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 지정이 미뤄지는 가운데 온라인 등에선 12·3 비상계엄 관련 인물에 대한 팬덤까지 등장했다. 탄핵을 둘러싼 정치 양극화가 심해지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풀이된다. 일각에선 사건 관련자에 대한 일방적인 옹호와 지지가 분열을 더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최근 헌법재판소와 광화문 등에서 열리는 탄핵 찬성 집회장에는 홍장원 전 국정원 제1차장을 응원하는 만두차가 등장해 화제가 됐다. 홍 전 차장은 계엄 당일인 지난해 12월 3일, 윤 대통령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우원식 국회의장, 한동훈 국민의힘 당시 대표 등을 “이번 기회에 싹 다 잡아들이라고 지시했다”고 폭로해 화제가 된 인물이다.

지난 3월 22일 안국역 부근에서 열린 탄핵 찬성 집회에 등장한 만두차. 트럭에는 홍 전 차장을 응원하는 메모가 여럿 적혀 있었다. 김창용 기자

홍 전 차장 팬카페 ‘하늘 무서운 줄 아는 사람들’ 운영자 송하현(58) 씨는 “국회 청문회에서 홍 전 차장이 말하는 것을 보고 감명 깊었다”며 “만두차를 준비한 건 팬들 사이에서 ‘홍 전 차장 귀가 만두귀이니 만두를 보내자’는 아이디어가 나와서였다”고 말했다. 홍 전 차장 팬카페 회원 수는 지난 27일 기준 9289명이다.

지난 2월에는 ‘곽종근 사령관’이라는 카페도 등장했다. 곽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은 계엄 직후 야당 의원 유튜브에 출연해 “윤 대통령이 국회를 봉쇄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해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카페에는 곽 전 사령관을 응원하는 글부터 ‘잘못을 했으면 벌을 받아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곽 전 사령관의 아내에 대한 칭찬 글도 꾸준히 올라왔다. 탄핵 찬성 집회를 주도하는 ‘촛불행동’이 추진하는 곽 전 사령관 정상 참작 탄원 운동에는 27일 기준 7만6000여 명이 서명했다.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헌법재판소에 증인으로 출석해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탄핵 반대 측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포착된다. 디시인사이드 등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엔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 김성훈 경호처 차장 등을 옹호하는 글이 다수 올라왔다. 김 전 장관과 관련해 “영웅이다”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을 배출한 충암고는 명문”이라고 언급했다. 김 차장에 대해서는 “남자가 봐도 멋있다” “목소리도 젊다” 같은 글이 다수 게재됐다.

윤석열 대통령 체포 방해 혐의를 받는 대통령경호처 김성훈 차장이 21일 구속영장이 기각된 뒤 서울 남대문경찰서를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전문가들은 일종의 팬덤 정치가 확산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정치적 성향을 배제하고는 이들에 대한 지지세를 이해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워낙 깊은 정치 팬덤 문화에서 파생된 현상”이라며 “정치적 성격을 띤 사건과 관련된 인물에 대한 지지인 만큼 이 사람들 자체에 대한 팬덤이라기보다는 자신들이 좋아하는 정치인이나 자신들이 속해 있는 진영에 대한 지지가 연장되었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런 현상이 계엄 관련 사법처리 결과와 괴리되는 등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전오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원칙적으로 사법부는 여론으로부터 독립돼 법리와 양심에 따라 재판하는 게 맞다”면서도 “재판 등 결과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어떤 결과가 나오든 시스템을 불신하고 믿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53 [마켓뷰] "기댈 곳이 없네" 관세·경기우려에 공매도까지 사면초가 코스피 랭크뉴스 2025.03.31
46552 제2의 티메프 되나… 정산금 밀린 발란, 결국 결제까지 중단 랭크뉴스 2025.03.31
46551 이 회사 없으면 삼성도 TSMC도 없다… "AI산업, 창소년기 접어들어"[김현예의 톡톡일본] 랭크뉴스 2025.03.31
46550 대기업 절반 이상 '억대 연봉' 준다…"5년새 6배 넘게 증가" 랭크뉴스 2025.03.31
46549 "미국 해방일" 온다…협상 없는 관세 전쟁 드라이브[혼돈의 미국 그리고 한국③] 랭크뉴스 2025.03.31
46548 “반트럼프, 반USA”…트럼프가 불지핀 분열 [혼돈의 미국 그리고 한국②] 랭크뉴스 2025.03.31
46547 '자사고 희망' 초1 사교육비 월 59만 원...5년 새 두 배 늘어난 까닭은 랭크뉴스 2025.03.31
46546 “이렇게 될 줄이야”..논란의 ‘백설공주’, 처참한 성적 랭크뉴스 2025.03.31
46545 대기업 절반 이상 '억대 연봉' 준다…"5년전 대비 6.1배 많아져" 랭크뉴스 2025.03.31
46544 공짜 와인이 태안 해변에 깔렸다…캘리포니아의 로드트립 유혹 랭크뉴스 2025.03.31
46543 최상목에게 국민을 위한 나라는 있는가[정동칼럼] 랭크뉴스 2025.03.31
46542 오늘 의대생 복귀시한 '디데이'…집단휴학 사태 종지부 주목(종합) 랭크뉴스 2025.03.31
46541 현대차 한국 공장 품질 초월한 미국 공장 가보니…로봇 수 백 대 '행렬' 랭크뉴스 2025.03.31
46540 [단독] 박순재 알테오젠 대표 "월1회 주사 맞는 장기제형 플랫폼 개발…비만 치료제에 우선 적용할 것" 랭크뉴스 2025.03.31
46539 법은 실수도 응징했다...봄철 산불에 유독 엄한 이유 있었다 랭크뉴스 2025.03.31
46538 미국인들이 신차 뽑으려고 줄 선 이유 [잇슈 머니] 랭크뉴스 2025.03.31
46537 '챗GPT 지브리풍 그림' 유행 올라탄 백악관... "부적절" 논란, 왜? 랭크뉴스 2025.03.31
46536 찰스 3세, 한국 산불피해 위로…여왕 안동 방문도 언급 랭크뉴스 2025.03.31
46535 野 "마은혁 임명" 압박에…與 "그럼 문형배·이미선 후임도 뽑자" 랭크뉴스 2025.03.31
46534 대학 강의실에 부장님이?… 신용보증기금이 금융교육 나선 이유 랭크뉴스 2025.03.31