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트럼프 상대국 관세 근거로 상호관세 수치 산출…근거는 자의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상호 관세를 발표하며 각국별로 부과될 관세율이 적힌 도표를 들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성조기를 배경으로 서서 각국에 부과할 상호관세 도표를 손에 들었다. 미국이 추산한 무역 상대국의 대미 관세율(관세·비관세 장벽 포함)과 트럼프가 상대 국가에 부과하기로 한 상호관세율을 비교한 도표였다. 트럼프는 각국에 적용된 관세율이 ‘디스카운트(할인)’된 관세라고 주장했지만, 관세 산출 근거는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트럼프는 도표에 포함된 25개국 중 도표 가장 위에 있는 중국부터 언급했다. 트럼프는 “중국은 통화 조작과 무역 장벽을 포함해 67%의 관세를 미국에 부과하고 있다”며 “우리는 할인해서 34%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유럽연합(EU)에 대해서는 “유럽연합은 매우 우호적인 존재라고 생각하겠지만 그들은 우리를 털어먹었다”며 “그들은 39%를 우리에게 부과했지만 우리는 20%를 부과하겠다. 절반만 부과하는 것”이라고 했다.

트럼프는 이어 도표에 기재된 베트남, 대만, 일본, 인도 순으로 상호관세율과 부과 배경을 설명했다. 특히 일본에 대해서는 “일본은 매우 터프하고 위대한 사람들”이라며 “우리에게 46%를 부과하지만 우리는 24%만 부과하겠다”고 했다. 특히 테러로 사망한 아베 신조 전 총리와의 인연을 거론한 뒤, “나는 그에게 ‘거래가 불공평하다. 우리는 뭔가를 해야 한다’고 말한 적이 있다. 그는 ‘나도 알고 있다’라고 했다”며 “정말 훌륭한 사람이고 신사였다”고 말했다.

상호관세 도표상으로는 인도 아래에 한국, 그다음에 태국이 있었지만, 트럼프는 한국과 태국은 건너뛰고 스위스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에 대한 상호 관세율을 발표했다.

이날 트럼프가 제시한 도표상으로는 미국이 부과하는 상호관세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캄보디아로 무려 49%의 관세율이 책정됐다. 트럼프는 캄보디아가 미국에 환율 등 비관세 장벽과 관세 장벽을 모두 포함 97%의 관세를 매긴다고 주장했다. 영국, 호주, 브라질, 싱가포르 등이 가장 낮은 10%의 기본 관세만 적용 받았다.

트럼프는 이날 각국의 관세율을 관세와 비관세 장벽 등을 고려해 구체적 수치로 밝혔지만, 산정 근거는 무엇인지 명확하게 밝히지 않았다. 한국과 미국은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사실상 무관세인데도, 도표상으로는 한국이 미국에 50%나 관세를 물린다고 돼 있다. 비관세 장벽을 고려하더라도 지나치게 자의적인 수치라는 평가가 나온다.

트럼프는 이날 도표 외에도 지난달 31일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한국 등 59개국의 비관세장벽 등을 적시한 ‘2025 국가별 무역장벽보고서(NTE)’도 꺼내들고 “외국의 무역 장벽이 상세히 적혀있는 매우 큰 보고서”라고 말했다. 관세율 책정에 비관세 장벽을 크게 고려했음을 시사하는 장면이었다.

미국은 이날 도표에서 무역 상대국이 자신들에게 매긴다고 주장한 관세율의 절반 정도를 상호관세로 책정했다. 트럼프는 그동안 “우리는 매우 관대하게 상호관세율을 매길 것”이라고 주장해왔는데, 이날도 “우리는 절반만 부과한다”고 했다.

트럼프의 상호관세 도표에 거론되지 않는 나라들도 모두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받았다. 기본 관세 10%는 5일 0시 1분부터, 추가 관세는 9일 0시 1분부터 부과된다. 백악관은 애초 트럼프의 발표 즉시 관세가 발효된다고 밝혔지만, 발효 시점이 막판에 일부 조정된 셈이다.

국가별로 상호관세가 발표됐지만, 이미 품목별 관세가 부과된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등에는 상호관세가 추가로 적용되진 않는다고 백악관이 설명자료를 통해 밝혔다. 따라서 해당 품목들은 기존에 부과된 25%의 관세만 부과하면 된다. 이들 외에도 품목별 관세가 예고된 구리·의약품·목재에도 상호관세는 적용되지 않는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404 “순간 화 못 이겨” 교사에 똥기저귀 던진 엄마 선처 호소 랭크뉴스 2025.04.03
43403 "딸 같아서 그랬다" 강제추행 혐의 '오겜 깐부' 오영수, 항소심서도 실형 구형 랭크뉴스 2025.04.03
43402 '尹 선고 D-1' 헌재 앞 폭풍전야… 텅 빈 정문 앞, 문 닫는 상점들 랭크뉴스 2025.04.03
43401 맞붙은 장동혁 의원-오동운 공수처장 3분 설전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3
43400 15시간 앞둔 尹 탄핵심판 선고‥이 시각 헌법재판소 랭크뉴스 2025.04.03
43399 위헌·위법의 ‘중대성’이 파면 가른다 랭크뉴스 2025.04.03
43398 이재명 “계엄 때 1만명 학살 계획’…與 “가짜뉴스 법적 조치” 랭크뉴스 2025.04.03
43397 탄핵 선고 D-1···길 위에선 시민들, “윤석열 파면하라” 한목소리 랭크뉴스 2025.04.03
43396 찢긴 채 쓰레기통서 발견된 '1억2700만원' 수표…무슨 일인가 보니 랭크뉴스 2025.04.03
43395 민주 “대검이 심우정 국선 변호인 행세…법무부 감찰해야” 랭크뉴스 2025.04.03
43394 탄핵 선고 하루 전…이 시각 헌법재판소 랭크뉴스 2025.04.03
43393 “부동산 쏠림 해결 안하면 저성장 고착화” 금융당국 수장들의 경고 랭크뉴스 2025.04.03
43392 챗GPT 지브리 열풍…'짝퉁' 앱까지 신났다 랭크뉴스 2025.04.03
43391 ‘원피스’ 감독 “지브리를 더럽히다니, 챗GPT 용서하지 않겠다” 랭크뉴스 2025.04.03
43390 ‘신고가 행진’ 압구정·목동…"불붙는 집값 제동 위해 불가피"[집슐랭] 랭크뉴스 2025.04.03
43389 자녀 가방에 녹음기 넣어 아동학대 신고…2심 “교사 정직 정당” 랭크뉴스 2025.04.03
43388 탄핵 선고 앞 법조계 “너무 많은 분열…헌재가 국민 통합할 때” 랭크뉴스 2025.04.03
43387 트럼프 "中, 다른 대통령엔 관세 안냈다" 거짓…한국 車·쌀 관련 수치는 비교적 정확 랭크뉴스 2025.04.03
43386 최상목 미 국채 투자 논란에…기재부 “권익위에 이해충돌방지 위반 여부 확인하겠다” 랭크뉴스 2025.04.03
43385 "거제서 18%P차 지면 서울은? 상상도 싫다" 與 재보선 쇼크 랭크뉴스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