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샤넬·구찌는 역성장했는데...
명품 주얼리 브랜드 6개 매출 전년 比 19% 증가
리치몬트, 아시아는 마이너스... 한국만 두 자릿수 성장

불황에도 명품 주얼리(보석)의 인기는 식을 줄 모른다.

30일 조선비즈가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백화점에서 판매 중인 글로벌 명품 주얼리 브랜드 6곳(까르띠에·불가리·반클리프 아펠·티파니·부쉐론·샤넬주얼리)의 총매출은 1조7828억원으로 전년 대비 19% 증가했다.

가장 많은 매출을 올린 곳은 프랑스 명품 주얼리 까르띠에다. 플래그십스토어를 포함한 국내 매장 12곳에서 5771억원의 매출을 거뒀다. 전년 대비 23% 증가한 수치다. 불가리 매출은 3548억원으로 24%, 반클리프 아펠은 3526억원으로 22% 늘었다. 티파니(6%), 부쉐론(19%), 샤넬주얼리(11%)도 매출이 증가했다.

그래픽=손민균

지난해 샤넬(-4%), 구찌(-26%), 디올(-18%) 등 대표 명품 브랜드들이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것과 대조적이다. 과거 가방이나 신발에 지갑을 열었던 소비자들이 보석 등 장신구 소비로 이동한 결과로 보인다.

이는 세계적인 추세다. 까르띠에와 반클리프 아펠 등을 보유한 프랑스 주얼리 그룹 리치몬트 그룹은 지난해 회계연도 3분기(2024년 12월 31일 마감) 매출이 역대 최대인 61억5000만유로(약 9조7075억원)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10% 늘어난 수치다. 실적을 견인한 건 주얼리 부문으로, 매출이 14% 증가한 45억유로(약 7조1031억원)에 달했다. 같은 기간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의 매출은 1% 증가에 그쳤다.

이목을 끄는 건 한국의 매출이다. 리치몬트 그룹은 지난해 미주(22%), 유럽(19%), 일본(15%), 중동·아프리카(21%)에서 매출이 증가한 가운데, 아시아 지역은 중국 시장의 침체로 매출이 7% 감소했다. 이런 가운데 한국만 두 자릿수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업계에선 명품 주얼리 인기 원인을 불황의 영향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가방이나 의류에 비해 유행을 덜 타고, 상대적으로 희소성이 높아 투자할 가치가 높다는 이유에서다.

지난 21일 문을 연 롯데백화점 본점 반클리프 아펠 매장 전경. /롯데쇼핑 제공

예물 수요가 높은 것도 성장 요인으로 꼽힌다. 이에 따라 웨딩 시즌을 앞둔 연초에 명품 브랜드들이 가격을 올리는 게 연례행사가 됐다. 올해 초에만 까르띠에, 프레드, 부쉐론, 다미아니 등이 금값 인상과 환율 상승 등을 이유로 가격을 인상했다. 수요 증가와 가격 인상이 명품 주얼리의 성장을 뒷받침했다는 분석이다.

백화점들은 명품 주얼리 매장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 롯데백화점은 지난 21일 본점 1층에 반클리프 아펠과 그라프 매장을 동시에 열었다. 지난해엔 이탈리아 명품 주얼리 포페와 마르코비체고를 입점했다. 롯데백화점의 명품 주얼리 매출은 지난해 20% 이상 증가했다. 올해(1~3월)도 35%의 증가율을 보였다.

현대백화점은 오는 7월 더현대서울에 서울 서남권 최초로 반클리프 아펠 매장을 선보일 예정이다. 업계에 따르면 까르띠에도 이 백화점에 브랜드 최초의 카페형 매장을 여는 걸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백화점의 지난해 시계·주얼리 부문 매출은 24% 증가했고, 올해(1~3월)는 44% 늘었다.

신세계백화점도 최근 명동 본점 신관을 리뉴얼(재단장)하면서 포멜라토, 메시카 등 명품 주얼리 브랜드를 기존보다 2배 이상 늘렸다. 갤러리아 명품관은 올해 상반기 중 압구정 명품관에 스위스 명품 시계 모저앤씨와 독일 보석 브랜드 벨렌도르프를 국내 1호 매장을 선보일 계획이다. 갤러리아백화점의 전체 매출에서 주얼리·시계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15%로, 2019년(8%)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994 [속보] 美, 한국 무역장벽으로 소고기부터 네트워크 망 사용료까지 망라 랭크뉴스 2025.04.01
46993 마은혁 카드가 자충수 됐다…헌재 지연 부른 민주당의 선택 랭크뉴스 2025.04.01
46992 [속보] 美 "韓자동차시장 접근 확대 미국업계의 우선순위" 랭크뉴스 2025.04.01
46991 [속보] 美정부, 상호관세 발표 앞두고 국가별 무역평가 보고서 공개 랭크뉴스 2025.04.01
46990 [단독] 검찰, '명태균·오세훈 대화 전 국민의힘 경선룰 결정' 문건 확보 랭크뉴스 2025.04.01
46989 野 "헌재 재판관 임기 연장", 與 "후임 임명" 맞불... 당리당략만 판친다 랭크뉴스 2025.04.01
46988 머스크 "철밥통 공무원 다 자른다"…예산 1500조 삭감 폭탄 선언 랭크뉴스 2025.04.01
46987 생산·소비·투자 고개 들었지만…식당·호텔은 죽을 맛 랭크뉴스 2025.04.01
46986 젤리 훔친 6살 아이 딱 걸렸는데…"왜 도둑 취급하냐" 되레 폭발한 아빠 랭크뉴스 2025.04.01
46985 美테크기업, 전문직 비자 직원들에 "못들어올라…美 떠나지마라" 랭크뉴스 2025.04.01
46984 관세·공매도·미 침체 ‘삼각파도’…국내 증시 ‘검은 월요일’ 랭크뉴스 2025.04.01
46983 美, 경찰책임자 등 홍콩 고위인사 6명 제재…"자치 훼손" 랭크뉴스 2025.04.01
46982 “2차 국회 봉쇄 때 김봉식이 ‘청장님 지시’라면서 ‘포고령 따르자’ 무전” 랭크뉴스 2025.04.01
46981 “김새론 유족 등에 120억 손배소”…法, 김수현 사건접수 랭크뉴스 2025.04.01
46980 '챗GPT' CEO "GPU 녹아내려 사용 일시 제한" 새 이미지 생성 모델 얼마나 좋길래 랭크뉴스 2025.04.01
46979 초읽기 몰린 ‘헌재의 시간’… 문형배 결심 시선집중 랭크뉴스 2025.04.01
46978 4월로 가는 윤 탄핵심판 결정…‘헌재법 사각 메워라’ 야권 입법 총력전 랭크뉴스 2025.04.01
46977 의대생 전국 40곳 중 38곳 복귀에… 전공의도 “돌아가자” 술렁 랭크뉴스 2025.04.01
46976 명품 플랫폼 발란, 결국 기업회생 신청···판매자들 “또 미정산, 망했다” 랭크뉴스 2025.04.01
46975 윤석열 탄핵 정국 속 문재인 기소 앞둔 검찰···계속된 ‘정치보복’ 논란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