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무신사·지그재그 최대 매출
W컨셉·에이블리도 흑자 이어가
소비패턴 변화·맞춤형 마케팅 주효
1일 서울 중구 명동의 한 옷 가게 모습. 연합뉴스

패션업계를 덮친 불황에도 패션 플랫폼 업계는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맞춤형 스타일 제안 등 소비자 편의성을 높여 젊은 소비자들의 의류 구매 채널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무신사는 지난해 연결 기준 연간 매출이 1조2427억원으로 전년 대비 25.1% 증가했다. 매출 기준으로 사상 첫 1조원대 돌파 기록이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028억원, 당기순이익은 698억원으로 모두 흑자전환했다.

관계사를 제외한 별도 기준 매출액도 2023년보다 24.6% 늘어난 1조1005억원을 달성했다. 무신사, 29CM, 글로벌 등 플랫폼 비즈니스에서 국내 디자이너 입점 브랜드의 견고한 성장으로 매출 확대를 이뤄낸 것이 주효했다는 설명이다. 또 뷰티, 스포츠, 홈 등 카테고리 확장과 오프라인(무신사 스탠다드), 글로벌 등 무신사에서 전략적으로 추진한 신사업의 고른 성장세가 뒷받침됐다.

지그재그를 운영하는 카카오스타일은 지난해 최대 거래액과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지그재그는 지난해 영업이익이 22억원으로 5년 만에 흑자 전환했다. 당기순이익은 31억원,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은 약 80억원을 기록했다. 연 매출은 전년보다 21.5% 증가한 2004억원으로 2022년 첫 1000억원을 달성한 이후 처음으로 2000억원을 넘어섰다. 카카오스타일은 지난해 신규 구매자가 40% 증가하는 등 장기 성장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신세계그룹이 운영하는 W컨셉은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이 16억5000만원으로 4년째 흑자를 냈다. 순매출액은 1169억원으로 전년 대비 20% 감소했다. W컨셉 관계자는 “수익성 중심으로 재무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전 카테고리에서 입점 브랜드를 늘리는 등 위·수탁 사업을 강화해 거래액, 영업이익 신장에 집중한 결과”라고 말했다. 핵심 사업 영역인 패션에서는 경쟁력 높은 디자이너 브랜드를 유치하고 키즈 사업에도 신규 진출해 포트폴리오를 강화했다. 뷰티 카테고리에서는 신진 브랜드의 성장세가 두드러지면서 거래액과 순매출액이 고루 증가했다.

에이블리와 사구일공(4910) 등을 운영하는 에이블코퍼레이션도 2023년 창사 5년 만에 첫 연간 영업이익 흑자를 냈다. 올해도 흑자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에이블리코퍼레이션은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30%가량 성장하며 3000억원을 훌쩍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패션 플랫폼이 승승장구하는 요인으로는 구매 편의성이 꼽힌다. 한 플랫폼에서 한 번의 검색으로 여러 브랜드 상품을 두루 살펴보고 구입할 수 있다. 플랫폼 주 사용자인 젊은 층의 소비 패턴 변화도 성장을 이끌었다. 시장조사기관 오픈서베이가 발표한 ‘MZ세대 패션 앱 트렌드 리포트 2024’에 따르면 패션 상품 온라인 구매 비중은 66.9%에 달한다. 여기에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에 기반한 개인화 추천과 고객 맞춤형 마케팅, 가격 경쟁력도 MZ세대 소비자를 끌어들였고 구매할수록 혜택이 커지는 멤버십은 ‘록인 효과’를 가져왔다.

업계 관계자는 “패션 플랫폼은 단순히 옷을 판매하는 기능을 넘어 신규 브랜드를 발굴·육성하고 트렌드를 이끌어가는 역할을 하고 있다”며 “뷰티, 리빙, 명품 등 다양한 카테고리를 아우르는 확장성도 장점”이라고 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461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 파면' 전국서 손글씨 '주문' 릴레이 랭크뉴스 2025.04.04
48460 상호 관세 폭탄에 미국 증시도 역대급 폭락 랭크뉴스 2025.04.04
48459 [금융포커스] 은행원 옥순·광수 나온다… 국민·하나·우리 뭉쳐 ‘나는 솔로’ 기획 랭크뉴스 2025.04.04
48458 “호수 위 달그림자” “계엄령은 계몽령” 헌재 달군 말말말 랭크뉴스 2025.04.04
48457 뉴욕증시, 美상호관세 충격 ‘패닉 셀’…나스닥 6% 폭락 랭크뉴스 2025.04.04
48456 저가 커피 브랜드도 인상했는데… 가격 역주행하는 이 커피는? 랭크뉴스 2025.04.04
48455 ‘돈벌이’ 나선 정치 유튜버들…3달간 후원금 살펴보니 랭크뉴스 2025.04.04
48454 [르포] 트라우마가 된 ‘그날’… “가만 있어도 땅 흔들리는 느낌” 랭크뉴스 2025.04.04
48453 [尹탄핵심판 LIVE] '운명의 날'…오늘 오전 11시 윤석열 탄핵 선고 랭크뉴스 2025.04.04
48452 김빛내리, 세계 최초로 mRNA 백신 핵심물질 찾았다 [팩플] 랭크뉴스 2025.04.04
48451 "美서 아이폰 333만원 될 수도"…트럼프 관세폭탄 최악 전망 랭크뉴스 2025.04.04
48450 상호관세, 팬데믹급 충격이었다…뉴욕증시 시총 3.1조 달러 증발[데일리국제금융시장] 랭크뉴스 2025.04.04
48449 정성호 "8대0 인용, 진보·보수 아닌 법치주의 수호 문제" [스팟인터뷰] 랭크뉴스 2025.04.04
48448 최악은 피했지만 관세 25% 떠안은 자동차업계...1차 부품사 700곳은 '생사기로' 랭크뉴스 2025.04.04
48447 파면이냐 복귀냐…오늘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랭크뉴스 2025.04.04
48446 뉴욕증시, 美상호관세 충격에 '패닉'…5년만에 최악의 날(종합) 랭크뉴스 2025.04.04
48445 [속보] 트럼프 "반도체·의약품 관세 곧 시작…주식 하락 예상했다" 랭크뉴스 2025.04.04
48444 美, 수입차에 25% 관세… 車업계 “개소세 감면 연장해야” 랭크뉴스 2025.04.04
48443 나경원 "4대4 기각, 野 의회독재 보면 尹파면할 정도 아니다" [스팟인터뷰] 랭크뉴스 2025.04.04
48442 [속보]탄핵찬반집회…3호선 안국역 폐쇄,무정차 통과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