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박순재 알테오젠 대표 인터뷰
4번째 플랫폼으로 롱-액팅 기술 활용
GLP-1계열로 내년 전임상 착수 예정
박순재 알테오젠 대표가 30일 서울 영등포구 알테오젠 서울 사무소에서 서울경제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

[서울경제]

알테오젠(196170)이 한 달에 한 번만 맞으면 되는 비만 치료제용 주사 제형 플랫폼을 개발한다. 대표적 비만 치료제인 덴마크의 빅파마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와 ‘삭센다’는 각각 주 1회, 매일 주사를 맞아야 한다. 알테오젠이 개발에 성공한다면 환자 편의성을 혁신적으로 개선하는 것은 물론 빅파마로의 기술이전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박순재 알테오젠 대표는 30일 서울경제신문과 만나 “자체 기술(장기 지속형·Long-acting)을 활용해 한 달 제형 플랫폼을 개발 중으로 비만 치료제에 우선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개발은 어느 정도 마무리됐고 내부 실험에서는 효과가 입증됐다”며 “내년에 비만 치료제용 전임상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알테오젠은 삭센다·위고비·마운자로 등 글로벌 대세 비만 치료제들이 채택하고 있는 글루카곤유사펩타이드-1(GLP-1) 계열 약물에 적용하는 방안을 우선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약물의 효과가 하루·1주일이 아니라 한 달 이상 지속되는 주사 제형은 노보노디스크·일리아릴리 등 비만 치료제 개발사들이 최우선 경쟁력으로 꼽고 있는 기술이다. 그동안은 체중 감소 효과가 경쟁력을 갈랐지만 앞으로는 투약 효과 지속 기간이 승부수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 기존 비만 치료제 강자로 매일 주사해야 하는 삭센다는 주 1회 주사하면 되는 위고비가 출시되자 시장점유율이 급락하고 있다.

알테오젠은 정맥주사(IV)를 피하주사(SC) 제형으로 바꿔주는 ‘하이브로자임 플랫폼(ALT-B4)’, 장기 지속형 플랫폼 ‘넥스피(NexP)’, 항체약품접합체(ADC) 플랫폼 ‘넥스맙(NexMab)’ 등 3개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비만 치료제용 한 달 제형 플랫폼은 넥스피 퓨전 기술을 활용한 것으로 개발에 성공할 경우 네 번째 플랫폼이 된다.




“빅파마, SC제형 도입 필수…앞으로 몇 년간 매년 2건 기술 이전 목표”


박 대표는 추가 기술 이전에 대한 목표도 밝혔다. 박 대표는 “앞으로 몇 년간 매년 2건 정도의 기술 이전이 가능하다”며 “현재 물질이전계약(MTA)을 맺은 것만 8건으로 규모나 시간이 문제일 뿐 대부분 기술 이전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현재 기술 이전 협상을 진행 중인 곳들은 글로벌 제약사, 바이오에 특화된 회사, 바이오벤처 등 다양하다”며 “올 상반기 대규모 기술 이전을 한 만큼 올해는 하반기를 목표로 다음 기술 이전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알테오젠은 정맥주사(IV)제형을 SC제형으로 바꿔주는 하이브로자임 플랫폼(ALT-B4)으로만 최근 6년간 10조 원이 넘는 기술 이전 계약을 따냈다. 지난해 하반기 불거진 미국 할로자임과의 특허 분쟁 이슈도 이달 17일 글로벌 빅파마인 아스트라제네카와 약 2조 원에 달하는 초대형 계약을 체결하며 불식시켰다. 박 대표는“하나의 기술을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이전할 수 있는 것이 플랫폼의 힘"이라며 “지난해에만 SC제형 플랫폼으로 1000억 원이 넘는 매출을 올렸다”고 전했다.




독보적인 기술력과 장기특허…최근 6년간 계약 10조 원 넘어


박 대표가 지속적인 기술 이전을 자신하는 배경은 ALT-B4의 기술력과 특허 기간이다. ALT-B4는 경쟁사인 할로자임의 SC 제형 플랫폼(PH20) 보다 안정성이 높은데다 생산성·확장성이 우수하다. 더구나 ALT-B4의 특허 기간은 2043년으로 PH20의 2027년보다 무려 16년이나 길다. SC제형 플랫폼을 도입하려는 제약사들 입장에서는 알테오젠을 선택할 수 밖에 없는 이유다. 박 대표는 “IV제형 블록버스터 의약품 특허 만료 시기가 다가오고 있다”며 “빅파마들은 바이오시밀러와 경쟁을 피하기 위해 SC제형으로 전환이 필수인 만큼 관련 기술을 확보한 우리에게는 사업 기회가 열려있다”고 말했다.

