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앵커]

미얀마 지진 소식 알아봅니다.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한 지 오늘로 나흘째, 인명피해가 눈덩이처럼 불고 있지만 구조 작업은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KBS 취재진이 어제 미얀마 양곤으로 들어갔는데, 직접 연결해서 자세한 상황 들어보겠습니다.

정윤섭 특파원, 지금 취재진이 있는 곳이 미얀마의 양곤이죠?

그곳도 피해가 적지 않았을 것 같은데, 상황이 어떻습니까?

[기자]

네, 제가 있는 곳은 미얀마 제1의 도시로 불리는 양곤입니다.

규모 7.7의 강진이 덮친 만달레이에서 남쪽으로 600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곳입니다.

건물이 무너지는 등의 피해까지는 크게 발생하지 않았다지만 역시 지진의 여파로 하루에 네다섯 시간씩 전기 공급이 제한되거나 통신망이 자주 끊기는 등 불편이 적지 않습니다.

이곳 시민들, 무엇보다 만달레이 등 지진 피해지역에 있는 가족과 친구들이 연락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걱정이 많은 상황입니다.

[앵커]

강진 피해 지역은 구조 작업도 잘 안되고 있다고 하던데, 어느 정도인가요?

[기자]

네, 이번 강진이 강타한 지역이 여기서 북쪽에 있는 만달레이인데, 말 그대로 아비규환입니다.

수많은 건물이 무너지고, 또 그 안에 매몰된 사람들이 얼마나 될지 가늠조차 어려운 상황입니다.

주민들이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잔해 더미에 올라가 맨손으로 돌 더미를 파헤치는 게 최선일 정돕니다.

미얀마 군정이 밝힌 지금까지 인명 피해 규모는 사망 약 천7백 명, 부상 3천 4백여 명입니다.

하지만 구조 작업이 더디고, 통신도 끊긴 상태다 보니까, 정확한 인명피해 집계는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문제는 오늘이 강진 나흘째인데, 통상 72시간으로 여겨지는 골든타임이 다 돼가는 상황이라 안타까움이 커지고 있습니다.

[앵커]

미얀마 군정도 이례적으로 국제사회 지원을 호소했는데, 실제로 지원이 잇따르고 있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우선 우리 정부도 2백만 달러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약속했고, 유엔은 5백만 달러 규모의 초기 긴급 지원을 결정했습니다.

중국, 러시아, 인도, 태국, 싱가포르 등은 구호물자와 함께 인력을 파견했는데요.

저희 취재진이 방콕에서 이곳으로 올 때도 저희가 탔던 비행기에 중국에서 온 구조대 수십 명이 함께 이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문제는 이들 인력이 지진 피해 현장으로 이동하는 게 녹록지 않다는 겁니다.

저희도 이곳 양곤으로 온 이유가, 만달레이 공항이 사실상 완파돼 항공기 운항이 중단된 상태고, 양곤에서 평소 차량으로 8시간 정도 걸리던 곳이 도로가 끊어지고, 건물 잔해 등 때문에 20시간이 걸려도 접근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앵커]

미얀마에도 우리 교민들, 적지 않게 살고 계신 걸로 알고 있는데, 교민들 피해는 어떻습니까?

[기자]

네, 미얀마의 우리 교민은 약 2천 명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특히 강진 피해가 가장 큰 만달레이에는 약 70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단 우리 외교부가 밝힌 대로 인명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고요.

하지만 집 일부가 무너지거나 균열이 가고, 가구 등이 크게 파손되는 등 재산 피해가 적지 않다고 합니다.

현지 교민들에게 들은 얘기들을 종합해 보면, 상당수는 도심 외곽으로 대피했고, 또 2~30명의 교민들은 비교적 피해를 덜 본 건물에 한데 모여 대책을 논의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역시 문제는 통신과 도로 사정인데, 이곳 양곤의 교민 사회도 현지에 구호 물품 등을 보내기 위해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미얀마 양곤에서 KBS 뉴스 정윤섭입니다.

영상편집:한미희/자료조사:김나영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377 마은혁 뺀 '8인 체제' 결정‥"'5 대 3' 가능성 낮아" 랭크뉴스 2025.04.01
47376 尹 선고일 지정에 쏟아진 “승복” 메시지… 野선 “불복” 주장도 랭크뉴스 2025.04.01
47375 용산 “차분히 기다려” 여 “기각 희망” 야 “8 대 0 파면 확신” 랭크뉴스 2025.04.01
47374 중·러 대사관 “윤 선고일 극단적 사건 가능성” 자국민 유의 당부 랭크뉴스 2025.04.01
47373 도수치료 받고 실손 못 받는다…윤곽 드러낸 '5세대 실손보험' 랭크뉴스 2025.04.01
47372 장제원 前 의원 유서, 가족·지역구민에 메시지 랭크뉴스 2025.04.01
47371 외신 '만우절 기사' 찾기 어려워졌다…"가짜뉴스의 시대라서" 랭크뉴스 2025.04.01
47370 "새우버거 참 즐겨먹었는데"…롯데리아 패티 베트남서 '전량폐기', 무슨 일? 랭크뉴스 2025.04.01
47369 산불에 할머니 업고 뛴 외국인 선원…법무부, 장기거주자격 검토 랭크뉴스 2025.04.01
47368 경찰 “헌재 반경 100m 진공상태로”… 당일 ‘갑호비상’ 발령 랭크뉴스 2025.04.01
47367 전국 의대생 복귀율 96.9%…'미복귀' 인제대는 370명 제적 예정 랭크뉴스 2025.04.01
47366 운명의 날, 윤 대통령 직접 나올까? 랭크뉴스 2025.04.01
47365 마침내 고지된 윤석열 ‘운명의 날’···선고 당일 절차는 어떻게? 랭크뉴스 2025.04.01
47364 "올리브영·다이소에 다 뺏겼다"…현대면세점 동대문점 결국 폐점 랭크뉴스 2025.04.01
47363 [크랩] ‘급신호’올 때 사실 배 아프면 안 되는 거라고? 랭크뉴스 2025.04.01
47362 미국, 감자 등 무역장벽 지적…정부 "미국 협상 요청 없어"(종합) 랭크뉴스 2025.04.01
47361 최태원 SK 회장 "사회문제 해결 위해 기업들 협력·연대해야" 랭크뉴스 2025.04.01
47360 작전명도 없앴다, 중국의 대만 포위작전…"밥먹듯 반복될 것" 랭크뉴스 2025.04.01
47359 "부산시장 출마 준비했었다"…'원조 윤핵관' 불리던 그의 죽음 랭크뉴스 2025.04.01
47358 산불 피해 할머니 업고 구한 인도네시아 선원···법무부 “‘장기거주’ 자격 추진”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