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뉴스데스크]
◀ 앵커 ▶

이제 금요일이면 12.3 비상계엄 이후 122일 만에, 윤석열 대통령 파면 여부가 결정됩니다.

그동안 탄핵안 표결, 체포영장 집행, 그리고 탄핵심판까지.

윤 대통령에게 비상계엄의 책임을 묻는 과정은 무엇 하나 순탄치 않았는데요.

김상훈 기자가 되짚었습니다.

◀ 리포트 ▶

[윤석열 대통령(작년 12월 3일)]
"비상계엄을 선포합니다"

무장 병력을 태운 군 헬기가 국회 앞마당을 차지했습니다.

계엄군은 창문을 깨고 국회 본청으로 침투했습니다.

또 다른 헌법기관인 중앙선관위에도 계엄군이 출동했습니다.

작전은 동시다발로 진행됐습니다.

[우원식/국회의장 (작년 12월 4일)]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은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계엄해제 요구안이 국회를 통과한 뒤에도, 윤석열 대통령은 계엄 해제에 미적댔습니다.

3시간 반 동안 국민들은 불안에 떨었습니다.

"윤석열을 체포하라, 윤석열을 체포하라."

헌법과 민주주의를 위협한 책임을 묻는 과정도 순탄치 않았습니다.

첫 탄핵 표결 시도는 무산됐습니다.

국민의힘 의원 대다수가 표결에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일주일 뒤 두 번째 시도 끝에 윤 대통령 직무가 정지됐습니다.

찬성 204표, 의결정족수보다 4표 더 많았습니다.

[우원식/국회의장(작년 12월 14일)]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탄핵재판은 수사와 동시에 진행됐습니다.

"법적·정치적 책임 문제를 회피하지 않겠다"던 윤 대통령 약속은 사라져버렸습니다.

1차 체포영장 집행은 차벽과 인간띠에 가로막혀 무산됐고, 2차 집행 때 윤 대통령은 체포됐습니다.

탄핵심판도 순조롭지 않았습니다.

헌법재판소가 보낸 서류는 18차례 반송되거나 배달되지 못했습니다.

윤 대통령 측이 이의신청과 기피신청을 반복하면서 '법기술'로 시간을 끈다는 비판이 나왔습니다.

윤 대통령은 헌재에 모두 8차례 출석해 156분 발언했습니다.

자신에게 불리한 증언은 정치공작으로 몰아가며 비상계엄은 경고성이었다는 논리를 펼쳤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지난 2월 25일)]
"무력으로 국민을 억압하는 계엄이 아니라, 계엄의 형식을 빌린 대국민 호소입니다."

국회 측은 "계엄 선포는 명백한 위헌 행위"라며 "윤 대통령을 파면해 헌법 수호의 의지를 보여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송두환/국회 측 대리인단 (지난 2월 25일)]
"국군 병력을 함부로 동원해서 헌법기관과 헌법 체계를 공격함으로써 헌법수호자 겸 국군통수권자로서의 능력과 자격이 없음을 스스로 증명한 사람을 대통령직에 복귀하게 할 수는 없습니다."

이후 윤 대통령이 법원의 구속 취소로 석방되면서 사법 정의 문제가 다시 불거졌습니다.

심우정 검찰총장이 수사팀 반발까지 꺾어가며 법원 결정에 불복 없이 그냥 윤 대통령을 풀어준 겁니다.

8명의 재판관은 이제 윤 대통령 파면 여부를 결정합니다.

대한민국은 민주주의 복원과 퇴보의 중대한 갈림길에 서 있습니다.

MBC뉴스 김상훈입니다.

영상편집 : 임혜민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mbc제보

MBC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208 헌재 인근 안국역 지하철 무정차 통과…모든 출입구 통제 랭크뉴스 2025.04.03
48207 [마켓뷰] 美 관세 공포에도… 연기금 등장에 2480선 지킨 코스피 랭크뉴스 2025.04.03
48206 2인 방통위, 지상파 재허가 심사 강행‥"공영방송 장악 위한 선전포고" 랭크뉴스 2025.04.03
48205 여성단체 “경찰, 장제원 성폭력 사건 수사결과 공개하라”[플랫][컨트롤+F] 랭크뉴스 2025.04.03
48204 오늘 계엄학살 4·3, 헌재는 4월4일 이렇게 선고해달라 랭크뉴스 2025.04.03
48203 [탄핵심판 선고 D-1] 경찰, 헌재 주변 ‘진공상태’ 구역 설정... 외곽에서 시위대 철야 농성 준비 랭크뉴스 2025.04.03
48202 "꺅 귀여워!" 29CM '문구페어'에 신난 어른이들 몰렸다[현장] 랭크뉴스 2025.04.03
48201 尹 선고 때 이유 먼저 설명하고 마지막에 파면 여부 낭독할 듯 랭크뉴스 2025.04.03
48200 음주운전하고 지구대 앞에서 ‘쿨쿨’…경적 소리 듣고 나온 경찰에 덜미 랭크뉴스 2025.04.03
48199 최상목 미 국채 논란에 공수처장 “고위공직자범죄 해당되면 철저히 수사” 랭크뉴스 2025.04.03
48198 [속보] 헌재 인근 안국역 3일 오후 4시부로 무정차 통과 랭크뉴스 2025.04.03
48197 '세계의 공장' 베트남에 46% 관세폭탄…현지공장 둔 韓기업 비상 랭크뉴스 2025.04.03
48196 펭귄 사는 무인도에 관세 10% 때렸다, 트럼프의 황당 계산법 랭크뉴스 2025.04.03
48195 이재명 "12·3계엄에 1만명 학살 계획 있었다" 랭크뉴스 2025.04.03
48194 “안 봐유” 백종원 더본코리아, 노랑통닭 인수 의사 없다 [시그널] 랭크뉴스 2025.04.03
48193 “파란색 물이 흘러요”…파랗게 물든 안산천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4.03
48192 헌재 尹탄핵심판 D-1…"전원일치 인용"·"4대4 기각" 관측 분분 랭크뉴스 2025.04.03
48191 트럼프 2기 들어 추가된 관세만 54%… 中, 강력·정밀 보복 나서나 랭크뉴스 2025.04.03
48190 尹선고 주문, 전원일치 상관없이 끝에 낭독?…변수된 생중계 왜 랭크뉴스 2025.04.03
48189 국방부 “尹 복귀해 2차 계엄 요구해도 수용 안 할 것” 랭크뉴스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