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최근 울산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에 락이나 힙합 공연장에서 사용하는 '플라잉 스피커'가 처음 등장했다. 3월 29일 울산 집회 현장에 설치된 플라잉 스피커의 모습. 사진 세이브코리아 관계자
최근 울산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에 락이나 힙합 공연장에서 사용하는 '플라잉 스피커'가 처음 등장했다. 플라잉 스피커는 거대한 크기와 강한 음압으로 인해 일부에서 '괴물 스피커'라고 부르기도 한다. 오는 4일 탄핵 심판 선고를 앞두고 찬반 집회 격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큰 소음을 내는 이런 고출력 스피커 사용이 더욱 빈번해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울산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는 주말이던 지난달 29일 울산 남구에서 진행됐다. 이날 집회는 개신교 단체 세이브코리아가 주관했으며, 오후 1시부터 3시간 정도 이어졌다. 주최 측에 따르면 이 집회에는 2만 명(주최 측 추산) 이상이 참석했다. 주최 측은 전문업체의 도움을 받아, 강력한 음향으로 집회 분위기를 고조시키기 위해 플라잉 스피커를 사용했다고 한다. 크레인 3대에 각각 10여 개의 고출력 스피커를 세로로 묶어서 공중에 띄운 방식이었다. 플라잉 스피커는 일반 스피커 대비 음압 손실을 절반 정도로 줄여 먼 곳에 균일하게 소리를 전달한다. 이렇게 설치된 플라잉 스피커는 당일 울산 집회 현장 앞과 뒤에 배치돼 윤 대통령의 탄핵 반대 목소리를 더욱 크게 전달했다.

크레인에 매단 플라잉 스피커가 사용된 이날, 울산 지역의 소음 관련 112 신고도 증가했다. 울산경찰청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하루 동안 지역 112에 접수된 소음 신고는 30건으로, 탄핵 찬반 집회가 이어진 전주인 22일 18건의 소음 신고보다 12건이 더 늘었다. 남구의 한 60대 주민은 "여러 집회에 참석했지만, 플라잉 스피커가 동원된 집회는 울산에서는 처음 본 것 같다"며 "무대에서 외치는 소리 자체가 공중에서 크게 퍼지는 느낌이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최근 울산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에 락이나 힙합 공연장에서 사용하는 '플라잉 스피커'가 처음 등장했다. 3월 29일 울산 집회 현장에 설치된 플라잉 스피커의 모습. 사진 세이브코리아 관계자
집회소음 기준은 주거지역, 학교·종합병원 등에서 주간 60dB 이하, 야간 50dB 이하, 심야 45dB 이하로 규정돼 있다. 이 기준을 충족하면 스피커 크기나 숫자 등은 위법이 아니다. 이에 대해 세이브코리아 관계자는 "5000명 이상 모이는 대형집회 현장에서만 쓰는 게 플라잉 스피커다"며 "그동안은 집회 규모가 크지 않아 별도로 사용하지 않았는데, 이 스피커 자체가 불법이 아닌 만큼 4일 선고 이후 서울 집회에서도 사용할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을 앞두고 경찰은 헌법재판소 인근을 일반인 접근을 불허하는 '통제구역'으로 만들고 있다. 탄핵 찬반 시위자가 충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근 학교 상당수도 임시 휴업한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879 "성공? 하버드 아닌 한국 식료품점서 답 찾았다" [안혜리의 인생] 랭크뉴스 2025.04.09
45878 백악관 “보복은 실수, 미국은 맞으면 더 세게 받아쳐”···9일부터 중국에 104% 관세 부과 랭크뉴스 2025.04.09
45877 이재명, 오늘 당대표직 사퇴···‘대선 모드’ 본격화 랭크뉴스 2025.04.09
45876 한국 국채, WGBI 선진그룹 편입 확정…시점은 내년 4월로 늦춰져 랭크뉴스 2025.04.09
45875 국제유가 4년 만에 60달러 붕괴… 관세전쟁發 경기침체 우려 확산 랭크뉴스 2025.04.09
45874 취한 얼굴로 "오빠 아깝다"…넘쳐나는 연예인 '술방' 어쩌나 랭크뉴스 2025.04.09
45873 미 국무부, 한국 리더십 공백 동맹 영향 질문에 "한미 관계 강력" 랭크뉴스 2025.04.09
45872 아이스크림 가게 사장님과 아이의 ‘인류애’ 풀충전 순간 [잇슈#태그] 랭크뉴스 2025.04.09
45871 [팩트체크] 세계 최장 군 복무 국가는 북한이다? 랭크뉴스 2025.04.09
45870 [속보] 한양대 실험실서 황산 폭발로 불…학생 4명 다쳐 랭크뉴스 2025.04.09
45869 트럼프, ‘방위비 인상’ 포문 열다…취임 이후 첫 한미 정상 통화 랭크뉴스 2025.04.09
45868 "韓 헌법재판관 지명, 사법부 코드인사 전쟁" 헌법학자들 작심비판 랭크뉴스 2025.04.09
45867 금융위기때도 안 내렸는데…요즘 식당 소주‧맥주 2000원 왜 랭크뉴스 2025.04.09
45866 [단독] 최재해·유병호 ‘공개 말싸움’…“공직기강 잡기? 누가 누굴 감사하나” 랭크뉴스 2025.04.09
45865 국힘, 개헌 필수 ‘국민투표법’은 나몰라라…일단 ‘이재명 탓’ [송종호의 여쏙야쏙] 랭크뉴스 2025.04.09
45864 [샷!] "결정문 필사하며 분노와 희망 동시에 느껴" 랭크뉴스 2025.04.09
45863 [속보]북한 김여정 "北, '완전한 비핵화'는 망상" 랭크뉴스 2025.04.09
45862 뉴욕증시, 관세 발효 앞두고 급락…나스닥 2% 하락 마감 랭크뉴스 2025.04.09
45861 "뚜껑 돌렸더니 라벨 '툭'"…개그맨 장동민 '특허 기술', 환경부 상 받은 그 후 랭크뉴스 2025.04.09
45860 美 국무부, 리더십 공백 영향 질문에 “한미동맹 강력” 랭크뉴스 202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