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특별공무원’ 기한 5월 말~6월 초 만료 예정
트럼프 행정부·공화당에 ‘정치적 부담’ 요인도
백악관 대변인, SNS에 “쓰레기 보도” 일축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테슬라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가 지난 11일 워싱턴 백악관 남쪽 잔디밭에서 테슬라 차량에 앉아 기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에서 연방정부 구조조정을 주도하고 있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곧 그 역할을 그만두고 사업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측근들에게 말했다고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가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백악관은 이 보도에 대해 “쓰레기”라고 언급했다.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내각 각료를 포함한 측근들에게 이같이 전했으며, 두 사람 역시 머스크가 곧 자신의 사업에 복귀하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익명을 요구한 3명의 소식통이 전했다.

머스크는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정부효율부(DOGE)의 수장을 맡아 연방 기관 인력 감축 및 기관 폐쇄 등을 주도해왔다.

미 연방정부 공무원이면서도 윤리 및 이해충돌 규정에서 면제받는 ‘특별 공무원’ 자격을 지닌 머스크가 관련법에 따라 1년에 130일 넘게 정부에서 일할 수 없는 점이 이러한 결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 기간은 5월 말이나 6월 초에 만료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백악관에서 진행한 취재진과 문답에서 머스크가 130일 이상 정부에서 일할 가능성을 묻자 “어느 시점에 그는 돌아갈 것”이라며 “나는 그를 (정부에) 둘 수 있는 만큼 둘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머스크 역시 지난달 27일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5월 말까지 1조 달러(약 1천460조원)의 연방 정부 비용 절감을 완료할 계획”이라며 이후 정부에서의 역할을 그만둘 것임을 시사했다.

폴리티코는 또 “소식통 중 한 명에 따르면 지난달 24일 각료 회의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머스크가 곧 물러날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AP통신은 이같은 논의가 지난 1일 위스콘신에서 치러진 대법관 선거 이전에 이뤄졌다고 보도했다. 머스크는 이 선거에서 2100만달러(약 307억원) 이상을 정치자금으로 쏟아부으며 선거 운동에 나섰지만, 민주당이 지지하는 진보 성향 수전 크로퍼드 후보가 당선됐다. 머스크의 정치 활동은 그가 운영하는 기업에도 악영향을 끼쳤다. 테슬라는 지난 1~3월 매출이 13% 감소했다고 AP는 전했다.

백악관은 DOGE 폐쇄에 대한 명확한 일정을 공개하지 않았다. DOGE는 원래 2026년 7월 4일까지 운영될 예정이었지만, 예정보다 더 빨리 문을 닫을 수도 있다. AP는 DOGE 직원들이 비용 절감을 주도해야 하는 다른 연방 기관으로 옮겨가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간 머스크의 연방정부 구조조정 작업을 줄곧 옹호해왔다.

일론 머스트 테슬라 최고경영자가 지난 2월 20일 미국 메릴랜드주 내셔널 하버에서 열린 보수 정치 행동 회의(CPAC)에서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준 전기톱을 들어보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하지만, 머스크의 거침없고 행보에 공화당이나 행정부 내부에서 불만이 제기되는 동시에 지난해 대선 참패 후 분열된 민주당이 결속하는 계기로 작용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정치적 부담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폴리티코는 행정부 내부의 많은 이들이 머스크에 대해 예측이나 관리가 어려운 인물이라고 말하고 있다고 짚었다. 머스크가 각료들과 계획을 소통하는 데 문제가 있고, 자신의 엑스 계정을 통해 연방 기관을 개편하기 위한 검증이나 조정되지 않은 계획을 자주 공유하는 등 예상치 못하거나 공식적이지 않은 의견을 남기면서 당황스럽게 만든다는 것이다.

다만 AP통신은 행정부의 한 고위 관계자는 머스크가 비공식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고문 역할을 이어가고, 백악관 주변에도 가끔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사람은 머스크가 트럼프의 궤도에서 완전히 사라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자기 자신을 속이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폴리티코는 전했다.

이와 관련,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소셜미디어 엑스에 폴리티코 보도를 “쓰레기”(garbage)라고 언급했다. 이어 “머스크와 트럼프 대통령은 모두 머스크가 DOGE에서의 놀라운 업무를 마치면 특별공무원으로서 공직에서 물러나겠다고 ‘공개적으로’ 언급해왔다”고 적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482 헌재 일대 경찰 7천명 배치…캡사이신 분사기도 준비(종합) 랭크뉴스 2025.04.04
48481 인천국제공항 여객터미널서 작업하던 70대 추락사 랭크뉴스 2025.04.04
48480 '나무 심는 날'에 산불 최다...식목일 기념 행사 줄줄이 취소 랭크뉴스 2025.04.04
48479 車 관세 발표 하루 만에… 트럼프 “반도체 관세도 곧” 랭크뉴스 2025.04.04
48478 한미일, 中겨냥 "대만 주변 군사훈련 우려…불안정 행위 중단 촉구" 랭크뉴스 2025.04.04
48477 애순과 관식 같은 부모는 판타지... "부모는 희생해야 한다" 강박 버려라 랭크뉴스 2025.04.04
48476 [속보] 헌법재판관 8명 차례로 출근 중... 선고 직전 마지막 평의 랭크뉴스 2025.04.04
48475 트럼프 상호관세, 글로벌 금융시장 '강타'…美증시 최대 타격(종합2보) 랭크뉴스 2025.04.04
48474 [인터뷰] 조태열 "상호관세 협의가능…민감국가 발효전 해제 쉽지 않아"(종합) 랭크뉴스 2025.04.04
48473 “‘분열’ 마침표 찍어야…정치권 반성이 통합 출발선” 랭크뉴스 2025.04.04
48472 고위험 분만 느는데…“진료할 젊은 의사 없어” [취재후] 랭크뉴스 2025.04.04
48471 헌재가 부른 ‘유일한 증인’…조성현 발언 어떻게 판단할까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04
48470 미 주가 폭락, 5년 만에 최악 하루…트럼프 “호황 누릴 것” 랭크뉴스 2025.04.04
48469 불법 계엄 마침표... 민주주의와 법치 회복의 날 돼야 랭크뉴스 2025.04.04
48468 72년 혈맹서 '최악 침해국' 된 한국…美 FTA국 최고 세율 [view] 랭크뉴스 2025.04.04
48467 트럼프, 자동차 관세 발효되자마자 "반도체 관세 아주 곧 시작" 랭크뉴스 2025.04.04
48466 여야 희망사항을 예측처럼 주장했다…지라시만 남은 세 달 랭크뉴스 2025.04.04
48465 美, 한국 상호관세율 25% 확정… 트럼프 발표대로 행정명령 수정 랭크뉴스 2025.04.04
48464 선고 당일 긴장감 최고조…전국 경찰 ‘갑호비상’ 발령 랭크뉴스 2025.04.04
48463 헌재, 오전 11시 윤석열 탄핵심판 선고…9시30분 마지막 평의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