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윤석열 대통령은 12·3 비상계엄이 "경고성"이고 "대국민 호소용"이라고 말해 왔습니다.

하지만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의 수첩엔 비상계엄이 지난해 총선 이전부터 준비됐고, 그 목적이 반대 세력을 '수거'해 '제거'한 뒤 '장기집권'을 하려고 한 것으로 보이는 내용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MBC는 12·3 비상계엄의 '비선'으로 지목된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의 수첩 전문을 입수해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그들이 비상계엄으로 이루려고 한 게 뭔지, 하나하나 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이재욱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 리포트 ▶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의 수첩은 '시기'를 '총선 전'과 '총선 후'로 나누고, '실행 후 싹을 제거해 근원을 없애버려'야 한다는 글로 시작합니다.

지난해 4월 총선보다 한참 앞서 비상계엄을 준비한 것으로 의심됩니다.

곧이어 '차기 대선에 대비해 모든 좌파 세력을 붕괴시킨다'며, 그 아래 '수거팀 구성'과 '수집소 운용'이라고 적었습니다.

'수거'의 대상도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1차 수집' 이라는 제목 아래 국회가 있는 여의도는 30에서 50명, 언론 쪽은 100에서 200이라고 썼습니다.

민노총, 전교조, 민변, 어용판사와 함께 '500여 명 수집'이라는 글도 확인됩니다.

'수거 대상 처리 방법 연구'와 '수거 후 호송 시 대책'을 구체적으로 적은 뒤엔 별 표시를 하고 '특별 수사와 재판소로 사형, 무기형을 받게 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바로 그 다음 장부턴 등급 'A'로 분류한 체포 대상자들의 실명이 적혀 있습니다.

권순일 전 대법관·이재명 민주당 대표·김명수 전 대법원장은 동그라미로 표시하고, 차례대로 조국 전 의원, 문재인 전 대통령, 이준석 의원, 유시민 작가까지 빼곡히 담겼습니다.

그리고 몇 장 뒤 '수거 A급 처리 방안'으로 '연평도 이송'이라고 나와 있는데, 몇 번을 반복해 쓴 듯 '사고'라는 글자가 눈에 띕니다.

'가스'·'폭파'·'침몰'·'격침' 등 사살을 의미하는 내용도 수첩에 담겼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비상계엄이 야당의 입법 독주를 경고하기 위한 '대국민 호소'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지난 2월 25일)]
"무력으로 국민을 억압하는 계엄이 아니라, 계엄의 형식을 빌린 대국민 호소입니다."

하지만 70쪽에 달하는 '노상원 수첩'은 다른 말을 하고 있습니다.

계엄령 행사 후 '헌법 개정'을 하겠다며 '재선'을 넘어 '3선'이라고 적었습니다.

그러면서 중국과 러시아의 선거제도를 연구해야 한다고 썼습니다.

비상계엄의 종착점이 반대 세력을 없애 '장기 집권', 즉 '독재'에 있음을 숨기지 않은 겁니다.

[임지봉/서강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경고성 계엄이었던 것이 아니라 정치적 반대 세력들을 체포하고 제거한 후에 장기집권으로 가기 위한 그러한 목적까지도 포함된 그러한 계엄 시도였다는 것을‥"

'어뢰 공격'은 물론 '북한의 공격을 유도하거나''사제폭발물을 구매'한다며 '사살' 계획을 구체화한 이 수첩은, 정치인과 판사, 국정원, 경찰, 좌파연예인까지 대거 '수거' 대상으로 나열하며 끝을 맺습니다.

호송선 3척에서 5척을 준비해 5천에서 1만 명까지 수거하려 한 것으로 보이는 내용도 확인됩니다.

수첩 주인 민간인 노상원 씨는 계엄 직전 넉 달 간 김용현 국방장관 공관을 드나들며 계엄을 모의한 걸로 알려졌고, 계엄실패 뒤 대통령의 질책을 들은 장관이 그 자리에서 황급히 전화한 핵심 인물입니다.

노상원 수첩이 그저 망상의 기록이 아니라 내란 계획의 전모를 밝히기 위한 단초인 이유입니다.

MBC뉴스 이재욱입니다.

영상편집 : 박찬영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796 헌재 “파면” 순간, 방청석에서 “와~” 함성·박수·눈물 뒤섞여 랭크뉴스 2025.04.04
43795 [속보] 尹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너무나 안타깝고 죄송" 랭크뉴스 2025.04.04
43794 윤 대통령 측 "헌재 결정 법리적으로 납득할 수 없어" 랭크뉴스 2025.04.04
43793 윤석열 "국민 여러분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너무나 죄송하다" 랭크뉴스 2025.04.04
43792 정진석 비서실장 등 대통령실 고위 참모진 일괄 사의 랭크뉴스 2025.04.04
43791 [단독] 한덕수·노태악 통화, 6월3일 대통령 선거일 지정 가닥 랭크뉴스 2025.04.04
43790 [단독] '탄핵 반대' 외치던 김기현 "우린 폐족"... 초선들은 부글부글 랭크뉴스 2025.04.04
43789 경제계 "헌재 결정 존중, 사회안정·경제활력 제고에 힘 모아야" 랭크뉴스 2025.04.04
43788 윤석열 "대한민국 위해 일할 수 있어 영광‥기대 부응 못해 죄송" 랭크뉴스 2025.04.04
43787 [결정문 분석] ‘5 대 3의 희망’ 정형식·김복형·조한창도, 파면에 이견 없었다 랭크뉴스 2025.04.04
43786 尹, 파면 후 첫 메시지 "기대 부응 못해 너무나 안타깝고 죄송" 랭크뉴스 2025.04.04
43785 ‘6월 3일’ 유력… 이번에도 장미 대선 랭크뉴스 2025.04.04
43784 [尹탄핵] '중대한 위헌' 판단 근거는…"협치로 해결않고 국가긴급권 남용" 랭크뉴스 2025.04.04
43783 [단독]기재부·외교부 등 정부 부처, 尹 손절…SNS '언팔' 랭크뉴스 2025.04.04
43782 '尹 파면' 중국 실시간 검색어 1위...'차기 대선 주자' 주목한 NYT 랭크뉴스 2025.04.04
43781 韓 권한대행 “차기 대선, 중요한 국민 통합 계기… 투명한 관리 필요” 랭크뉴스 2025.04.04
43780 [尹파면] "尹 주장 믿기 어렵다"…헌재 곽종근·홍장원 믿은 이유는 랭크뉴스 2025.04.04
43779 14일까지 대선 날짜 정해야…유력한 선거일은 '6월 3일' 랭크뉴스 2025.04.04
43778 헌재, 국회·야당도 꾸짖었다…"8인 전원일치 타협의 결과인 듯" 랭크뉴스 2025.04.04
43777 [속보] 대통령실, 고위 참모 전원 사의 표명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