헌재에 접수했다.

'신속 심리' 방침을 밝힌 헌재는 2번의 변론준비와 11번의 정식 변론을 열고 국무위원, 경찰 수뇌부, 군 관계자 등 총 16명의 증인을 불렀다.

윤 대통령은 지난 1월 19일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구속됐고, 이틀 뒤 열린 3차 변론부터는 헌재 심판정에 직접 출석했다.

2월 25일 열린 마지막 변론에서는 약 70분간 최종 의견을 진술하며 직무에 복귀해 개헌에 나서겠다는 뜻을 밝히기도 했다.

헌재가 1월부터 헌법재판관 8인 체제로 심리를 이어가면서 마은혁 재판관 후보자 임명 문제가 윤 대통령 사건의 큰 변수 중 하나로 꼽히기도 했다.

마 후보자가 합류할 경우 이미 변론을 마무리한 헌재가 변론을 갱신해 '9인체제'로 선고할지, 마 후보자를 제외한 채 선고할지를 두고 다양한 관측이 오갔다.

헌재는 윤 대통령 변론종결 이틀 뒤인 2월 27일 국회가 최상목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을 상대로 낸 '마 후보자 불임명' 관련 국회의 권한쟁의심판 청구를 재판관 전원일치로 인용하며 최 대행이 마 후보자를 재판관으로 임명하지 않은 것이 국회 권한을 침해한 행위라고 판단했다.

헌재는 지난달 24일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심판 청구를 기각하면서도 마 후보자 불임명이 위법하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은 한 총리와 최상목 부총리 모두 마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으며 헌재는 이날 '8인 체제'로 윤 대통령 탄핵심판을 선고하게 됐다.

[그래픽] 마은혁 재판관 후보자 불임명 권한쟁의심판 선고 결과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기자 = 27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마은혁 재판관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은 것은 국회의 권한을 침해한 위법한 행위라고 헌법재판소가 결정했다.
헌재는 다만 마 후보자에게 재판관 지위를 부여해달라는 지위확인 등에 관한 부분은 부적법하다며 각하했다.
[email protected]
X(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탄핵심판이 진행되는 동안 윤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수사와 형사재판도 별개로 이뤄졌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와 검찰이 수사권을 놓고 부딪혔고, 윤 대통령의 구속기간 산정 방식을 놓고 수사기관과 법원이 갈등을 빚기도 했다.

초반 일방적인 탄핵 인용을 점쳤던 여론도 심리가 길어지고 형사재판이 진행되며 점차 양분화됐다.

지난 1월 19일 서울서부지법이 윤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하자 지지자들이 청사 정문과 유리창을 깨부수며 난입해 집기와 시설물을 파손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헌재가 변론을 종결한 뒤 재판관 평의를 계속하던 지난달 7일 서울중앙지법이 윤 대통령의 구속취소 청구를 인용하며 사건은 또다른 변곡점을 맞이했다.

당시 재판부는 구속기간 산정 방식, 수사권 문제 등과 관련해 절차의 명확성, 수사과정의 적법성을 문제삼았다.

검찰이 즉시항고를 포기해 윤 대통령은 이튿날 석방됐다.

지지자들에게 인사하는 윤석열 대통령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서울구치소에서 석방된 윤석열 대통령이 8일 서울 한남동 관저 앞에 도착, 차량에서 내려 지지자들을 향해 인사하고 있다. 2025.3.8 [email protected]


법조계는 형사재판의 구속취소 결정이 탄핵심판에 직접적으로 끼칠 영향은 적다고 전망했으나 절차적 문제에 대한 헌재 고심이 깊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윤 대통령 측이 수사기록의 증거능력 문제 등을 들어 심판에 절차적 흠결이 있다고 주장해왔기 때문이다.

침묵을 지키며 고심을 거듭하던 헌재는 변론 종결 35일 만인 지난 1일 선고기일을 발표했고, 12·3 비상계엄이 선포된 지 122일이 지난 이날 탄핵심판 결정이 선고된다.

탄핵선고 D-1, 불 꺼진 헌법재판소
(서울=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조명이 대부분 꺼져 있다. 2025.4.3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879 파란만장한 정치 역정…‘강골 검사’에서 ‘헌정질서 침해’ 파면까지 new 랭크뉴스 2025.04.05
48878 "성폭행 피해자에게 지급하라"…안희정에 확정된 배상액 new 랭크뉴스 2025.04.05
48877 윤석열, 대통령 예우 대부분 박탈당한다 new 랭크뉴스 2025.04.05
48876 尹 파면에 국제사회 "헌재 결정 존중"… 韓 민주주의 신뢰 강조도 new 랭크뉴스 2025.04.05
48875 [사설] 헌재 결정 승복으로… ‘통합의 길’ 나아갈 때 new 랭크뉴스 2025.04.05
48874 환호와 탄식, 선고 순간 희비 엇갈린 찬반 집회 new 랭크뉴스 2025.04.05
48873 연금·국립묘지 안장 자격 등 박탈…예우, 어떻게 달라지나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72 조두순, 하교 시간대 '또' 거주지 무단이탈…보호관찰관 제지로 수 분 만에 귀가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71 툭하면 '반국가 세력'‥불공정·비상식·무능 정권의 몰락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70 보복 나선 中 "10일부터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34% 관세 부과"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69 이재명, ‘대장동 본류’ 재판 증인 불출석 과태료에 이의신청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68 미국 “한국 헌재 결정 존중…한덕수 대행과 한미동맹 안정 노력”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67 中 보복 나섰다 "美수입품에 34% 추가 관세"…트럼프 "그들 당황"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66 권영세·권성동 만난 尹 “대선 꼭 승리하길 바란다”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65 "尹, 안녕히가세요"…대통령기록관, 기록물 이관작업 착수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64 "尹파면" 입술 떤 문형배, 퇴장하며 김형두 등 두드렸다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63 [속보] 안국역 폐쇄 종료···전 역사 정상운행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62 美 “한국 민주제도 존중…동맹 안정성 보장에 최선”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61 추진 동력 잃은 심해 가스전 개발 사업 ‘대왕고래’ new 랭크뉴스 2025.04.04
48860 34% 때리자 34% 맞불관세 비례대응…中, 美에 '전방위 무역보복'(종합2보) new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