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국 40개 의대 중 39개교에서 학생들이 등록을 마쳤으나, 개강 당일에도 실제 수업을 듣는 학생은 극소수인 것으로 파악됐다. 사진은 지난달 24일 서울시내 한 의과대학 강의실이 텅 비어있는 모습이다. 정효진 기자


전국 40개 의과대학 중 인제대를 제외한 39개교에서 학생들이 학업에 복귀했으나, 상당수 의대에서 학생들이 수업 불참이나 수강신청 거부 등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제적 카드를 꺼내 들어 학생들의 등록까지는 성공했지만, 현재 분위기라면 당분간 의대 수업 정상화가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교육부가 1일 공개한 ‘대학별 복귀 현황’을 보면 지난달 31일 기준 의대생 복귀율은 96.9%다. 인제대(24.2%), 연세대 미래캠퍼스(91.9%) 등 5개 학교를 제외한 35개 의대 학생들은 전원 올해 1학기 등록을 완료했다.

이중 학생들이 복귀한 의대에서는 전날부터 수업을 재개했다. 하지만 상당수 대학이 온라인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고, 현장 강의의 경우에도 참석률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확인됐다.

비수도권 한 의대 교수는 “3월 초부터 수업을 시작해서 1~2명 앉은 상태에서도 수업을 해왔는데, 나중에 합류하는 학생들이 진도를 따라올 수 있도록 이번 주까지는 온라인 강의를 하는 것으로 전환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음 주부터는 본격적으로 대면 수업을 해야 하는데, 이미 가르칠 내용이 한 달 이상 밀려있어서 여름 방학 기간까지 내어서 수업을 해도 정상적으로 다 가르칠 수 있을까 걱정된다”고 했다. 이날 가천대, 인하대 등 의대 등에서는 수업을 듣는 학생이 거의 없이 강의실이 한산했다.

수도권 한 의대의 A 교수는 “전체적으로 수업 거부 분위기가 강경해보인다”고 했다. 그는 “복귀를 해서 수업을 들어야지만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해주겠다고 전제조건을 내건 것이 의대생들에게는 협상력 있는 안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수업 등록이 이뤄졌지만 수강신청은 완료되지 않은 학교들도 있다. 인하대에선 25학번 신입생들이 등록은 했지만 수강신청을 하지 않았다. 인하대 관계자는 “의대생 전원이 수업 등록은 했지만 신입생들이 등록금만 내고 수강신청을 거의 하지 않았다”며 “지난달 4일 개강해 수업은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동국대 의대 관계자도 “이제는 개별적으로 학생들과 접촉해 수강신청을 하고 수업을 들으라고 설득 중”이라고 했다.

등록 후 수업거부 움직임이 조금씩 드러나는 점도 대학 입장에선 부담이다. 건양대, 연세대, 연세대 미래캠퍼스(원주), 울산대 등에선 등록 후 수업거부 움직임이 일고 있다. 건양대, 연세대와 울산대 의대에선 등록 후 휴학계 제출이 있었지만 대학은 모두 휴학계를 반려했다. 의대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는 성명을 내고 “여러분이 복학만 한 채 수업에는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있다”며 “등록 후 수업에 참여하지 않으면 학칙에 따라 유급이나 제적이 불가피하다”고 했다.

교육부는 “여러 이해관계자들이 수긍할 정도로 학생들이 수업 참여를 할 경우”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조절하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이대로면 교육당국과 의대생들이 평행선을 달리며 의·정갈등이 계속될 가능성도 크다. 특히 의대 수업의 특성인 ‘블록제’는 복귀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다. 일반대학에서는 여러 전공과목을 나눠서 듣고 중간·기말 시험을 쳐서 성적을 내지만, 의대에서는 해부학 등 한 과목을 집중적으로 배워서 시험을 치고 다음 과목 수업으로 넘어가는 ‘블록제’ 방식으로 여러 과목을 가르친다. 학생들이 1~2주 정도 수업 거부 단체행동을 계속한다고 하면, 단체유급을 당할 수밖에 없다.

학생들이 단체유급이라는 우회로를 투쟁방식으로 택할 수도 있다. 많은 의대가 소수의 학생들이 참여해 진행되는 현장 강의에 대해서는 전부 녹화를 하고 있다. 학생들의 수업 거부가 길어질 경우에 대비해서다. A 교수는 “이렇게 되면 학사일정을 또 미룰 수밖에 없지 않느냐”며 “어쩌면 더 답이 없는 상황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3882 찬탄·반탄 희비 엇갈렸지만… 우려했던 큰 사고는 없었다 랭크뉴스 2025.04.04
43881 尹보다 곽종근·홍장원 믿은 이유…“우연치곤 진술 디테일이”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4
43880 “이제야 봄” 이승환·이동욱 ‘환영’…김흥국 등은 “국민 무시”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04
43879 [尹파면] EU "韓헌법 존중…전략적 파트너십 재확인" 랭크뉴스 2025.04.04
43878 [사설] 헌재 결정 승복으로… ‘통합의 길’로 나아갈 때 랭크뉴스 2025.04.04
43877 "재출마하면 된다"... 尹 파면에 극우 커뮤니티 무리한 주장 랭크뉴스 2025.04.04
43876 [속보] EU, 尹파면에 "韓헌법 존중…전략적 파트너십 재확인" 랭크뉴스 2025.04.04
43875 “아이유 ‘탄핵 집회 선결제’는 혜안” 여연갤 성명문…팬덤 사칭 논란도 랭크뉴스 2025.04.04
43874 [단독] “대선 꼭 승리”…윤석열 파면 직후 국힘 지도부 관저서 만나 랭크뉴스 2025.04.04
43873 “의원 끌어내라” 지시와 정치인 체포 관여 사실로 판단 랭크뉴스 2025.04.04
43872 “국민 기본권 광범위하게 침해” 5가지 탄핵사유 모두 인정 랭크뉴스 2025.04.04
43871 ‘이재명 테마주’ 타고 뛴 동신건설… 오너가는 지분 매도로 차익 랭크뉴스 2025.04.04
43870 '헌법 유린' 만장일치로 심판‥'봉황기' 내려졌다 랭크뉴스 2025.04.04
43869 8년 전과 달랐다…선고일 사상자 '0명' [尹대통령 파면] 랭크뉴스 2025.04.04
43868 헌재 "일방의 책임 아냐, 정치의 문제"…국회·야당도 꾸짖었다 [尹대통령 파면] 랭크뉴스 2025.04.04
43867 경쟁률 4800:1, 방청객들이 꼽은 문형배의 한 마디는?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04
43866 탄핵의 날, 정치와 일상이 나란히 놓인 광화문에서 (인턴기자가 현장에서 본 풍경) 랭크뉴스 2025.04.04
43865 "준비 잘해 대선 꼭 승리해야"…탄핵 뒤 與지도부에 당부전한 尹 랭크뉴스 2025.04.04
43864 尹과 '끝장 본' 해병대들, 관저 앞서 '승리의 군가' 랭크뉴스 2025.04.04
43863 막 오른 장미대선…‘어대명’ 굳히기냐 막판 뒤집기냐[尹대통령 파면]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