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미얀마 강진 사망자 1644명
최종 규모 나오려면 몇 주 걸려
전력·통신도 끊겨…“주검 너무 많아 수습 불가”
지진 발생 이틀째인 29일 미얀마 제2도시 만달레이에서 구조대가 무너진 건물 잔해 속에서 생존자를 찾고 있다. AP 연합뉴스

미얀마에서 규모 7.7 강진이 발생해 사망자 수가 1600명을 넘겼지만 여전히 무너진 건물 잔해 밑에는 생존자와 주검이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교통과 통신이 마비되고 인력과 장비 부족으로 지진 발생 사흘째를 맞았지만 구조작업은 난항을 겪고 있다.

29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현재 미얀마 군부가 이날 최종 집계해 밝힌 사망자 수는 1644명, 부상자 수는 3408명, 실종자 139명이다. 미얀마 군부에 저항하는 임시정부 국가통합정부는 이번 지진으로 건물 최소 2900채, 도로 30곳, 교량 7곳이 파손됐다고 발표했다. 유엔(UN)은 이번 지진으로 3백만명 이상의 이재민이 발생했으며 2천만명의 사람이 도움이 필요한 상태라고 집계했다. 전문가들은 실제 사망자 수를 알기까지 몇 주가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미 지질조사국(USGS)는 이번 지진의 사망자 규모가 최종 1만명이 넘을 것이라고 29일 밝혔다. 또한 경제적 손실도 미얀마의 연간 국내총생산(GDP)을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진 발생 사흘째에 접어들었지만 여전히 구조 작업이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미얀마 제2도시 만달레이에 사는 한 주민은 시엔엔(CNN)에 “가족 중 세 명이 지진으로 실종됐지만 지금까지 잔해에서 주검을 수습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부상자들은 병원에 가도 이미 정원 초과로 돌아와야 하는 상태라고 전했다. 만달레이의 또 다른 주민 34살 낭 아이 인은 “11살 조카 한 명은 발가락 세 개를 잃었고 다른 지인 한 명은 머리와 다리가 부러졌지만 인근 병원 모두 꽉 차 이들을 모두 돌려보냈다”고 말했다.

국제적 고립상태로 재난 시 외국 도움을 피해온 미얀마 군부 수장 민 아웅 흘라잉은 이례적으로 국제 지원을 신속히 요청해 외국 구조대의 투입을 허락했다. 하지만, 내전 상태인 미얀마에는 군부가 장악하지 못한 지역도 많아 컨트롤타워가 될 재난 당국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 구조활동은 수도인 네피도와 제2도시 만달레이에 집중됐고, 군부 통제를 받지 않는 외곽 지역은 도움의 손길이 전혀 닿지 못하고 있다. 이번 지진으로 도로, 교량 등 사회기반시설이 파괴돼 구조 작업도 진척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수도 네피도 국제공항과 만달레이 국제공항도 폐쇄돼 외국 구조대가 현장에 닿기까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진 발생 이틀째인 29일 미얀마 만달레이에서 자원봉사자들이 지진 구조작업을 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특히 전력이 차단되고 통신망까지 파괴된 상태에서 중장비 없이 갇힌 사람들을 구하기란 쉽지 않다. 장비와 차량, 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상태다. 로이터 통신은 “민간인들이 맨손으로 필사적으로 땅을 팔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유엔인도주의조정국(OCHA)는 혈액 주머니, 마취제, 필수 의약품과 의료 장비 등이 대거 부족한 상태라고 밝혔다.

현장에 파견된 국제적십자사는 만달레이의 한 12층 아파트 잔해 속에서 지진 발생 30시간 만에 한 여성 생존자를 구해냈지만, 여전히 이 건물 밑에는 90명 이상이 갇혀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비비시는 건물 잔해 밑에서 구조를 요청하는 비명이 들리지만 장비가 없는 주민들은 발을 동동 구를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만달레이의 한 주민은 비비시에 “어떻게 구조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사람도 없고 구조 활동에 대한 조율도 없다”며 “잔해 속에서 주검을 발견해도 어디로 보내야 할지도 모르겠고 병원이 마비 상태”라고 말했다. 또 다른 주민은 “주검이 너무 많아 수습할 수가 없다”고 애타게 말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649 “화장실 갈 바에 스스로 탈수” 25시간 5분 서서 트럼프 비판 연설한 미 상원의원 랭크뉴스 2025.04.02
47648 일본 도시락 체인, 만우절에 "이제 밥 안 팔아" 했다 바로 사과한 이유는 랭크뉴스 2025.04.02
47647 형제간 살인미수까지 번진 돈 문제…동생 "매일 반성하며 후회" 랭크뉴스 2025.04.02
47646 오전 10시 선고가 관례인데…朴때처럼 尹도 '11시 선고' 왜 랭크뉴스 2025.04.02
47645 부친에게 30억 빌려 47억 아파트 매수…정부, 자금조달 정밀조사 랭크뉴스 2025.04.02
47644 ‘사전청약 대비 분양가 1억 올랐는데’ 3기 신도시 시세차익 여전 랭크뉴스 2025.04.02
47643 박홍근 “국힘 승복 발언은 가식적 이중플레이…尹 승복 받아내라” 랭크뉴스 2025.04.02
47642 “휴지 없어, 화장실 청소도 해”…‘치사’한 트럼프의 작은 정부 [뉴스in뉴스] 랭크뉴스 2025.04.02
47641 AI 기술 적용된 軍 장비, 국회 예산 삭감에 도입 하세월 랭크뉴스 2025.04.02
47640 권성동, 이복현에 “금감원장이 감히 대통령 운운, 오만한 태도” 랭크뉴스 2025.04.02
47639 서울경찰, 尹선고일 24시간 대응…서울에 기동대 1만4천명 투입 랭크뉴스 2025.04.02
47638 ‘25시간 5분’ 꼬박 서서 트럼프 비판, 최장 연설 신기록 세운 미 상원의원 랭크뉴스 2025.04.02
47637 [단독]시민 폭행한 ‘UDT 출신’ 보수 유튜버, 경찰은 “조치할 권한 없다” 뒷짐 랭크뉴스 2025.04.02
47636 “아빠, 집 사게 30억원 빌려줘요”···국토부, 편법 증여 등 위법 의심거래 고강도 조사 랭크뉴스 2025.04.02
47635 "기내에선 따뜻한 커피 절대 마시지 마라" 여객기 내부자들의 폭로 랭크뉴스 2025.04.02
47634 산불에 어르신 업고 뛴 인니 선원... 법무부 "장기거주 자격 부여 검토" 랭크뉴스 2025.04.02
47633 수원 오피스텔 앞 거리서 모녀 숨진 채 발견... 옥상서 추락 랭크뉴스 2025.04.02
47632 민주당 “한덕수 재탄핵, 윤석열 선고 이후 결정…최상목 탄핵은 오늘 보고” 랭크뉴스 2025.04.02
47631 인천 연수구 아파트서 방화 추정 화재...주민 15명 대피 랭크뉴스 2025.04.02
47630 “뇌 닮은 반도체로 응용”…세계 최고 삼진법 光소자 개발 [이달의 과기인상] 랭크뉴스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