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일 경북 의성군 의성읍 의성체육관에 마련된 산불 이재민 임시대피소 모습. 김정석 기자
역대 최악의 산불로 집을 잃은 이경복(70)씨는 경북 의성군 의성읍 의성체육관에 마련된 임시대피소에서 엿새째 머무르고 있다. 지난달 25일 갑자기 거세진 산불에 의성군 단촌면 세촌1리에 있는 이씨의 집은 잿더미가 됐다.

1일 오전 임시대피소에서 만난 이씨는 의자에 앉아 멍하니 허공을 바라보고 있었다. 평소였다면 한창 마늘 농사 준비에 바쁠 시기지만, 지금 이씨는 무엇을 할지 몰라 그냥 멍하니 있는 때가 많다고 한다.



건강 급격 악화…악몽에 잠도 못자
그는 “잠을 거의 못잔다. 잠을 자도 시뻘건 불길이 마을을 향해 달려들던 모습이 꿈에 나타난다”며 “불길이 어느 정도 잡힌 후에 마을에 가봤는데 태어날 때부터 살았던 집이 완전 다 타버려서 숟가락 하나 남지 않은 모습을 보고 충격을 받았다”고 말했다. 이씨는 “정부가 새 집을 지어준다고는 하지만 70년 동안 이곳저곳 수리해가며 살았던 집보다 못하다”며 눈물을 흘렸다.
1일 경북 의성군 의성읍 의성체육관에 마련된 산불 이재민 임시대피소 모습. 김정석 기자

극심한 스트레스와 부족한 수면 시간 등 여러 이유로 이씨의 건강은 크게 악화됐다. 최고혈압이 220㎜Hg까지 치솟을 정도로 혈압이 높아졌다. 지병인 당뇨병과 대장암 수술 후유증도 심해졌다. 이씨는 “당뇨병 약을 1년치 받아놓고 매일 먹는데 급하게 산불을 피해 오느라 모두 놓고 나왔다. 오늘 아들이 서울에 약을 받으러 갔다”고 했다.

안동시 임하면에 사는 신모(60)씨는 다행히 집이 불타지는 않았지만 산불 충격으로 인지 능력이 많이 떨어졌다고 한다. 신씨는 “대피한 뒤 집으로 돌아와 문을 열려고 했는데 갑자기 현관 비밀번호가 생각이 안났다”며 “점차 나아지고 있는 것 같지만 벌써 치매가 찾아온 것 아닌지 불안하다”고 전했다.

지난 22~28일 경북 북부지역을 휩쓴 산불의 피해자는 60대 이상 고령층에 집중돼 있다. 의성과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 지역의 고령층 비중이 다른 지역보다 훨씬 높아서다. 2023년 기준 전국평균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18.6%인 데 반해 경북은 23.8%로 5.2%포인트 더 높다. 특히 의성의 경우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45.5%, 청송은 41.6%, 영양은 41.1%에 달한다.

경북 북부지역을 휩쓴 산불이 진화된 지 이틀이 지난달 30일 경북 안동시 임하면 신덕리에 위치한 주택이 산불로 무너져 지붕만 남아 있다. 김정석 기자
국립정신건강센터 국가트라우마센터에 따르면 재난을 겪은 노인은 체력이 떨어지고 경제력이 약한 경우가 많아 재난 스트레스를 더욱 크게 받는다. 노화에 따른 뇌의 변화로 우울증이나 치매가 발병할 위험성이 커지고 수십 년에 걸쳐 일군 생활 터전을 잃은 만큼 심리적 충격이 크다. 이 때문에 복구와 회복에 대한 희망적인 전망도 갖기 어렵다.



급격한 환경변화로 섬망 올 수도
또 노인이 우울증에 걸리면 기억력과 사고력이 저하되고 언뜻 보면 치매처럼 보이는 ‘가성 치매’ 상태가 될 수 있다. 대피를 하는 등 급격한 생활 환경의 변화가 있으면 갑자기 환각이나 망상이 생기는 섬망 증상이 나타날 가능성도 있다.

