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빗썸, '코인 상장 청탁 구속' 이상준 전 대표에게 총 47억 줬다
두나무 송치형, 배당 포함 1천100억원 넘게 받아


빗썸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민선희 기자 =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지난해 실적 호조에 수십억원의 상여금을 지급하는 등 '돈 잔치'를 벌였다.

빗썸은 특정 코인을 상장시켜주겠다며 금품을 받은 혐의로 구속된 이상준 전 빗썸홀딩스 대표에게도 20억원의 상여금을 포함해 약 47억원을 지급했다.

3일 빗썸 사업보고서 공시에 따르면 이 전 대표는 지난해 빗썸에서 상여금 20억원, 퇴직소득 22억3천700만원, 급여 4억6천600만원 등 47억400만원을 받았다.

이 전 대표는 지난해 12월 26일 열린 1심에서 배임수재 등 혐의로 징역 2년과 추징금 약 5천만원을 선고받았다.

이 전 대표는 2021년 A코인을 거래소 빗썸에 상장해달라는 청탁과 함께 현금 30억원, 명품 시계, 고급 레스토랑 멤버십 카드 등을 받은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1심 재판부는 현금 30억원 수수는 무죄로 판단했으나, 금품 수수는 유죄로 인정했다.

이 전 대표는 2018년 1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빗썸의 최대 주주인 빗썸홀딩스의 대표를 지냈다. 빗썸에서는 2018년 1월부터 2020년 3월까지 사내이사를 맡았다가 사내이사 임기 만료 후에는 사장으로 자문업무를 수행했고, 구속 당일 퇴사 처리됐다.

빗썸은 이 전 대표가 거래소 성장을 이끈 공로를 인정해 상여금을 지급했다는 입장이다.

빗썸 관계자는 "거래소의 제도권 진입, 전통 금융권을 벤치마킹한 서비스 경쟁력 강화, 고객 자산 보호 역량 제고 등 기틀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이를 기반으로 한 재무성과와 경영 목표 달성도, 성장전략 제시 등 기여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빗썸은 실소유주로 알려진 이정훈 전 빗썸홀딩스·빗썸 이사회 의장에게도 상여금 10억원을 줬다.

빗썸에 따르면 이 전 의장은 현재 빗썸홀딩스 사내이사이자, 빗썸에서 서비스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빗썸 관계자는 "작년부터 서비스연구소 소장을 맡아 신규서비스 발굴, 기존 서비스 개선안을 제시하고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업비트
[연합뉴스 자료사진]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는 배당과 상여 등으로 거액을 지급했다.

두나무 최대주주인 송치형 의장은 지난해 임금과 배당으로 1천100억원 넘게 받았다.

송 의장은 보수로 62억244만원(급여 29억644만원·상여 32억9천600만원), 배당으로 약 1천42억원을 받았다.

두나무는 지난해 배당을 주당 1만1천709원(중간배당 2천932원·결산 배당 8천777원)으로 전년 2천937원에서 4배 가까이로 늘렸다.

송 의장은 두나무 주식 889만6천400주(25.53%)를 보유하고 있다.

두나무 2대주주(지분 13.11%)인 김형년 부회장은 약 577억원을 받았다.

이는 보수 42억1천480만원(급여 21억5천880만원·상여 20억5천600만원)과 배당 약 535억원을 합한 금액이다.

이석우 대표는 21억6천346만원(급여 8억2천530만원·상여 약 13억1천801만원·기타 근로소득 2천16만원)을 받았다.

업비트와 빗썸의 직원 임금도 큰 폭으로 늘었다.

두나무의 지난해 직원 1인 평균 급여액은 1억9천907만원으로 2억원에 육박했다. 전년(1억1천633만원)보다 71.1% 뛰었다.

빗썸의 직원 평균 급여는 2023년 9천900만원에서 지난해 1억1천600만원으로 늘었다.

이는 주요 은행 직원 평균 급여(약 1억1천만원)와 비슷해 보이지만, 평균 근속 연수가 은행은 15년이 안팎인 반면 가상자산 거래소는 2∼3년에 불과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질적으로는 훨씬 높은 것으로 보인다.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지난해 투자 심리 회복으로 실적이 크게 개선됐다.

두나무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1조1천863억원으로 전년(6천409억원)보다 85.1% 급증했다.

지난해 순이익은 9천838억원으로, 전년(8천50억원)보다 22.2% 늘었다.

빗썸은 지난해 1천307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면서 전년 148억원 손실에서 흑자로 전환했다.

당기순이익 역시 1천618억원을 기록해 전년(243억원)의 6.7배 수준으로 급증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818 조국 "개소리 더는 안 듣게 돼…尹, 전두환처럼 심판 받아야" new 랭크뉴스 2025.04.04
43817 주택시장 조기 대선까지 다시 숨고르기…“시장 관망세 이어질 것” new 랭크뉴스 2025.04.04
43816 '죽비처럼' 파면한 헌재 결정문‥22분 내내 '尹 질타' [현장영상] new 랭크뉴스 2025.04.04
43815 [속보] 헌재 주변 지하철 안국역 폐쇄 종료‥우회 버스도 정상운영 new 랭크뉴스 2025.04.04
43814 尹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죄송···국민 위해 늘 기도할 것" new 랭크뉴스 2025.04.04
43813 “이제 여기로 몰려오나”…‘파면’ 윤석열 사저 아크로비스타 주민들 ‘한숨’ 랭크뉴스 2025.04.04
43812 '경고성 계엄' 주장 자충수…"질서유지 목적 아닌 것 알수있어"(종합) 랭크뉴스 2025.04.04
43811 [속보] 헌재 인근 안국역, 24시간 만에 지하철 운행 재개… 車도 다시 통행 랭크뉴스 2025.04.04
43810 [속보] 경찰, 18시부터 '갑호비상' 해제‥지하철 안국역 정상운행 랭크뉴스 2025.04.04
43809 [단독] 김기현 "우린 폐족", 나경원 "尹 지키러 나간 것 아냐"... 친윤 중진들 태세전환 랭크뉴스 2025.04.04
43808 1000만 투자자 살린다더니… 자본시장에 상처 내고 떠나게 된 尹 랭크뉴스 2025.04.04
43807 홍장원 “조선 때도 나라 지킨 건 의병들…이런 나라, 자부심 가질 만”[인터뷰] 랭크뉴스 2025.04.04
43806 “아주 지긋지긋했는데…좀 나아질까” 최악 자영업계 기대감 랭크뉴스 2025.04.04
43805 파면 尹, 이번 주말 관저 나갈 듯…월1500만원 연금 못받아 랭크뉴스 2025.04.04
43804 헌재, 국회·야당도 꾸짖었다…"8인 전원일치 타협 결과인 듯" 랭크뉴스 2025.04.04
43803 尹 파면에 갈라진 보수단체…“조기대선 준비” vs “불복종 투쟁” 랭크뉴스 2025.04.04
43802 [속보]선관위 “21대 대통령선거 예비후보 등록 시작” 랭크뉴스 2025.04.04
43801 윤석열 파면 뒤 불법 된 ‘이재명 비방’ 현수막…국힘, 부랴부랴 ‘철거’ 랭크뉴스 2025.04.04
43800 김형두 재판관 등 두드려준 문형배 대행…111일 마침표 찍은 순간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4
43799 문형배, 퇴장하며 김형두 등 두드렸다…심판정선 탄성·박수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