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전 장기화 속 지진으로 최악 위기
“맨손으로 파낸다… 희망이 없는 느낌”
방콕 ‘33층 건물 붕괴’ 中시공사 조사
“맨손으로 파낸다… 희망이 없는 느낌”
방콕 ‘33층 건물 붕괴’ 中시공사 조사
미얀마 만달레이에서 29일(현지시간) 구조대원들이 강진으로 무너진 건물 잔해 속 생존자 수색을 준비하고 있다. 자국을 외부와 단절시켰던 미얀마 군사정권은 극심한 피해에 이례적으로 국제사회에 지원을 요청했다. 로이터연합뉴스
미얀마에서 규모 7.7의 강진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1700명대로 급증했다. 무너진 건물 잔해 속 매몰자가 여전히 많고 여진도 이어져 사망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사망자가 1만명 이상으로 증가할 가능성을 71%로 전망했다.
BBC에 따르면 미얀마 군사정권은 지진 발생 사흘째인 30일 “1700여명이 사망하고 3400여명이 다쳤으며 300명 정도가 실종 상태”라고 밝혔다. 사망자 수는 지진이 발생한 지난 28일 군정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이 발표한 144명에서 12배 가까이 늘었다.
지진은 120만명이 거주하는 미얀마 제2도시 만달레이 인근에서 발생했다. 2021년 쿠데타 이후 장기화된 내전으로 구조 체계와 통신망 등 사회 기반시설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상황에서 많은 건물이 동시다발적으로 무너져 대규모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만달레이 인근 마을의 한 구조대원은 BBC에 “맨손으로 (잔해를) 파내면서 매몰자들을 꺼내고 있다”며 “도와 달라고 울부짖는 소리가 들린다. 희망이 없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여진도 계속되고 있다. 미얀마 기상 당국은 첫 지진 발생 후 하루 동안 여진이 모두 12차례 감지됐다고 밝혔다. 여진 규모도 최대 7.5로 작지 않았다. 도다 신지 일본 도호쿠대 교수는 교도통신에 “단층이 여전히 어긋난 상태로 판단돼 주변 지역에서 앞으로 규모 7 이상의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USGS는 미얀마 강진 관련 보고서에서 사망자가 10만명 이상일 확률이 36%, 1만~10만명일 확률은 35%라고 밝혔다. 사망자가 최소 1만명을 넘길 가능성이 71%라는 의미다. USGS는 또 이번 지진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1000억 달러(147조원)를 넘길 확률을 33%, 100억~1000억 달러일 확률을 35%로 추산했다. 지진 피해액이 미얀마 국내총생산(GD P) 규모(지난해 643억 달러)를 넘어설 수도 있다고 본 것이다.
미얀마 군정을 지지해온 러시아와 중국은 가장 먼저 구조 인력과 구호품을 보냈다. 러시아의 경우 구조대원 120명과 구호물자를 항공기 2대로 나눠 급파했다. 한국 외교부는 미얀마에 200만 달러(29억원)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기로 했다. 또 양곤에 있는 주미얀마 대사관에서 영사를 만달레이로 파견해 생필품을 포함한 영사 조력을 제공키로 했다. 미얀마에 거주하는 교민 2000여명 가운데 사상자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진앙에서 약 1000㎞ 떨어진 태국 수도 방콕에선 중국 국영기업 계열 건설사의 시공으로 33층 높이로 건설 중이던 감사원 청사 건물이 무너져 현재까지 10명이 사망했다. 이를 포함한 방콕 시내 전체 사망자 수는 17명이다. 멀쩡한 주변 건물들과 달리 이 건물만 붕괴된 것과 관련해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는 사고를 철저히 조사해 보고하라고 내무부에 지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