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루프·암 발생 연관성 밝혀져
피임·과다월경 등 치료용으로 쓰여
3년 미만 사용 땐 암 위험 5.4배 급증
사전 위험인자 검토·정기 검진 권고


피임과 자궁질환 치료에 흔히 사용되는 ‘자궁 내 장치’가 유방암 발생과 관련 있다는 국내외 연구가 잇따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유방암 가족력이나 고위험 인자 등이 있는 여성의 경우 의료진 상담을 통해 사용 결정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게티이미지뱅크

흔히 '루프'로 불리는 자궁 내 장치(LNG-IUS)는 30·40대 가임기 여성층에서 피임과 과다월경, 이상자궁출혈,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등 질환 치료 목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자궁 안에 설치하는 T자형 기구로, 일정 기간 소량의 합성 황체 호르몬인 '레보노르게스트렐'을 지속 방출한다. 이 호르몬은 자궁 내막의 증식을 억제하고 자궁 경부 점액을 끈적하게 만들어 정자의 이동을 어렵게 해 피임 효과를 나타낸다.

여러 피임법이 있지만 자궁 내 장치는 장기간 효과가 지속하고 별도의 복용이나 주입이 필요 없다는 장점 때문에 선호된다. 특히 자궁을 보존하고 싶어하는 여성이나 수술을 피하고자 하는 경우 대체 치료법으로 활용된다.

국내 공식 통계는 제한적이나 건강보험 급여 기준으로 자궁 내 장치 사용자는 연간 수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전 세계적으로는 북유럽과 미국 등에서 높은 사용률을 보인다. 최근엔 피임 보다 질환 치료 목적으로 사용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다.

그런데 이런 자궁 내 장치의 사용이 유방암 발생 위험 증가와 관련 있을 수 있다는 해외 연구가 근래 잇따랐다. 국내에서도 둘의 연관성을 밝힌 연구 결과가 처음으로 나왔다.

인제대 상계백병원 산부인과 육진성·노지현 교수팀은 2014~2017년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이상자궁출혈 진단을 받은 30~49세 여성 6만1010명을 대상으로 LNG-IUS 사용과 유방암 발생 위험을 비교·분석했다. 해당 연구 논문은 미국 산부인과학회 공식 학술지(Obstetrics & Gynec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분석 결과 LNG-IUS 사용 여성의 유방암 발생률은 10만 명당 223건으로, 비사용자(10만명당 154건) 보다 높았고 유방암 위험이 3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7년 덴마크 연구팀이 180만명의 여성 코호트(동일 집단) 연구에서 LNG-IUS 사용으로 유방암 위험이 21% 높아진다고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NEJM)’을 통해 보고한 것과 일정 부분 일치한다. 앞서 핀란드 연구팀도 유방암과의 연관성을 보고한 바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특히 LNG-IUS의 사용 기간별 위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점이 눈에 띈다. LNG-IUS 사용 초기 3년 미만일 땐 유방암 위험이 5.4배로 급격히 증가했으나 5년 이상 사용 시 위험은 1.77배로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팀에 따르면 레보노르게스트렐 호르몬은 유방 조직 내 프로게스테론 수용체를 자극해 암과 연관된 상피세포 증식을 유도할 수 있다. 특히 사용 초기에는 방출량이 많고 혈중 농도도 상대적으로 높아 유방통 같은 증상을 유발하며 이에 따른 유방 검진 빈도 증가로 인한 조기 진단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5년 이상 지속 사용할 경우 약물 방출량이 점차 감소하고 유방 조직도 이에 적응하면서 세포 증식 효과가 줄어들 수 있다. 육진성 교수는 “그럼에도 장기 사용군에서도 위험이 유의하게 높았기 때문에 단순 검진 효과를 넘어선 생물학적 연관성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LNG-IUS의 초기 사용 시기에 유방암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사용 결정에 보다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노지현 교수는 31일 “LNG-IUS는 피임 효과와 자궁질환 치료 등에 많은 이점을 가진 장치다. 다만 유방암 가족력, 고위험 인자 등이 있는 여성의 경우 의료진과 상담을 통해 보다 정밀한 판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즉 LNG-IUS 사용을 고려 중인 경우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개인의 유방암 위험인자(가족력, 연령, 체중, 다른 호르몬 복용 여부 등)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미 사용 중인 여성이라면 유방통 같은 증상이 있거나 사용 초기라면 정기 유방 검진을 받는 것이 권고된다. 특히 사용 첫 3년 동안은 유방 검진 주기의 단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유방암 고위험군이라면 비호르몬 피임법이나 다른 치료법을 선택하는 것도 방법이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51 ‘상법 반대’ 최태원 저격한 이복현 “SK이노 합병, 주주 목소리 들었어야” 랭크뉴스 2025.04.02
47550 수원 길거리에서 여성 2명 숨진 채 발견‥"오피스텔서 추락 추정" 랭크뉴스 2025.04.02
47549 “엄마 가게 살리자!” 자녀들이 나섰다…이게 지금, 자영업 현실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02
47548 가격인상 도미노에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 3% 훌쩍 넘었다 랭크뉴스 2025.04.02
47547 이복현 "금융위원장께 사의 밝혔다…내일 F4 회의는 참석" 랭크뉴스 2025.04.02
47546 수원 인계동 오피스텔 인근서 2명 숨진 채 발견 랭크뉴스 2025.04.02
47545 다이소 고속성장의 이면…납품업체들 “남는 건 인건비뿐” 랭크뉴스 2025.04.02
47544 낮 수도권부터 천둥·번개 동반 요란한 봄비…강수량은 적어 랭크뉴스 2025.04.02
47543 '유기견과 여행'이 동물복지 인식 개선? "마당개 복지 고민이 먼저" 랭크뉴스 2025.04.02
47542 보편·개별관세? 제3의 길?…뭐가 됐든 韓은 비상[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랭크뉴스 2025.04.02
47541 이복현 “금융위원장에 사의 표명했으나 만류…내일 F4 회의 참석” 랭크뉴스 2025.04.02
47540 남극서 분리된 거대 빙산…그 아래 숨겨진 미지의 생태계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4.02
47539 5세대 실손, 도수치료 이젠 안된다···자기부담률 50%로 높여 랭크뉴스 2025.04.02
47538 [속보] 이복현 "금융위원장께 사의 밝혔다…내일 F4 회의는 참석" 랭크뉴스 2025.04.02
47537 “유아·초등이라도 사교육에서 해방을…국민투표로 정해보자” 랭크뉴스 2025.04.02
47536 산불에 어르신 업고 뛴 인니 선원...법무부 "장기거주 자격 부여 검토" 랭크뉴스 2025.04.02
47535 이준석 "탄핵선고 결과에 이변 없을 것" [모닝콜] 랭크뉴스 2025.04.02
47534 헌재, 5 대 3 선고 못 하는 이유…‘이진숙 판례’에 적시 랭크뉴스 2025.04.02
47533 [속보]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2.1%… 3개월 연속 2%대 상승 랭크뉴스 2025.04.02
47532 탄핵선고 D-2…헌재 인근 밤샘집회로 도로 통제·출근길 혼잡 랭크뉴스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