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상법 개정 거부권 후 사의 표명
“F4 말렸다…시장 상황도 챙겨야”
尹 언급하며 거취 결정 미뤄
6월 5일까지 임기 채울 가능성도

윤석열 대통령(왼쪽)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뉴스1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상법 개정 무산 후 김병환 금융위원장에게 사의를 표명했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다만 김 위원장을 비롯해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등이 말려 당장 자리에서 물러나진 않는다고 했다. 이 원장의 거취는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선고 이후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 원장은 2일 오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거취를 묻는 사회자의 질문에 “금융위원장에게 연락해 제 입장을 말씀드렸다”고 했다. 이 원장은 상법 개정안에 대한 거부권 행사를 ‘직을 걸고’ 반대한다는 입장을 거듭 밝혀왔는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가 전날 거부권을 행사하자 직제상 상관인 김 위원장에 사의를 표명을 했다고 밝힌 것이다.

이 원장은 “그런데 말씀을 나누셨는지 최상목 경제부총리와 이창용 한은 총재께서 연락을 해 ‘시장 상황이 어려운데, 경거망동하면 안 된다’고 말리셨다”고 했다. 이어 “저도 공직자고 뱉어 놓은 게 있다고 했더니, 오늘 밤 미국 상호관세 발표가 있어 내일 아침에 F4회의(거시 경제·금융 현안 간담회)를 하면서 보자고 하셨다. 일단은 그런 상황이다”라고 했다. 함께 호흡을 맞추고 있는 경제·금융 당국 수장들의 만류에 일단 사의를 거두고, 업무를 계속 수행하기로 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그는 “내일 F4(회의)는 제가 안 갈 수가 없는 상황이고, 상호관세 이슈뿐만 아니라 역외 환율 등 시장 상황을 봐야 한다”고 했다. 또 “챙기고 있는 이슈 중에선 홈플러스 유통 현안이 있는데, 검사·조사권을 행사해야 하고 행정적 단계에서 조정을 할 수 있는 것을 최대한 조정해야 되는 문제도 있다”며 해결해야 할 현안이 많다고 강조했다.

지난 2월 2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에 앞서 (왼쪽부터) 이복현 금감원장,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이 원장은 그러면서 오는 4일 탄핵 심판 선고 후 “대통령이 오시는지 안 오시는지, 무시할 수 없다”며 “임명권자가 대통령인 이상, 어떤 입장을 표명을 하더라도 할 수만 있으면 대통령께 하는 게 가장 현명하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석열 사단’의 막내 검사로 알려진 이 원장은 12·3 비상계엄 후 대통령과 관련한 언급을 삼갔으나, 이번 인터뷰에선 ‘대통령’이란 단어만 총 8번 썼다. 이 원장은 “주주 가치 보호나 자본시장 선진화는 대통령께서 직접 추진하신 중요 정책이고, 대통령이 계셨으면 (상법 개정안에 대한)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았으리라고 확신한다”고도 했다.

일단 거취와 관련한 최종 결정을 탄핵 선고 이후로 미룬 것인데, 금융권 안팎에선 시장 불확실성, 산적한 현안 등을 이유로 이 원장이 오는 6월까지 남은 임기 2개월을 그대로 채울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 원장의 오늘 발언으로만 봐선 사의 여부를 확실히 가늠하긴 어려워 보인다”며 “F4회의에서 사의 표명과 관련해 추가 상의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쳤고, 탄핵 선고 이후 불안정한 정치 환경으로 시장 변동성은 더 커질 수 있어 임기를 그냥 채울 수도 있다”고 했다.

사의가 수용되지 않더라도 이 원장의 임기는 오는 6월 5일까지다. 이 원장은 인터뷰에서 정계 진출 가능성을 비롯한 다음 거취와 관련한 질문엔 “22대 (총선) 때 출마를 권유하신 분들이 솔직히 있었다. 가족과 상의했을 때 안 하는 게 좋겠다고 결론이 났다”며 “25년 넘게 공직 생활을 했으니 민간에서 시야를 넓히는 일을 하면 좋겠다”고 답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385 의협 “박단, 복학생 비난 부적절”…또다시 내부갈등 랭크뉴스 2025.04.04
48384 민간 빚 절반인 1900조 ‘부동산 쏠림’…11년새 2.3배 늘었다 랭크뉴스 2025.04.04
48383 나도 마음의 상처 컸단다… 아프다고, 힘들다고 말해도 괜찮아! 랭크뉴스 2025.04.04
48382 불복 선동하는 유튜버… “인용되든 기각되든 국민저항권 발동” 랭크뉴스 2025.04.04
48381 미국, 한국 배치 요격시스템 '패트리엇' 일부 중동 보낸다 랭크뉴스 2025.04.04
48380 트럼프 "미국 해방의 날"‥한국 26% 등 상호관세 폭탄 랭크뉴스 2025.04.04
48379 [속보] '尹선고 D-DAY' 경찰, 전국에 '갑호비상' 발령 랭크뉴스 2025.04.04
48378 ‘상호관세 발표’ 美, 2월 수입액 사상 최대… 적자는 감소 랭크뉴스 2025.04.04
48377 "저 지금 잘린 거예요?"…美 공무원들 출근길서 현실판 '오징어게임' 랭크뉴스 2025.04.04
48376 '탄핵 반대' 연사 전한길·윤상현 나섰지만‥민심 못 이긴 '윤심' 랭크뉴스 2025.04.04
48375 뉴욕증시, 관세 패닉·위험회피 고조·무차별 투매…폭락 출발 랭크뉴스 2025.04.04
48374 뉴욕증시, 美 상호관세 부과로 급락 출발… 나스닥 개장 초 4% 하락 랭크뉴스 2025.04.04
48373 전국 경찰 '갑호비상' 발령…서울에 기동대 1만4천명 배치 랭크뉴스 2025.04.04
48372 4·2 재·보궐, 야당 압승‥국민의힘은 참패, 탄핵 찬성 민심 반영? 랭크뉴스 2025.04.04
48371 나토 외교장관회의 "인태 협력 심화"…조태열 장관 참석 랭크뉴스 2025.04.04
48370 "유명 체인점 군만두서 '씹던 껌' 나왔다"…이물질 논란에 대만 '발칵' 랭크뉴스 2025.04.04
48369 이미 초안 나온 결정문‥새벽까지 검토 계속 랭크뉴스 2025.04.03
48368 "내일 선고까지 뜬눈으로"…도심 곳곳 탄핵찬반 밤샘집회(종합) 랭크뉴스 2025.04.03
48367 약육강식 ‘新보호무역 시대’ 열려… 한·미 FTA도 헌신짝 됐다 랭크뉴스 2025.04.03
48366 새벽 호출 받고, TF 꾸리고…‘관세 폭탄’에 기업들 초비상 랭크뉴스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