정경애 국립부곡병원 영남권트라우마센터 팀장은 “이재민 대피소에서 상담을 하다 보면 대부분 산불 당시 겪었던 경험이 자꾸 떠올라 괴롭고 제때 대처를 하지 못한 것에 대한 후회를 호소한다. 또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지에 대한 불안감도 높고 ‘내가 뭘 잘못했는데 이런 일이 생기느냐’는 울화도 느끼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29일 경북 안동시 길안면 길안중학교에 마련된 이재민 대피소에서 심리지원상담이 이뤄지고 있다. 김정석 기자

정 팀장은 “특히 노인의 경우 평생 쓰던 세탁기 사용법도 잊어버리거나 가족 이름이 생각나지 않는 등 극심한 인지 능력 저하를 겪기도 한다”며 “피해 주민들의 괴로움과 트라우마를 최대한 낮추기 위해 전문적인 심리상담 지원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경북도는 심리적 충격을 받은 주민들의 안정과 회복을 위한 지원에도 힘을 쏟고 있다. 특히 갑작스러운 재난으로 집이 전소돼 삶의 터전을 잃은 이들에게 심리적 안정과 회복을 위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1일 오전 현재 2425건의 심리치료지원이 이뤄졌다.

또 긴급 심리지원 핫라인(1577-0199)을 운영해 24시간 상담할 수 있게 하고 찾아가는 심리지원을 통해 산불 피해 주민들이 지속적으로 전문적 심리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729 與 "이재명이 승복 선언해야"…野 "승복은 윤석열이 하는 것" 랭크뉴스 2025.04.02
47728 국회, 尹 탄핵소추 변호사비로 1억1000만원 썼다 랭크뉴스 2025.04.02
47727 ‘헌법재판소 재판관 마은혁 임명촉구 결의안’, 야당 주도 국회 본회의 통과 랭크뉴스 2025.04.02
47726 한덕수 “헌재의 어떤 결정도 수용해야”…이재명 "승복은 尹이 하는것" 랭크뉴스 2025.04.02
47725 "마은혁 공산주의자" 본회의장 충돌…與의원들 자리 떴다 랭크뉴스 2025.04.02
47724 “계엄 뀐 놈이 성내는 꼴 언제까지” 집필노동자 243명도 한줄 선언 랭크뉴스 2025.04.02
47723 “낙상 마렵다”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 아기 학대 논란 일파만파 랭크뉴스 2025.04.02
47722 4·2 재보선 투표율, 오후 4시 기준 20.39% 랭크뉴스 2025.04.02
47721 "尹 차라리 안 돌아오는 게"... 기각이든 파면이든 국민의힘 골머리 랭크뉴스 2025.04.02
47720 박충권, 본회의에서 "마은혁 공산주의자" 고성‥야당 항의 랭크뉴스 2025.04.02
47719 신생아 환아 안고 “낙상 마렵다”…대형 병원 간호사 학대 정황 랭크뉴스 2025.04.02
47718 “왜 이리 느리지”… ‘지브리 프사’ 인기에 몸살 난 챗GPT 랭크뉴스 2025.04.02
47717 [단독] 발전사 탄소배출 비용 3배로 늘린다… 지역난방업계 '반발' 랭크뉴스 2025.04.02
47716 코로나19 백신 피해 보상 특별법·의사추계위법, 국회 본회의 통과 랭크뉴스 2025.04.02
47715 “팔레스타인 지지했나?”…美, 학생 비자 신청자 ‘SNS 사찰’ 시작 랭크뉴스 2025.04.02
47714 장제원 빈소 찾은 정진석 "尹 '가슴 아프다' 여러번 말씀하셨다" 랭크뉴스 2025.04.02
47713 부친에게 30억 빌려 47억 아파트 산 30대… 국토부 “증여 의심” 랭크뉴스 2025.04.02
47712 "尹 파면, 결론은 내렸다"‥"기각되면 MBC 출연 마지막?" [맞수다] 랭크뉴스 2025.04.02
47711 [마켓뷰] 美 상호관세 앞두고 외국인 자금 ‘썰물’… 코스피·코스닥↓ 랭크뉴스 2025.04.02
47710 尹 탄핵 방청 경쟁률 ‘3550대 1′… 역대 최고 기록 랭크뉴스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