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29일 오후 제주시 삼도일동 거리에 왕벚꽃 축제를 보기 위해 시민과 관광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뉴시스

봄 행락철을 맞아 전국 곳곳에서 지역 축제가 예고된 가운데 ‘떴다방식’ 축제 전문 먹거리 상인들의 바가지 요금 문제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31일 제주특별자치도 등에 따르면 지난 28~30일 사흘 간 제주 전농로 일대에서 제18회 전농로 왕벚꽃 축제가 열렸다. 축제 현장을 찾은 제주 건입동 주민 A씨(28)는 지난 28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순대 6조각에 2만5000원, 오케이’라는 글과 함께 순대볶음 사진을 올렸다. 함께 갈무리된 메시지엔 “오 마이 갓, 당했어. 이를 어쩌냐”는 댓글이 달렸다.

A씨는 중앙일보에 “가격에 비해 양이 너무 적어 순대를 세어 본 것”이라며 “다른 상인들과 손님들에게 민폐를 끼치고 싶지 않아서 현장에서 항의하지 않았지만, 너무 아쉬워 내년엔 오지 말아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A씨의 게시글은 바가지 음식에 ‘나도 당했다’는 인증으로 이어졌다. 3만원짜리 꼼장어, 1만원짜리 어묵탕이 값에 비해 양과 질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불만이 나왔다.

김경석 전농로 벚꽃축제 추진위원장은 “28일 발생한 일로 29일 오전부터 가격에 맞게끔 정량 판매하거나 가격을 낮춰달라고 요구했다”며 “해당 부스에 ‘당신들 때문에 성실히 판매하는 다른 가게도 피해를 보고 있으니 신경 써달라’고 요구했다”고 말했다.

지난 28일 SNS에 제주 건입동 주민 A씨(28)가 올린 전농로 벚꽃축제 먹거리 부스에서 판매한 순대볶음. A씨는 ″제주 토박이라 고향 축제를 깎아내릴 생각은 없지만, 해도 너무했다는 생각에 인터넷에 올렸다″고 말했다. 사진 온라인 갈무리

문제는 축제 주최 측이 아무리 계도해도 음식 바가지를 씌우는 상인들을 걸러낼 수 없다는 점이다. 지난 7~16일 전남 광양 매화마을 일원에서 열린 제24회 광양매화축제는 자동차, 일회용품, 바가지 요금이 없는 ‘3무(無) 축제’를 슬로건으로 내걸었지만 음식 바가지 요금 논란을 피하지 못했다. 어묵 꼬치 1개에 5000원, 파전 1만5000원 등 제공 음식의 질에 비해 비싼 값을 받는 먹거리 부스가 있었기 때문이다.

일일 최대 80만명이 찾는 지난해 서울 여의도 봄꽃 축제도 바가지 음식 등 불법행위 노점상이 횡행했다. 바가지 요금, 보행로 점유 등 과태료 처분 건수만 124건에 달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축제 장소에 노점 진입 자체를 막긴 어려워 사후 조처를 하고 있다”며 “과태료 부과 건도 모두 바가지 요금은 아니다”라고 했다.

앞서 2023년 6월 8~11일 수원 화성행궁에서 열린 수원 환경사랑축제에서도 한 노점상이 수육에 가까운 젖은 고기 바비큐를 4만원, 미성년자에게 몰래 판매하는 것처럼 일회용 페트병에 나눠 담은 소주를 5000원에 관광객에게 내줬다가 비판을 받았다. 이 음식과 주류를 판매한 상인 점포가 의정부시 소재라 지역 축제만 찾아다니는 축제 전문 상인들이 지역 이미지까지 훼손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지난 2023년 6월 8~11일 경기도 수원에서 열린 화성행궁 2023 환경사랑축제에서 지역 상인 바가지에 당했다고 주장하는 블로거가 게시한 차림표와 페트병 소주 사진. 사진 네이버 블로그 캡처

상황이 이렇자 행정안전부는 지난달 28일 바가지요금 등 불공정 상행위를 근절하는 ‘지역축제 물가안정 관리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축제 준비 단계부터 합리적인 가격이 책정될 수 있도록 축제 주관 부서와 긴밀히 협조하고 가격표 게시, 적정가액 책정 여부 등을 지자체와 협업해 집중 점검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달부터 다음 달까지 전국에서 개최되는 지자체 축제는 모두 97건으로 이중 지자체 특산물 활용 먹거리 축제만 18건이다.

최철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는 “상설 점포가 아니라 특정 기간에만 판매 행위가 이뤄지는 경우 가격을 엄격하게 통제하기 어렵다”며 “시장 가격에 비해 폭리를 취하거나 위생 문제 때문에 식중독 등 공공 안전을 저해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전 신고를 받아 통제하고 단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261 630개 외침, 민주주의엔 진심…‘깃발 아카이브’에 모였다 랭크뉴스 2025.04.03
48260 송호성 기아 사장 “美 가격 인상 계획 없어… HMGMA 40%는 기아 몫" 랭크뉴스 2025.04.03
48259 '진보4 중도2 보수2' 재판관 성향, 尹선고에 의미없다…왜 랭크뉴스 2025.04.03
48258 동시접속 9만명…콘서트장 방불케한 '尹선고' 방청 신청 랭크뉴스 2025.04.03
48257 “나경원·전한길 유세 마이너스”…‘재보선 참패’ 국힘 내부서 쓴소리 랭크뉴스 2025.04.03
48256 민주당 "'공산주의자' 발언 박충권, 사과 않으면 제명 추진" 랭크뉴스 2025.04.03
48255 尹측, '계엄때 1만명 학살계획' 李발언에 "허위사실…법적책임" 랭크뉴스 2025.04.03
48254 송금 보류 요청에도 강행…신한은행, 고객 피해 키웠다 랭크뉴스 2025.04.03
48253 광화문 교차로·안국역 일대 통제…150개 버스노선 우회 랭크뉴스 2025.04.03
48252 ‘베트남 46% 관세’ 삼성 스마트폰 직격타···불닭볶음면도 영향권 랭크뉴스 2025.04.03
48251 [단독] 헌재, 윤석열 선고 날 오전에도 재판관 평의 랭크뉴스 2025.04.03
48250 백종원 ‘노랑통닭’ 인수?...“사실은” 랭크뉴스 2025.04.03
48249 검찰, ‘경비함정 비리 혐의’ 김홍희 전 해경청장 구속 기소 랭크뉴스 2025.04.03
48248 ‘대미 협상 총력’ 한덕수…야당 “트럼프와 통화 한 번 못해” 랭크뉴스 2025.04.03
48247 ‘집에서 임종’ 14%뿐…“삶의 끝은 가족 품이어야” 랭크뉴스 2025.04.03
48246 ‘가짜 임신’ 사진 찍는 중국 Z세대… “날씬할 때 미리” 랭크뉴스 2025.04.03
48245 [속보] 尹 탄핵심판 선고 방청권 경쟁률 4818.5대 1 랭크뉴스 2025.04.03
48244 "산불이야" 고령 주민들 대피시키고 마지막에 탈출한 청년 농부 랭크뉴스 2025.04.03
48243 [단독]지난해 단 120만원…나경원 일가 운영 고교가 ‘찔끔’ 낸 이것 랭크뉴스 2025.04.03
48242 [단독] 명동 화교학교도 탄핵 선고일 휴업…16→27곳 문닫는 학교 늘었다 랭크뉴스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