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챗GPT 이용자 첫 509만명 넘어
국내 생성형 AI 앱도 '역대 최대'
챗GPT에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한국에서 챗GPT 앱 이용자 수가 늘어 기뻐하는 모습을 지브리 풍으로 만들어줘’라고 명령하고 받은 이미지

[서울경제]

미국 오픈AI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애플리케이션(앱) ‘챗GPT’의 한국 이용자 수가 한 달만에 122만 명 급증했다. 최근 ‘지브리 풍’ 이미지 생성 등 새롭게 선보인 기능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심지어 ‘짝퉁’ 앱에까지 이용자들이 몰리고 있다.

3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 달 챗GPT의 국내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509만 명으로 집계됐다. 지난 2023년 7월 오픈AI가 한국에서 챗GPT 앱을 선보인 후 역대 최대 이용자 수를 기록했다. 올해 2월(387만 명)과 비교했을 때 한 달만에 이용자 수가 122만 명(31.5%) 늘어났다. 1년 전과 비교하면 이용자 증가 추세가 더 폭발적이다. 지난해 3월 챗GPT의 국내 MAU는 88만 명에 불과했다. 1년 만에 이용자 수가 421만 명(478.4%) 급증한 셈이다.

지난 달 오픈AI가 출시한 신규 이미지 생성 AI 모델 ‘챗GPT-4o 이미지 생성’이 이용자 증가에 한 몫 했다는 분석이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일본 애니메이션 제작사 스튜디오 지브리를 비롯해 디즈니, 심슨 등 다양한 화풍으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아울러 오픈AI가 올 들어 고급 추론이 가능한 소형 모델 ‘o3 mini(미니)’, AI 에이전트(비서) 서비스 ‘오퍼레이터’, 복잡한 연구 작업을 수행하는 ‘딥리서치’ 등 다양한 AI 모델·서비스를 선보인 것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국내 이용자들은 지난 달에만 챗GPT를 143만 건 신규 다운로드했다. 올해 2월(80만 건)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심지어는 짝퉁 챗GPT 앱에도 관심이 몰렸다. 모바일인덱스의 ‘생산성’ 업종에서 97위를 기록한 ‘인공지능 챗봇-챗GPT 한글버전’의 지난 달 MAU는 10만 명으로, 역대 최대 이용자 수를 기록했다. 오픈AI가 아닌 뉴웨이앱스가 개발한 앱으로, 정식 챗GPT 앱은 아니다. 이 외에도 챗GPT 뿐만 아니라 다른 생성형 AI 앱들도 동반 수혜를 보면서 뤼튼(105만 명), 퍼플렉시티(55만 명) 등도 지난 달 국내에서 역대 최대 MAU를 기록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802 [속보]선관위 “21대 대통령선거 예비후보 등록 시작” 랭크뉴스 2025.04.04
43801 윤석열 파면 뒤 불법 된 ‘이재명 비방’ 현수막…국힘, 부랴부랴 ‘철거’ 랭크뉴스 2025.04.04
43800 김형두 재판관 등 두드려준 문형배 대행…111일 마침표 찍은 순간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4
43799 문형배, 퇴장하며 김형두 등 두드렸다…심판정선 탄성·박수 랭크뉴스 2025.04.04
43798 봉황기 내리고 참모진 사의… ‘용산시대’ 사실상 마침표 랭크뉴스 2025.04.04
43797 이젠 예우·특권 사라진 '맨몸'‥尹 향한 수사 '대기번호' 랭크뉴스 2025.04.04
43796 헌재 “파면” 순간, 방청석에서 “와~” 함성·박수·눈물 뒤섞여 랭크뉴스 2025.04.04
43795 [속보] 尹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너무나 안타깝고 죄송" 랭크뉴스 2025.04.04
43794 윤 대통령 측 "헌재 결정 법리적으로 납득할 수 없어" 랭크뉴스 2025.04.04
43793 윤석열 "국민 여러분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너무나 죄송하다" 랭크뉴스 2025.04.04
43792 정진석 비서실장 등 대통령실 고위 참모진 일괄 사의 랭크뉴스 2025.04.04
43791 [단독] 한덕수·노태악 통화, 6월3일 대통령 선거일 지정 가닥 랭크뉴스 2025.04.04
43790 [단독] '탄핵 반대' 외치던 김기현 "우린 폐족"... 초선들은 부글부글 랭크뉴스 2025.04.04
43789 경제계 "헌재 결정 존중, 사회안정·경제활력 제고에 힘 모아야" 랭크뉴스 2025.04.04
43788 윤석열 "대한민국 위해 일할 수 있어 영광‥기대 부응 못해 죄송" 랭크뉴스 2025.04.04
43787 [결정문 분석] ‘5 대 3의 희망’ 정형식·김복형·조한창도, 파면에 이견 없었다 랭크뉴스 2025.04.04
43786 尹, 파면 후 첫 메시지 "기대 부응 못해 너무나 안타깝고 죄송" 랭크뉴스 2025.04.04
43785 ‘6월 3일’ 유력… 이번에도 장미 대선 랭크뉴스 2025.04.04
43784 [尹탄핵] '중대한 위헌' 판단 근거는…"협치로 해결않고 국가긴급권 남용" 랭크뉴스 2025.04.04
43783 [단독]기재부·외교부 등 정부 부처, 尹 손절…SNS '언팔'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