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여 “결과 승복” 입장에도 침묵 지키며 통합 등한시
비상계엄 이후 강성 지지층 향했던 ‘여론전’ 연장선
당내 “선당후사 정신 없어” 불만…대통령실 “초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과 안국역 앞이 경찰 차벽 등으로 통제되고 있다. 성동훈 기자


윤석열 대통령(사진)이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선고 하루 전인 3일에도 결과에 승복하겠다는 뜻을 밝히지 않았다. 자신이 일으킨 12·3 비상계엄 사태로 한국 사회의 극단적 갈등과 분열이 우려되는 상황 속에서도 침묵을 지켰다. 탄핵소추된 뒤에도 반성과 사과, 통합 대신 강성 지지층 호소에 집중해온 그간 행보의 연장선으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까지 4일 헌재 선고기일에서 나올 결정에 승복하겠다는 대외 메시지를 내놓지 않았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앞서 어떤 결정이 나오든 승복하겠다고 밝혔지만, 윤 대통령과 일부 친윤석열계 의원들은 침묵으로 일관하며 파면 시 불복할 가능성을 남겼다.

여권 관계자는 기자와 통화하면서 “이미 때가 늦은 것 같다”며 “상황이 이렇게 된 이상 대통령이 승복하겠다고 하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 굴복하는 모양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여당이 승복 선언을 요구하자 이 대표가 “승복은 윤석열이 하는 것”이라고 말한 것을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윤 대통령의 침묵을 두고 헌재 선고 후 시민 간 분열과 갈등, 물리적 충돌이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KBS 라디오에서 윤 대통령의 승복 메시지가 “꼭 필요하다”면서 “그렇게 한다면 지지자들이 승복하고, 유혈 사태까지는 가지 않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침묵은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사태 이후 실행해온 여론전의 연장으로 보인다. 앞서 윤 대통령은 체포와 구속, 탄핵심판 과정에서 강성 지지층에게 “국민과 함께 끝까지 싸우겠다”고 호소해왔다. 12·3 비상계엄 사태에 대한 반성과 사과는 하지 않고 계엄 선포 원인은 야당으로 돌리고 ‘계몽령’을 주장했다. 윤 대통령 측은 체포영장 집행을 피해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 머물 당시 관저 밖 지지층에게 “경찰을 막아달라”는 메시지를 발신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 측은 법원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헌재를 가리지 않고 국가기관에 대한 불신을 조장하며 이 기관들을 여론전으로 압박했다. 윤 대통령은 서울서부지법 난입·폭력 사태, 극우 지지층의 헌법재판관들에 대한 무분별한 공격 등의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비판을 받는다.

윤 대통령이 끝내 침묵하면서 여당 내에서는 윤 대통령이 조기 대선을 치를 가능성에 대비해야 하는 당의 요구를 외면했다는 불만이 나왔다.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기자에게 “윤 대통령에게는 끝까지 선당후사 정신이 없다는 생각을 했다”며 “사태를 이렇게까지 만들어놓고도 당에 대한 영향력을 놓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태 전 국민의힘 의원은 SBS 라디오에서 “조기 대선을 이재명 대 윤석열 프레임으로 치를 수는 없는 것 아닌가”라며 “아직도 윤 대통령 감성팔이만 해서 조기 대선에서 어떤 승리를 우리가 거둘 수 있겠나. 어느 후보가 서더라도 그 후보의 이미지가 보이겠나”라고 했다.

대통령실에는 종일 긴장감이 감돌았다. 한 관계자는 통화에서 “대통령이 직무에 즉각 복귀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차분하게 기다리는 것 말고는 할 수 있는 일이 없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우리는 우리대로 맡겨진 통상적인 업무를 해야 한다”면서도 “운명의 날을 앞두고 초조한 것은 어쩔 수 없다”고 전했다. 윤 대통령은 4일 관저에서 생중계로 헌재 결정을 지켜볼 것으로 전망된다.

참모들은 윤 대통령의 직무 복귀에 대비하며 덤덤하게 현안에 대응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참모들은 오전에는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이 주재한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 조치 대응책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954 진성준 "최상목 탄핵안, 법사위 조사 없이 즉각 처리해야" new 랭크뉴스 2025.04.04
43953 민주당 최상목 탄핵 숨고르기... 한덕수 향해 "마은혁 빨리 임명해야" new 랭크뉴스 2025.04.04
43952 헌재 "계엄 선포, 정치적 결단 행위라도 사법심사 대상"(종합) new 랭크뉴스 2025.04.04
43951 외신 “‘아메리칸 파이’ 노래했던 보수주의자, 극적으로 퇴진” new 랭크뉴스 2025.04.04
43950 미국 “한국 헌재 결정 존중…한덕수 권한대행과 협력할 것” new 랭크뉴스 2025.04.04
43949 [속보] 美국무부, 尹파면에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new 랭크뉴스 2025.04.04
43948 민주당, 최상목 탄핵도 ‘숨고르기’… 윤석열 파면 뒤 법사위 조사로 선회 new 랭크뉴스 2025.04.04
43947 미국 증시 폭락했지만···트럼프 “내 정책 절대 안 바뀌어” new 랭크뉴스 2025.04.04
43946 외교부, 전 재외공관에 ‘尹사진 철거’ 지시… 주요국과 탄핵 공유 new 랭크뉴스 2025.04.04
43945 [속보] 미국 "윤석열 파면, 헌법재판소 결정 존중‥한미동맹 안정성 위해 노력" new 랭크뉴스 2025.04.04
43944 美 국무부 “한국 헌재 결정 존중…한미동맹 협력 지속 기대” new 랭크뉴스 2025.04.04
43943 [속보] 미 국무부, 윤석열 파면에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new 랭크뉴스 2025.04.04
43942 한동훈 “함께 고통 나누고 극복하자” new 랭크뉴스 2025.04.04
43941 4명 숨진 8년 전과 달랐다, 헌재 앞 비운 진공작전 효과 new 랭크뉴스 2025.04.04
43940 선포도, 포고령도 ‘위헌’…“중대 위기 없었다” new 랭크뉴스 2025.04.04
43939 문형배, 퇴정하며 김형두 등 '쓰담'…선고 직후 희비 엇갈린 재판정 new 랭크뉴스 2025.04.04
43938 베트남 상호관세 46%에… 한국의 對아세안 수출도 ‘흔들’ new 랭크뉴스 2025.04.04
43937 [속보] 美, 尹파면에 "헌재 결정 존중…한 대행과 협력할 것" new 랭크뉴스 2025.04.04
43936 조기 대선 시작… 민주주의 회복 후 대한민국 선장 누가되나 new 랭크뉴스 2025.04.04
43935 [속보] 美국무부, 尹파면에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new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