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美 복지부 출입구서 빨간불은 해고, 초록불은 업무 지속
“마치 ‘오징어 게임’ 같았다... 고문하는 셈”
“우리 일 쉽게 무시하니 가슴 아파”

지난 1일(현지시각) 미 워싱턴D.C 메리 E. 스위처 메모리얼 빌딩 앞에서 보건복지부 직원들이 길게 줄을 서있다. 입구에서 출입증을 갖다 댔을 때 초록불이 뜨면 업무를 지속하고, 빨간불이 뜨면 회사를 떠나야 한다./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대규모 구조조정 여파로 갑작스럽게 해고된 미국 보건복지부의 한 공무원이 자신이 처한 상황을 한국 드라마 ‘오징어 게임’의 한 장면에 빗대어 표현했다.

2일(현지시각) 미 워싱턴DC 지역 방송인 WTOP에 따르면, 전날 아침 보건복지부 청사 앞에는 출근과 동시에 해고 여부를 판별하는 절차가 진행됐다. 직원들이 길게 줄을 서서 출입증 배지를 출입구에 갖다 대고 통과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몇 시간 동안 이어졌다.

출입증을 스캔했을 때 초록불이 들어오면 근무를 이어가고, 빨간불이 들어오면 해고됐다는 뜻이라고 직원들은 전했다. WTOP는 만우절에 벌어진 이 상황이 “농담이 아니었다”며 “그들의 배지가 작동하지 않으면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인력 감축 작업에 따라 일자리를 잃었다는 뜻”이라고 전했다.

2시간 동안 줄을 서 기다린 후 출입증을 찍자 빨간불이 들어왔다는 한 직원은 인터뷰에서 “마치 ‘오징어 게임’ 같았다”고 말했다. ‘오징어 게임’에서 참가자들의 생사가 순식간에 갈리는 상황과 비슷했다는 의미다.

‘오징어 게임’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게임인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는 게임에 등장하는 빨간불과 초록불이 시청자들에게 각인되면서 미국에서 ‘레드 라이트, 그린 라이트’(Red light, Green light)로 불린다.

이 직원은 “상황이 매우 모욕적이었다”며, 빨간불이 뜬 뒤 짐을 챙기기 위해 건물 안으로 들어갈 때는 누군가가 동행해 줘야 했다고 말했다.

지난 1일(현지시각) 미 워싱턴D.C 메리 E. 스위처 메모리얼 빌딩 앞에서 보건복지부 직원들이 줄을 서있다. 입구에서 출입증을 갖다 댔을 때 초록불이 뜨면 업무를 지속하고, 빨간불이 뜨면 회사를 떠나야 한다./로이터연합뉴스

또 다른 보건복지부 공무원은 전날 오전 5시 무렵 출근했지만, 주차장에서 건물로 들어가려다 출입증이 작동하지 않으면서 해고 사실을 알게 됐다고 했다. 그는 “지금 정부는 공무원들에게 고문을 가하는 셈”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지역사회 정신건강 및 약물 이용 문제를 담당하던 부서에서 근무해 왔다. 한 직원은 “우리 업무는 많은 생명을 살렸다”며 “우리가 곧 보게 될 것은 약물 과다 복용으로 인한 사망이 증가하고 가장 소외된 지역사회가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직원은 “이 나라에 봉사할 수 있었던 건 영광이었지만, 이렇게 무심히 해고당하는 건 정말 가슴 아픈 일”이라고 했다.

미 언론에 따르면 이번 해고는 연방 정부 운영 효율화와 지출 절감을 위한 트럼프 행정부 지침에 따른 조치로, 보건복지부를 비롯해 식품의약국(FDA), 질병통제예방센터(CDC) 등 산하기관 전반에 걸쳐 시작됐다.

현재 보건복지부 직원 수는 약 8만2000명으로, 이 중 1만명이 이번에 해고되고, 추가로 1만명이 ‘자발적 퇴직 프로그램’ 등을 통해 부서를 떠날 예정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를 통해 연간 약 18억달러(약 2조6000억원)의 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공중보건과 식품 안전 등 주요 부서의 인력 감축으로 미국의 보건 위기 대응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479 車 관세 발표 하루 만에… 트럼프 “반도체 관세도 곧” 랭크뉴스 2025.04.04
48478 한미일, 中겨냥 "대만 주변 군사훈련 우려…불안정 행위 중단 촉구" 랭크뉴스 2025.04.04
48477 애순과 관식 같은 부모는 판타지... "부모는 희생해야 한다" 강박 버려라 랭크뉴스 2025.04.04
48476 [속보] 헌법재판관 8명 차례로 출근 중... 선고 직전 마지막 평의 랭크뉴스 2025.04.04
48475 트럼프 상호관세, 글로벌 금융시장 '강타'…美증시 최대 타격(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04
48474 [인터뷰] 조태열 "상호관세 협의가능…민감국가 발효전 해제 쉽지 않아"(종합) 랭크뉴스 2025.04.04
48473 “‘분열’ 마침표 찍어야…정치권 반성이 통합 출발선” 랭크뉴스 2025.04.04
48472 고위험 분만 느는데…“진료할 젊은 의사 없어” [취재후] 랭크뉴스 2025.04.04
48471 헌재가 부른 ‘유일한 증인’…조성현 발언 어떻게 판단할까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04
48470 미 주가 폭락, 5년 만에 최악 하루…트럼프 “호황 누릴 것” 랭크뉴스 2025.04.04
48469 불법 계엄 마침표... 민주주의와 법치 회복의 날 돼야 랭크뉴스 2025.04.04
48468 72년 혈맹서 '최악 침해국' 된 한국…美 FTA국 최고 세율 [view] 랭크뉴스 2025.04.04
48467 트럼프, 자동차 관세 발효되자마자 "반도체 관세 아주 곧 시작" 랭크뉴스 2025.04.04
48466 여야 희망사항을 예측처럼 주장했다…지라시만 남은 세 달 랭크뉴스 2025.04.04
48465 美, 한국 상호관세율 25% 확정… 트럼프 발표대로 행정명령 수정 랭크뉴스 2025.04.04
48464 선고 당일 긴장감 최고조…전국 경찰 ‘갑호비상’ 발령 랭크뉴스 2025.04.04
48463 헌재, 오전 11시 윤석열 탄핵심판 선고…9시30분 마지막 평의 랭크뉴스 2025.04.04
48462 "직원 6명 관뒀는데…" 헌재 앞 상인들 '좌표찍기'까지 당한다 랭크뉴스 2025.04.04
48461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 파면' 전국서 손글씨 '주문' 릴레이 랭크뉴스 2025.04.04
48460 상호 관세 폭탄에 미국 증시도 역대급 폭락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