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관세 공포, 코스피·원화 급락

랭크뉴스 2025.04.01 02:10 조회 수 : 0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와 미국의 경기 침체, 한국의 공매도 재개에 대한 경계심 등 악재가 겹치며 31일 코스피가 2500선 아래로 하락했다. 달러 대비 원화가치도 약 16년 만에 최저치로 하락했다(환율은 상승). 이날 서울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의 ‘수퍼 관세데이(4월 2일)’를 앞두고 시장의 불안감이 최고조에 이르면서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주요 증시가 ‘블랙 먼데이’를 맞았다. 달러당 원화 가치도 1470원대로 내려앉으면서(환율은 상승)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6년 만에 최저치를 찍었다.

31일 한국거래소와 주요 외신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는 전일 대비 3% 내린 2481.12에 마감했다. 종가 기준 2500선을 밑돈 건 지난달 4일 이후 두 달여 만이다. 일본 닛케이225지수도 4.05% 내린 3만5617.56에 장을 마감했다. 3거래일 연속 하락하며 지난해 8월 초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대만 자취안지수는 4.2%, 홍콩 항셍지수는 1.6% 내렸다.

특히 관세 부과를 예고한 반도체와 자동차 관련주가 각국의 주가를 끌어내렸다. 삼성전자(-3.99%)와 SK하이닉스(-4.32%)를 비롯해 일본 도쿄일렉트론(-6.57%), 대만 TSMC(-4.41%) 등의 주가가 약세였다. 현대차(-3.80%)와 기아(-3.15%), 일본의 토요타(-3.13%)·혼다(-3.07%)·닛산(-4.03%) 등도 내림세였다.

이는 미국 관세의 칼끝이 아시아 주요국을 겨누고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기자들과 만나 중국·한국·일본·베트남 등 미국에 무역흑자를 낸 아시아 국가를 겨냥해 “아시아와의 무역을 살펴보면 누구도 우리를 공정하거나 좋게 대했다고 말하지 않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여기에 관세 인상에 따른 미국 물가 상승 및 경기 침체 우려가 재점화하면서 투자자들의 위험 회피 심리도 커졌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미국의 2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8% 상승해 시장 예상치(2.7%)를 넘어섰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목표치 2%를 상회한 것은 물론, 전월(2.6%)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반면에 실질 개인소비지출은 전달 대비 0.1% 증가하는 데 그쳤다. 물가는 오르고, 소비는 위축하는 모습이다.

골드만삭스는 미국 경기 침체 확률을 20%에서 35%로, JP모건은 30%에서 40%로 상향 조정했다. 무디스 애널리틱스의 카트리나 엘은 “트럼프 행정부의 급격한 정책 변화가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짚었다.



관세 외풍에 원화값 휘청“1500원까지 떨어질 수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에어포스 원에서 내려오고 있다. [AP=연합뉴스]
직전 거래일인 지난달 28일 미 증시 3대 지수가 모두 하락한 것도 아시아 증시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했다. 특히 한국은 지난 1년5개월간 금지한 공매도가 이날 재개된 것이 부담을 줬다. 31일 오후 10시 현재 유럽 주요 증시도 2% 가까이 내림세다.

반면에 전통적인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금 가격은 고공비행 중이다. 31일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금 선물은 트로이온스당 3149달러에 거래가 이뤄졌다. 올해 들어서만 약 18% 급등하면서 사상 최고치를 고쳐 썼다.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관세 발효(4월 2일)로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을 키웠고, 이에 금에 수요가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김경진 기자
연일 불어오는 외풍에 원화값은 추풍낙엽이다. 이날 미국 달러 대비 원화값은 주간 종가 기준 전 거래일 대비 6.4원 하락한(환율은 상승) 1472.9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3월 13일(1483.5원) 이후 최저치다. 이날 달러당 원화값은 전 거래일 대비 4.1원 하락한 1470.6원으로 출발했는데, 개장가가 1470원을 넘은 것 역시 지난 1월 13일(1473.2원) 이후 두 달 반 만이다.

김지윤 기자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 가치인 달러인덱스는 전거래일보다 0.44% 내린 103.874를 나타냈다. 전 세계적으로 달러가 약세를 나타내는 가운데 원화 가치는 더 떨어졌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구조가 미국의 관세 위협에 더 취약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정치 불확실성과 내수 부진에 국내 경기의 하방 압력이 증가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를 금융시장이 대형 악재로 인식할지, 혹은 불확실성 해소로 판단할지에 따라 달러화 흐름도 큰 폭의 변동성을 보일 것”이라며 “1500원까지 하락할 가능성도 열어둬야 한다”고 말했다. 백석현 신한은행 이코노미스트도 “상호관세 발표 내용을 확인하기 전까지는 시장의 긴장감이 높아지는 단계라 달러당 원화값이 더 하락할 수 있다”고 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51 ‘상법 반대’ 최태원 저격한 이복현 “SK이노 합병, 주주 목소리 들었어야” 랭크뉴스 2025.04.02
47550 수원 길거리에서 여성 2명 숨진 채 발견‥"오피스텔서 추락 추정" 랭크뉴스 2025.04.02
47549 “엄마 가게 살리자!” 자녀들이 나섰다…이게 지금, 자영업 현실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02
47548 가격인상 도미노에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 3% 훌쩍 넘었다 랭크뉴스 2025.04.02
47547 이복현 "금융위원장께 사의 밝혔다…내일 F4 회의는 참석" 랭크뉴스 2025.04.02
47546 수원 인계동 오피스텔 인근서 2명 숨진 채 발견 랭크뉴스 2025.04.02
47545 다이소 고속성장의 이면…납품업체들 “남는 건 인건비뿐” 랭크뉴스 2025.04.02
47544 낮 수도권부터 천둥·번개 동반 요란한 봄비…강수량은 적어 랭크뉴스 2025.04.02
47543 '유기견과 여행'이 동물복지 인식 개선? "마당개 복지 고민이 먼저" 랭크뉴스 2025.04.02
47542 보편·개별관세? 제3의 길?…뭐가 됐든 韓은 비상[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랭크뉴스 2025.04.02
47541 이복현 “금융위원장에 사의 표명했으나 만류…내일 F4 회의 참석” 랭크뉴스 2025.04.02
47540 남극서 분리된 거대 빙산…그 아래 숨겨진 미지의 생태계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4.02
47539 5세대 실손, 도수치료 이젠 안된다···자기부담률 50%로 높여 랭크뉴스 2025.04.02
47538 [속보] 이복현 "금융위원장께 사의 밝혔다…내일 F4 회의는 참석" 랭크뉴스 2025.04.02
47537 “유아·초등이라도 사교육에서 해방을…국민투표로 정해보자” 랭크뉴스 2025.04.02
47536 산불에 어르신 업고 뛴 인니 선원...법무부 "장기거주 자격 부여 검토" 랭크뉴스 2025.04.02
47535 이준석 "탄핵선고 결과에 이변 없을 것" [모닝콜] 랭크뉴스 2025.04.02
47534 헌재, 5 대 3 선고 못 하는 이유…‘이진숙 판례’에 적시 랭크뉴스 2025.04.02
47533 [속보]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2.1%… 3개월 연속 2%대 상승 랭크뉴스 2025.04.02
47532 탄핵선고 D-2…헌재 인근 밤샘집회로 도로 통제·출근길 혼잡 랭크뉴스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