특히 지난해 11월 일본 다이이찌산쿄에 ALT-B4를 항체약물접합체(ADC) SC제형으로 기술 이전한 것에 대한 기대가 크다. 다이이찌산쿄는 블록버스터 ADC 치료제인 ‘엔허투’를 보유하고 있다. 박 대표는 “엔허투SC 제형이 임상 1상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보이면 ADC 시장에서도 새로운 시장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한다”며 “머크(MSD)의 ‘키트루다SC’처럼 파급 효과가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머크는 알테오젠의 ALT-B4를 적용한 키트루다SC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국(FDA), 유럽의약품청(EMA) 허가를 동시에 추진 중이다. 올해 품목 허가가 이뤄지면 향후 1~2년 뒤부터 알테오젠에 매년 수 천억 원의 마일스톤과 로열티 수익이 발생한다. 머크는 27일(현지 시간) 유럽폐암학회(ELCC) 구두 발표에서 키트루다SC를 올 10월 미국에서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순재 알테오젠 대표가 30일 서울 영등포구 알테오젠 서울 사무소에서 서울경제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성형주 기자



작년 흑자전환해 본격 성장궤도…생산 시설 확보는 당면한 문제


알테오젠은 매출 비중 73.6%에 달하는 ALT-B4를 앞세워 지난해 매출 1028억 원으로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특히 영업이익은 254억원으로 흑자 전환하며 본격적인 성장 궤도에 올라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하지만 이렇게 잘나가는 알테오젠에도 고민은 있다. 바로 생산 공장 문제다. 박 대표는 “현재 우리가 당면한 문제는 생산시설 확보”라며 “자체 공장이 없다 보니 생산시설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문제를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알테오젠은 ALT-B4에 사용되는 히알루로니다제를 위탁생산(CMO) 하고 있다. 대형 기술 이전 계약이 잇따르는 가운데 안정적인 생산 물량 확보와 자체 시설을 통해 수익성을 높이기 위한 고민이다. 알테오젠은 신규 생산공장 설립 등의 목적으로 지난 2월 1550억 원 규모의 유상 증자를 단행했다. 추가 자금 확보를 위해 국내 대기업과 조인트 벤처(JV)를 설립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박대표는 “안정적인 생산시설 확보 문제는 비단 알테오젠 뿐만 아니라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이후 제약·바이오 업계 전체의 고민”이라며 “국내외 어디에 지을지, 신규로 할지 기존 시설을 인수할지 등 아직 구체적으로 결정되지 않았지만 파트너사와 협의해 조만간 결론을 낼 것”이라고 밝혔다.



테르가제 국내 시판 본격화…궁극적인 목표는 연구·생산·판매 종합바이오회사


알테오젠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연구개발(R&D)를 통한 기술 이전 중심의 바이오텍을 넘어 생산, 영업 등 의약품 개발 전주기를 해낼 수 있는 종합 바이오의약품 회사다. 박 대표는 “자체 생산시설을 확보하고 플랫폼과 파이프라인이 확대되면 가능한 목표”라고 설명했다.

알테오젠은 올해도 ALT-4의 추가 기술 이전과 함께 지난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허가 받은 히알루로니다제 단독제품 ‘테르가제’의 국내 시판이 본격화되며 매출이 증가할 전망이다.

박 대표는 “테르가제는 현재 37개 병원에서 약사위원회(DC)를 통과했고 올해 말까지 100개가 목표”라며 “테르가제를 이용한 신규 적응증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QR코드 찍어서 전체 기사를 온라인에서 만나보세요.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265 “코인도 금도 아냐”1~2년 후 가격 6배 뛰는 유망 투자처는? 랭크뉴스 2025.04.01
47264 “고된 뱃일에 스트레스 받았다”…동료 선원 살인·시신유기한 선장 랭크뉴스 2025.04.01
47263 성범죄 혐의 조사 받던 20대, 경찰서 건물서 투신해 사망 랭크뉴스 2025.04.01
47262 “붕괴 이전으로 돌아가요”…박해일 등 영화인 1025명 ‘윤석열 파면’ 성명 랭크뉴스 2025.04.01
47261 헌재 본관 창문 커튼 싹 내렸다…'尹 운명의날' 지정 후 철통 보안 랭크뉴스 2025.04.01
47260 中서 샤오미 전기차 사고 후 폭발… 3명 사망 랭크뉴스 2025.04.01
47259 임지봉 "선고일 공지 의미?‥탄핵 인용 결정" [4일 尹탄핵선고] 랭크뉴스 2025.04.01
47258 ‘반값 실손’ 연말께 나온다…중증 입원 자기부담 500만원 한도 신설 랭크뉴스 2025.04.01
47257 ‘1호 헌법연구관’의 확신 “윤석열, 만장일치 파면…기각 땐 군사 독재 시대로” 랭크뉴스 2025.04.01
47256 尹 운명 쥔 8인의 헌법재판관…앞선 탄핵·권한쟁의 판단은 랭크뉴스 2025.04.01
47255 서울 관악경찰서에서 조사받던 피의자 투신해 숨져 랭크뉴스 2025.04.01
47254 미얀마 강진 닷새째… 2700명 사망·440명 실종 랭크뉴스 2025.04.01
47253 이재명 ‘위증교사 사건’ 항소심, 6월3일 변론 종결···이르면 7월 선고 랭크뉴스 2025.04.01
47252 이재명 위증교사 항소심 6월 3일 종결… 선고일은 '미정' 랭크뉴스 2025.04.01
47251 “지브리 풍으로 해줘” 인공지능, 창작의 종말 오나? [뉴스in뉴스] 랭크뉴스 2025.04.01
47250 외교부 “검찰총장 자녀 채용 관련 감사원 공익감사 청구” 랭크뉴스 2025.04.01
47249 "스벅통장 만들면 한정판 키링"…출시 당일 수천명 몰렸다 랭크뉴스 2025.04.01
47248 윤 선고 날 안국역 폐쇄, 경찰 총동원령…헌재 인근 ‘비우기’ 착수 랭크뉴스 2025.04.01
47247 尹, 탄핵 선고 앞두고 책 냈다…'새로운 대한민국' 내용 보니 랭크뉴스 2025.04.01
47246 연고점 다시 쓴 환율…향후 尹 선고 영향은? [김혜란의 FX]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