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1일 오전 인천시 미추홀구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강의실이 온라인 수업 방침에 따라 비어있는 모습. 연합뉴스

전국 40개 의대 학생들이 사실상 전원 등록하며 대규모 제적 사태는 피했지만, 수업 참여를 두고 눈치를 보는 등 수업 거부를 이어가고 있다. 정부는 수업 미참여를 ‘꼼수 복귀’로 보고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확정을 미루고 있어 정부와 의대생들 간 줄다리기는 이달 내내 이어질 전망이다.

2일 ‘한겨레’ 취재를 종합하면, 전국 의대 중 유일하게 미등록 방침을 고수하던 인제대 의대생 370명이 전날 등록을 결정해 40개 의대 학생 전원이 등록을 마쳤다. 각 의대는 지난달 31일 개강하거나, 이미 진행되던 수업에 복학생이 합류하는 방식으로 수업을 하고 있다. 또한 학생 보호를 위해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성균관대 5%, 아주대 10%(본과생 기준) 등 각 대학의 수업 출석률은 대부분 10% 수준으로 추정된다. 의대생 단체인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의대협)는 이날 15개 의대 학생 6571명을 조사한 결과, 수업 참여 의사를 밝힌 비율이 3.87%라고 했다. 반면 교육부 관계자는 “수업 출석률은 의대협 발표보다 더 높다”며 “현재 수업 참여 학생 수가 우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상당수 학생이 등록은 마쳤지만, 수강 신청을 하지 않거나 수업에 불참하는 방식으로 집단행동을 이어가고 있다.

더욱이 의대생 사이에서는 먼저 복귀했다가 표적이 될 수 있다는 ‘눈치 싸움’도 있다. 1학기 시작부터 수업에 참여 중인 수도권 의대 예과생 ㄱ씨는 “전원 등록 이후 수업에 새로 들어온 학생은 없다”며 “의대협이 투쟁 방침을 고수하고 있어서 튀는 행동을 하기 어려운 분위기”라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선고일이 오는 4일로 잡히자 “정권이 바뀌면 상황이 바뀔 수도 있다”며 수업 거부를 종용하는 목소리도 있다.

의대생의 수업 거부가 이어지면 집단 유급 사태를 낳을 가능성도 있다. 대다수 의대 학칙은 수업 일수 4분의 1 이상을 결석할 경우 낙제점(F학점)을 주고, 한 과목이라도 낙제를 받으면 유급 처리하도록 한다. 또한 2학기 연속 또는 3회 이상 유급된 학생은 제적 처리된다. 건양대, 순천향대처럼 1개월 이상 수업에 결석하면 바로 제적하는 학교도 있다.

정부가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수준인 3058명으로 되돌리는 전제 조건으로 내건 ‘전원 복귀’ 기준을 둘러싼 혼란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정상적인 수업이 가능한 수준”이라지만, 명확한 비율은 없어 정부와 대학, 학생이 서로 다른 기준을 내세울 가능성도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예과생은 교양 수업도 듣기 때문에 수업 출석률을 당장 파악하기는 어려워 의대 학장들과 출석률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를 만들고 있다”며 “지표가 만들어지면 이를 토대로 (내년도) 모집인원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각 대학이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에 모집인원을 제출해야 하는 이달 30일 직전에야 모집인원이 결정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341 똥 기저귀 교사 얼굴에 '퍽'…"기회 달라" 눈물 호소한 부모 결국 랭크뉴스 2025.04.03
48340 탄핵심판 안 나온다는 윤석열…파면돼도 관저서 며칠 더 버티기? 랭크뉴스 2025.04.03
48339 하회마을 내 초가집 2채 지붕 불…"굴뚝으로 불씨 튄듯"(종합) 랭크뉴스 2025.04.03
48338 與 "李, '계엄학살계획' 허위사실유포"…野 "증거있는데 거짓말"(종합) 랭크뉴스 2025.04.03
48337 10개 교육청, 학교에 ‘윤석열 선고’ 생중계 시청 안내…“민주시민교육 과정” 랭크뉴스 2025.04.03
48336 "아아 한잔에 5000원? 여기선 1000원에 마셔요"…가성비 내세운 편의점들 랭크뉴스 2025.04.03
48335 안동 하회마을 화재 발생…“소스라치게 놀란 소방 당국” 랭크뉴스 2025.04.03
48334 위헌·위법의 ‘중대성’이 파면 여부 가른다 랭크뉴스 2025.04.03
48333 “중국 시민과 연애·성적 관계 금지”···미국 ‘냉전시대 회귀’ 랭크뉴스 2025.04.03
48332 헌재 안 나가는 윤 대통령‥'승복' 여부는 여전히 침묵 랭크뉴스 2025.04.03
48331 파면이냐, 직무복귀냐…미리보는 선고 절차 랭크뉴스 2025.04.03
48330 국민연금 가입자, 저출생으로 6년 만에 2200만명선 붕괴 랭크뉴스 2025.04.03
48329 NH농협은행, 205억 금융 사고… “상담사가 과다대출” 랭크뉴스 2025.04.03
48328 "정치권 반성이 통합 출발선…조급증 내려 놓고 역사의 힘 믿어야" 랭크뉴스 2025.04.03
48327 포고령 1호부터 단전단수 문건까지‥파면의 열쇠될까 랭크뉴스 2025.04.03
48326 "한국은 끝났다"... '구독자 2300만' 독일 유튜버의 섬뜩한 경고, 이유는? 랭크뉴스 2025.04.03
48325 검찰, ‘깐부 할아버지’ 오영수에 2심서도 징역 1년 구형 랭크뉴스 2025.04.03
48324 ‘탄핵 반대 일타 강사’ 전한길, ‘폭싹 속았수다’ 통편집 당한 이유는 랭크뉴스 2025.04.03
48323 "尹선고 결과 봐야지" 직장인 연차 쓰고, 일부 학교선 생중계 랭크뉴스 2025.04.03
48322 [단독] '노상원 수첩' 전문 공개‥이래도 경고성 계엄? 랭크뉴스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