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산불 최대 피해 영덕 이재민들

주택 피해 1356채로 경북 최다
긴급 모듈러 주택 등 설치 지원
경북 안동시 일직면 권정생어린이문학관 앞에 31일 산불 이재민 긴급 주거시설로 모듈러 주택이 설치되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는 임시 대피소에 있는 고령의 어르신들을 고려해 이들을 임시 주거시설로 우선 옮기고, 조립식 주택 등 안정적이고 편안한 주거 공간을 확보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여러 곳을 전전하고 있는데, 몸도 마음도 피곤합니더.”

경북 영덕에서 발생한 산불이 진화되고 주민 대피령도 해제됐지만 피해 주민들은 여전히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하루아침에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들은 임시 대피소에서 생활하며 극심한 피로를 호소하고 있다.

31일 경북도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인한 주택 피해는 전소 3556채, 반소 25채, 부분 소실 36채로 모두 3617채가 피해를 봤다. 지역별로는 영덕이 1356채로 가장 많다. 이에 영덕군은 영덕국민체육센터, 영덕청소년해양센터, 인근 모텔 등에 이재민들을 분산 수용하고 있다.

영덕국민체육센터에서 만난 정성자씨는 “이웃과 함께 군이 지정해 준 대피소 몇 곳을 전전하다 이곳에 왔다”며 “여기 맨바닥에서 밤을 보내야 하는데 허리가 아프고 마음도 불안하다”고 토로했다. 황장리에 거주하던 안승호씨는 “불편한 것도 문제지만 갑자기 좁은 곳에 여러 사람이 몰리다 보니 서로 다투는 경우도 종종 있다”면서 “하루아침에 집과 전 재산을 잃은 것도 마음이 아프지만 이러다가 사람까지 잃을까 걱정”이라고 참담한 심정을 토로했다.

이에 따라 정부와 지자체는 이들에 대한 주거와 의료, 생필품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경북도는 이날 안동시 일직면에 긴급 주거시설로 모듈러 주택 40동을 설치하고 이재민들이 입주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재민들이 생활 터전과 가까운 곳에서 지내며 농사 등 생업을 할 수 있도록 거주지 인근에 마을 형태로 임시 주거시설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또 체육관 등 불편한 생활에 지친 이들을 위해 환경이 조금이라도 나은 기업 연수원, 리조트 등도 확보하기로 했다.

안동시도 산불로 주거지를 잃은 이재민들을 위해 임시 주거용 조립주택을 지원한다. 산불로 주거지가 전파, 반파되는 등 정상적인 주거가 어려운 주민들이 지원 대상이다. 기본 지원 기간은 1년이지만 필요하면 연장될 수 있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이번 산불로 피해를 본 주민들에게 안정적인 주거 공간을 제공하고 하루빨리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라며 “산불 피해가 큰 만큼 복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도 임시 대피소에 있는 고령의 어르신들이 장기간 머무르는 일이 어려운 상황임을 고려해 이들을 임시 주거시설로 우선 옮기고, 조립식 주택 등 안정적이고 편안한 주거 공간을 확보하기로 했다. 정부는 산불로 대피했다가 복귀한 주민들의 불편을 덜어주기 위해 통신, 전기, 수도 같은 필수 기반시설 복구를 서둘러 마칠 방침이다. 특히 전기가 끊긴 세대에 대해서는 선로를 연결하거나 비상발전기를 투입해 신속하게 전기를 공급할 계획이다.

이한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차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산불 대응 중대본회의를 열고 “최우선 과제는 이재민 구호와 광범위한 지역에 걸친 대규모 피해를 하루 속히 수습하고 복구하는 일”이라며 “범정부적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691 이재명, 헌재 결정 승복 묻자 "승복은 윤석열이 하는 것" 랭크뉴스 2025.04.02
47690 ‘귀한 몸’ 토허제 경매 아파트…‘아리팍‧방배그랑자이’ 감정가보다 웃돈 매각 랭크뉴스 2025.04.02
47689 “왜 출근했어요? 잘렸는데” 美 보건·복지 인력 1만명 해고 시작 랭크뉴스 2025.04.02
47688 대통령 탄핵 선고일, 서울 16개 학교 휴업... 경복궁역 인근까지 확대 랭크뉴스 2025.04.02
47687 ‘사과 대란’ 다시 오나…‘주산지’ 경북 산불에 국내 재배면적 10% 피해 랭크뉴스 2025.04.02
47686 버스·지하철·자전거·쓰레기통까지 싹 다 치운다…4일 안국·광화문·여의도 진공화 랭크뉴스 2025.04.02
47685 헌재 오전 10시 선고가 관례인데…尹 선고는 오전 11시 왜 랭크뉴스 2025.04.02
47684 "헌재에 승복해야" 지적에‥이재명 "승복은 윤석열이 하는 것" 랭크뉴스 2025.04.02
47683 대통령 탄핵 선고일, 서울 총 16개 학교 휴업 랭크뉴스 2025.04.02
47682 경찰, '명품 수수 의혹' 강진구 전 더탐사 대표 압수수색 랭크뉴스 2025.04.02
47681 '이별 통보' 연인 66차례 찔러 살해한 40대 2심도 무기징역 구형 랭크뉴스 2025.04.02
47680 [속보] 이재명, 헌재 결정 승복 질문에 "승복은 윤석열이 하는 것" 랭크뉴스 2025.04.02
47679 최상목 부총리 탄핵안, 국회 본회의 보고‥24시간 이후 표결 가능 랭크뉴스 2025.04.02
47678 권성동 "이복현, 짐 싸서 청사 떠나야…대통령 운운하며 오만" 랭크뉴스 2025.04.02
47677 [속보] 코로나 백신 피해보상 특별법·의료추계위법 국회 본회의 통과 랭크뉴스 2025.04.02
47676 ‘금감원장직’ 걸었던 이복현, 尹 탄핵선고 후 거취 결정할 듯 랭크뉴스 2025.04.02
47675 미국, 한국 OTT 플랫폼 규제 논의 불만... 정부 "정해진 것 없어" 랭크뉴스 2025.04.02
47674 “미얀마 강진 사망 4천명 육박…진앙지 만달레이에 군부 공습” 랭크뉴스 2025.04.02
47673 野발의 최상목 탄핵안, 국회 본회의 보고…표결 시점은 유동적 랭크뉴스 2025.04.02
47672 오세훈 서울시장, 쓰레기통까지…탄핵 선고 앞 ‘안국·광화문·여의도 진공화’ 싹 다 비운다 랭크뉴스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